읍면동사무소 기능전환의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 복지센터에 관한 공무원의 의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cisons of direction for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Up, Myun, and Dong Offices : Focused on government officials' consciousness on strengthening welfare function of Up, Myun, and Dong Offices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 전공 , 1999. 8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59.1105 판사항(4)
DDC
360 판사항(20)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i, 81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69-70
소장기관
지금 세상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도 그 환경이 변함에 따라 스스로가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울러 지방행정도 그 환경과 여건이 변화되면서 가히 소용돌이칠 정도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1975년 민선단체장이 선출된 이후 지방행정의 여건은 크게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농사행정이 지방행정의 주류를 이루고, 교통·통신이 발달되지 않을 당시에는 읍면동의 역할이 매우 막중하고 주민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었으나, 최근 여건이 변화됨에 따라 그에 대한 역할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음은 자연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고 하겠다.
더욱이 『국민의 정부』가 들어선 이후 읍면동의 기능전환을 국정개혁 100대 과제로 선정하고 추진하고 있어 이에 대한 방향설정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행착오를 최소로 하면서 주민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하고 지방자치를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10여회에 걸친 지도교수님과의 협의와 수정 등을 통해 본 문항 19문항, 통계처리 참고문항 5문항으로 설문조사서를 완성하고 1999. 3. 22∼3. 31 사이에 전국 지방공무원 1,0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999. 4. 10까지 회수된 설문서는 총 971매로써 92.5%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는 SAS Package기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되었고, 모든 문항에 대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근무여건이 기능전환 사실에 대한 인지여부에 미치는 영향 등 6가지 항목에 대해서는 Chi-Square검정을 하여 변인들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읍면동의 기능전환은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골고루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실시한 뒤 문제점을 도출하고 평가한 후 보완방안을 강구하면서 전면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응답자의 45.1%가 도·농지역의 일부에서 먼저 실시를 원했고, 응답자의 41.7%는 도시지역의 일부에서 우선실시를 원했다.
둘째, 읍면동의 기능전환에 앞서 이에 상응하는 사무 재배분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읍면에서 처리하는 사무수가 722건이고, 동에서 처리하는 사무수가 601건이며, 더욱이 위임사무의 비을이 읍면은 58%나 되고, 동의 경우 68%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사무 재배분은 매우 시급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전무아니면 전부방식이 아니라 자치단체의 규모와 지역적 특성에 따른 차등이양을 통해 그 효율성도 높여야 겠다.
셋째, 읍면동의 기능전환 이후 생기는 여유시설은 주민복지 증진을 위한 시설에 이용되어야 하고, 그것은 노인과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기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응답자의 97.1%가 기능전환 이후 가장 역점을 두어야할 기능으로 복지증진을 선택했다.
넷째, 이렇게 마련되는 시설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내용이어야 하고, 이 프로그램은 주도면밀한 계획아래 충분한 사전검증을 거쳐야 만이 주민의 이용도가 높아질 것이다는 것이다. 응답자의 68.3%는 주변의 민간이 운영하는 민간복지관에 비해 이용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다섯째, 이런 시설의 운영책임은 초기에는 공무원이 맡고 그 후 필요하다면 민·관합동 운영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읍면동의 기능전환은 매우 절실한 시대적과제로 인식할 수 있겠다. 다만 추진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시행착오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지혜를 모으고, 평가과정 등을 거치면서 계속 보완해 나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大洞制 등을 통한 규모의 적정화 등을 동시에 추진하여 앞으로 읍면동은 지역주민이 찾고 싶은, 그리고 주민이 찾아가면 언제나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그런 곳으로 인식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The society is experiencing drastic changes than ever before. In accordance with such change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administrative ones are trying to change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situations for local administration have changed greatly in Korea since chiefs of local autonomy bodies were elected by the people in 1975. The roles of Up, Myun, and Dong offices were very important when agriculture was a major industry and the infrastructure such as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 was not well developed. With such changes of situations, there appears opinions that functions of Up, Myun, and Dong offices should be changed.
Particularly since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launched, it emerges as an emergent task to suggest appropriate guidelines on changing the function of such offices as the new government is propelling the work as one of the 100 assignment administrative renovation.
This thesis is focused on exploring appropriate suggestion that will minimize trial and errors and seek best convenience of the people, thus realizing local autonomy that will best fit; to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is study made a survey of 1,050 local government officials nationwide from the 22st till the 31th of March, 1999. The survey consists of 19 major questions and five auxiliary questions that were made in consultations and revisions with advisor since November 1998.
The number ad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until April 10, 1999 totaled 971, representing high collection rate of 92.5 percent. I calculated frequency analysis of every questions. Particularly, for six questions, I made Chi-square examination in order to find out co-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Up, Myun, and Dong offices should be tested in a selected rural and urban areas at the initial stage in order to find out problems. After working out solutions against such problems, functional changes of such offices should be carried out 011 a full-fledged scale. Of the surveyed, 45.1 percent preferred implementation of functional changes of such offices in some parts of rural and urban areas, while 41.7 percent of the survey preferred some parts of urban areas.
Second, prior to the functional changes of Up, Myun, Dong offices, redistribution of affairs should be made between such offices and superior office cities and Kun. Currently, i3 Up and a Myun is handling 722 instances while a Dong is covering 601 instances affairs entrusted by city. Considering the entrusted of fice work ratio stands at 58 percent for a Up and a Myun and 68 percent for i3 Dong, it appears imminent to lower the share of entrusted office works at Up, Myun, and Dong office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it is being required to adjust the redistribution of office works according to the size of local autonomy and regional interest.
Third, idle facilities of such offices after functional changes should be utilized as welfare facilities with its functions directed to improve welfare of old people and disabled persons. Of the surveyed, 97.1 percent put the top priority on improving welfare function of such offices after their functional transformation.
Fourth, programs for such facilities should consist of contents that will enhance people's welfare. In order to induce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nd those programs should be fully studied previously. That is because 68.3 percent of the surveyed anticipated such facilities won't be run efficiently by the privately managed welfare centers.
Fifth, management of such facilities should be handl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at the initial stage and, if necessary, it should be co-managed by private and local overnment offic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recognize that functional change of Up, Myun, Dong offices is a critical and urgent task. Also, in order to minimize trial and errors and negative impact that might erupt in the process of such changes, It is most desirable to take supplementary measures continuous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