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사물성의 맥락에서 본 도깨비와 바보 설화 연구 = A research of Tokkaebi and idiot folktales in the context of objectivity

    • 저자

      손영은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0 판사항(6)

    • DDC

      8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273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동흔
      참고문헌: p. 248-269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Tokkaebi Folktales and Idiot Folktales combined with the focus on the issue of ‘obje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le establishment of the objectivity concept and further specify the characteristics and category,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the East and the West has been contemplated. As a result, an object is defined as implicating actual existence, objective individual existence, non-bio existence and artificial existence, and its attributes are confirmed as materiality, solidity, fixedness, non-mobility, continuity and immutability, and non-subjective subjectivity. Thereafter, through the Hwasubun Folktale, it has contemplated how such objectivity is realized in the world of folktale imagination. Henceforth, materiality and solidity is realized as the actuality in the folktale while fixedness, non-mobility, continuity, and immutability are realized as the one-dimensional simplicity, mechanical repetition, and schematics, and non-subjective subjectivity is realized for schematics as the other object.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discus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objectivity held in the folktale image and behavior type of Tokkaebi and Idiot, one-dimensional simplicity, mechanical repetition, and schematics are confirmed as displayed. In addition, the attention is given to the difference as ‘foreign material and human’ and ‘unfamiliar existence and familiar existence’ existing in between Tokkaebi and Idiot that it is established to confront ‘outsider and insider’ that encompasses the foregoing. Basically, Tokkaebi is an outsider to have the subjectivity as the ‘unfamiliar objective others outside of us’ while Idiot is an insider to have the subjectivity as the ‘familiar objective others inside of us’.
    Next, in order to clarify the perception of human on the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in folktales, the process of in-depth nar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perception of human on the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in the negative aspect, it was confirmed of the perception of tension and vigilance on unfamiliar and rough subject and the antinomic perception for Tokkaebi as it is considered to be a utility tool or subject of exclusion in accordance with needs. And for the case of Idiot, it was confirmed with the perception of ignorance and abasement as inferior subject and inconvenient subject to be alerted and controlled. As such, Tokkaebi and Idiot may exist as the exclusive objects as they are placed as the subject of negative perception from humans due to their innate objectivity.
    However, the aspects shown by Tokkaebi and Idiot as the objective beings would be shown as the source of power to accomplish the impossibilities for ordinary humans. Because of the foregoing, the objectivity owned by both parties is considered to contain the possibility to be perceived positively. In such a view, as a result of in-depth contemplation of objective aspects of Tokkaebi and Idiot in folktales, through Tokkaebi, their heterogeneous aspect and competency held as the outsiders beyond the boundary is encountered by humans to show the possibility to open up the horizon of new perception, and the possibility of ethical insight reflected on their simple and clear external standard has been discovered. For the case of Idiot, through their simple and consistent lives, it was confirmed with the possibility of substantive and outspoken lives for themselve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convicted lives through innocent faith and bold behavior. Looking in this way, the negative perception on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would be the tailored result as the criteria and view of humans, and the intrinsic objectivity contained within them would be considered as containing the positive elements to be the model and symbol of human live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reconfirm the intrinsic value implied in the objectivity of Tokkaebi and Idiot, and what would be the implication of such intrinsic value for our lives today. The fetishism prevalent in contemporary time would inevitably move humans from the position of main subject to the position of other object. At this time, the even easier othering would be the bodies having the ‘differences’ deviating from the general standard. It is frequently detected around us for these people cornered into the position of objects due to differences, such as, migrant workers, the disabled, minority, Otaku and the like. In general, their differences are solidified as the existing attributable and they become subject as the objective bodies. Accordingly, the difference in them may also be re-lighted in the context of objectivity. For the case of Tokkaebi and Idiot, the possibility of new perceptive enlightening was confirmed through the objectivity found within them. As in the same way, the objectivity contained in the objective existenc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may also be the new standard of existence and value, and furthermore, they may function as the core element of genuine subjectivity. At this time, the genuine subjectivity to consider may be named as the subjective sacred objectivity. This is a paradoxical alternative on the issue of sacred objectivity that is preval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it would work as new guideline to our lives.

    더보기

    본 연구에서는 ‘사물성’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도깨비 설화와 바보 설화를 연결 지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사물성 개념의 성립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특성과 범주를 특정하고자 동·서양의 철학적 논의를 일고하였다. 그 결과 사물은 실체적 존재·개체적 존재·무생명적 존재·인공적인 존재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되었고, 그 속성은 물질성·구체성, 고정성·비운동성, 지속성·불변성, 비주체적 대상성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화수분 설화를 통해 그와 같은 사물성이 설화적 상상의 세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물질성·구체성은 설화 속에서 실재성으로, 고정성·비운동성·지속성·불변성은 일차원적 단순성, 기계적 반복성, 도식성으로, 비주체적 대상성은 타자적 객체로서의 대상성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도깨비와 바보의 설화적 형상과 행동 양상에 따라 양자가 지닌 사물성을 확인한 결과 일차원적 단순성, 기계적 반복성, 도식성 등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깨비와 바보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과 사람’, ‘낯선 존재와 낯익은 존재’로서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를 포괄하는 ‘외부자와 내부자’의 대립항을 설정하였다. 기본적으로 도깨비는 엄연한 외부자로서 ‘우리 밖의 낯선 사물적 타자’로 바보는 내부자로서 ‘우리 안의 낯익은 사물적 타자’로서의 대상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설화 속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성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구명하고자 심층적인 서사분석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부정적인 측면에서 도깨비와 바보가 지닌 사물성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살펴본 바, 도깨비에 대해서는 낯설고 험한 대상에 대한 긴장감과 경계의 인식, 필요에 따라 이용의 도구로 여기거나 배척의 대상으로 여기는 이율배반적 인식을 확인하였고, 바보의 경우에는 열등한 대상으로서의 무시와 비하의 인식, 불편한 대상으로 여겨 경계하며 통제하고자 하는 인식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도깨비와 바보는 그들이 지닌 사물성으로 인하여 인간으로부터 부정적 인식 대상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타자적 객체로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물적 존재로서 도깨비와 바보가 지닌 면모들은, 설화 속에서 그들이 평범한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의 원천으로 나타난다. 그러하기에 양자가 지닌 사물성은 분명히 긍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리라 보았다. 그러한 시각으로 설화 속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적 면모를 심층적으로 고찰한 결과, 도깨비를 통해서는 경계 밖의 외부자로서 그들이 지닌 이질적 면모와 능력을 인간이 접함으로써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열 수 있는 가능성을, 그들의 단순하고도 분명한 외부적 규준에 비춘 윤리적 성찰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바보의 경우에는 그들의 단순하고도 일관된 삶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게 충실한 진솔한 삶의 가능성을, 순수한 믿음과 우직한 행동력을 통한 신념적 삶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인간의 기준과 시선으로써 그들을 재단한 결과이며, 그들이 지닌 본래적 사물성 자체는 인간 삶의 귀감과 표상이 될 만한 긍정적 요소를 내포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에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성에 함의된 원형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그러한 원형이 오늘날의 우리 삶에 있어서 지니는 의의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대에 만연한 물신주의는 필연적으로 인간을 주체의 자리에서 타자적 객체의 자리로 이동시킨다. 이때 더욱 쉽게 타자화 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준을 벗어난 ‘다름’을 지닌 이들이다. 이주노동자나, 장애인, 소수자, 오타쿠 등, 다름으로 인해 객체의 자리로 내몰리는 이들을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들의 다름은 존재적 속성으로 고형화 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은 사물적 객체로서 대상화된다. 이에 그들이 지닌 다름 또한 사물성의 맥락에서 재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깨비와 바보의 경우 그들이 지닌 사물성을 통해 새로운 인식적 깨달음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의 사물적 존재들이 지닌 사물성 또한 존재와 가치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나아가 진정한 주체성의 핵심 요소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재고될 진정한 주체성이란, 곧 주체적 물신성(物神聖)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는 현대 사회에 만연한 물신성(物神性)의 문제에 대한 역설적 대안으로서 우리 삶의 새로운 지침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사 검토 5
    • 1.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5
    • 2. 사물적 존재로서의 도깨비와 바보 24
    • 2.1. 사물성의 본질과 그 설화적 구현 24
    • 2.1.1. 사물의 개념 범주와 기본 속성 24
    • 2.1.2. 사물성의 설화적 구현 양상 35
    • 2.2. 설화 속 도깨비와 바보의 사물적 변모 46
    • 2.2.1. 도깨비의 설화적 형상과 사물적 속성 47
    • 2.2.2. 바보의 설화적 형상과 사물적 속성 67
    • 2.3. 사물적 존재로서 도깨비와 바보의 캐릭터적 본질 89
    • 3. 우리 밖의 낯선 타자로서 도깨비에 대한 인식 층위 96
    • 3.1. 도깨비의 사물적 면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 96
    • 3.1.1. 낯설고 험한 대상에 대한 긴장감과 경계 96
    • 3.1.2. 이용 대상으로서 도구화와 냉정한 배척 108
    • 3.2. 도깨비의 사물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가능성 122
    • 3.2.1. 이질적 면모와 능력이 전해주는 인식의 새 지평 122
    • 3.2.2. 외부적 규준을 통한 윤리적 성찰과 가치관 조정 130
    • 4. 우리 안의 낯익은 타자로서 바보에 대한 인식 층위 146
    • 4.1. 바보의 사물적 면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 146
    • 4.1.1. 열등한 대상으로서 무시와 비하, 이용 146
    • 4.1.2. 불편한 대상에 대한 경계심과 거리두기 및 통제 157
    • 4.2. 바보의 사물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가능성 173
    • 4.2.1. 단순하고 일관된 삶의 자기충실적 진솔성 173
    • 4.2.2. 순수한 믿음과 우직한 행동력이 전하는 감동 185
    • 5. 구비설화 속 도깨비와 바보의 현대적 의미 203
    • 5.1. ‘우리가 만든 타자’로서의 도깨비와 바보 203
    • 5.1.1. 도깨비와 바보, ‘다름’과 ‘틀림’ 사이 203
    • 5.1.2. 현대 한국사회의 사물화된 타자들 209
    • 5.2. 도깨비와 바보의 재인식을 통한 타자의 주체화 220
    • 5.2.1. 타자화된 존재들의 진정한 주체성 220
    • 5.2.2. 타자적 물신성에서 주체적 물신성으로 231
    • 6. 결론 241
    • 참고문헌 248
    • ABSTRACT 270
    더보기
    • 1 고인덕, 시즈카, 시라카와, "옮김", 『한자의 세계- 중국문화의 원점』, 솔, 2008
    • 2 차병직, "인권", 살림, 살림출판사, 2006
    • 3 김구영, "『노자』", 솔, 솔, 2014
    • 4 임종두, "『소외』", 이슈투데이, 2010
    • 5 차동엽, "『바보 zone』", 여백, 여백미디어, 2010
    • 6 김학주, "역, 『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7 김학주, "역, 『순자』", 을유문화사, 2008
    • 8 정상홍, "역, 『시경』", 을유문화사, 2014
    • 9 안동림, "역, 『장자』", 현암사, 2011
    • 10 노태준, "역, 『주역』", 홍신문화사, 2007
    • 11 장상환, "「물신숭배」",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47집, 역사비평사, , 320~337쪽, 1999
    • 12 이의정, "『페티시즘』", 경춘사, 1998
    • 13 김익두, "『한국 신화』",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5
    • 14 김하풍, "역, 『도덕경』", 문예출판사, 2004
    • 15 윤재근, "엮음, 『중용』", 동학사, 2014
    • 16 이재선, "「바보문학론」", 『한국문학주제론』, 서강대학교출판부, 1989
    • 17 김재근, "『분류학개론』", 라이프사이언스, 2012
    • 18 사사부, "『신일용옥편』", 교학사, 2007
    • 19 정성철, "『조선철학사』", 이성과 현실, 좋은책, 1988
    • 20 정진일, "『중국철학사』", 해동, 해동, 2013
    • 21 염정삼, "『설문해자 주』",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22 신상환, "『용수의 사유』", 도서출판 b, 2011
    • 23 이기동, "역, 『주역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 24 박진훈, 정도전, "옮김, 『삼봉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 25 김동휘, 왕양명, "옮김, 『전습록』", 신원문화사, 2010
    • 26 이황, 장기근, "옮김, 『퇴계집』", 홍신문화사, 2003
    • 27 서경덕, 황광욱, "옮김, 『화담집』", 심산문화, 2004
    • 28 권오정, 송시열, "편, 『송자대전』", 양우당, 1991
    • 29 최금임, "「바보설화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30 이현지, "「변신설화연구」",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10집,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소, , 137~152쪽, 2008
    • 31 김보영, "「불가살이설화」",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도솔어문』 13집,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 문학과, , 38~54쪽, 1997
    • 32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지식산업사, 지식사업사, 1990
    • 33 강대석, "『서양근세철학』", 서광사, 1985
    • 3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6권, 지식산업사, 2005
    • 35 강은해, "「도깨비와 난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31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141~164쪽, 2004
    • 36 강은해, "「도깨비의 정체」", 『한국학논집』 30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1~30쪽, 2003
    • 37 정경화, "「릴케시의 사물」",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문학』 56, 한국독어문학회, , 158~178쪽, 1995
    • 38 남정섭, "「물신주의 가치」", 『인문연구』 60집,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273~288쪽, 2010
    • 39 이동희, "「사물의 본성론」", 『법학논총』 25집,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407~426쪽, 2011
    • 40 이철우, "『관계의 심리학』", 경향미디어, 2008
    • 41 노주선, "『다름의 심리학』", 원앤원북스, 2007
    • 42 안종수, "『동양의 자연관』",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6
    • 43 권재원, "『요즘것들 사전』", 우리학교, 2016
    • 44 임석재, "『한국의 도깨비』", 열화당, 열화당, 1985
    • 45 안소영, "『책만 보는 바보』", 보림, 보림출판사, 2005
    • 46 김지원, "엮음, 『바다기담』", 청아출판사, 2009
    • 47 이광호, 이황, "옮김, 『성학십도』", 홍익출판사, 2007
    • 48 김영태, "「만파식적설화고」", 동국대학교, 『동국대 논문집』 11, 동국대학교, , 43~64쪽, 1973
    • 49 임동권, "『한국민속학논고』", 집문당, 집문당, 1971
    • 50 최인학, "『한국민속학연구』", 인하대학교 출판부, 1989
    • 51 강은해, "「도깨비의 공간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집,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학회, , 175~207쪽, 2003
    • 52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 53 서대석, "『무가문학의 세계』", 집문당, 집문당, 2011
    • 54 홍대식, "『성공적 인간관계』", 박영사, 박영사, 2011
    • 55 조동일, "『인문학문의 사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56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0
    • 57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해』", 지식산업사, 2004
    • 58 서해숙, "「도깨비의 허와 실」",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호남문화연구』 26집, 전남대학교 호남학연 구원, , 29~49쪽, 1998
    • 59 장정순, "「여성 바보담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60 배정민, "「여성 바보담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76쪽, 2015
    • 61 마명, 지안, "옮김, 『대승기신론』", 지만지고전천줄, 2008
    • 62 윤태영, "『바보, 산을 옮기다』",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5
    • 63 서대석, "『한 중 소화의 비교』",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64 이지용, 정약용, "역, 『다산 맹자요의』", 현대실학사, 1994
    • 65 윤철중, "「만파식적설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26집, 성균관대 대동문화 연구원, , 17~34쪽, 1991
    • 66 전영림, "「바보사위 설화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67 천병준, "『강좌 동양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7
    • 68 김수환, "『바보가 바보들에게』", 산호와 진주, 2009
    • 69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06
    • 70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 9, 한국문학치료학회, , 247~278쪽, 2008
    • 71 박지원, 신호렬, "편, 『연암집』상 중 하", 돌배게, 2007
    • 72 김정용, "「말없는 사물의 기호」", 한국독일어문학회, 『독일어문학』 12집, 한국독일어문학회, , 45~64쪽, 2000
    • 73 문무병, "「제주도 도깨비 신앙」",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30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 구소, , 163~174쪽, 2003
    • 74 김열규, "『도깨비 날개를 달다』",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1
    • 75 김복순, "『바보 이야기와 웃음』", 한국학술정보, 2009
    • 76 신동흔, "『살아있는 한국 신화』", 한겨레, 한겨레출판, 2014
    • 77 이인경, "『열녀 설화의 재해석』", 월인, 월인, 2006
    • 78 유정동, "『퇴계의 삶과 성리학』",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儒敎文化硏究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 79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1994
    • 80 김용섭, "『회남자 철학의 세계』", 경산대학교출판부, 경산대학교 출판부, 1997
    • 81 이한길, "도깨비담과 도깨비 연구", 서강어문학회, 『서강어문』 9집, 서강어문학회, , 85~125쪽, 1993
    • 82 강성숙, "「<바보사위>설화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집, 한국고전 여성문학연구회, , 137~174쪽, 2006
    • 83 이상교, "『빨간 부채 파란 부채』", 시공주니어, 시공주니어, 2006
    • 84 김교빈, "『유학, 시대와 통하다』", 자음과모음, 자음과모음, 2012
    • 85 조동일, "「구비문학과 구비철학」",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23집, 한국구비문학회, , 183~213쪽, 2006
    • 86 배원용, "「변신설화의 변신양상」", 서경대학교, 『논문집』 11, 서경대학교, , 75~123쪽, 1983
    • 87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 88 구현서, "『현대사회와 인간관계』", 청목, 청목출판사, 2006
    • 89 윤대혁,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탑북스, 탑북스, 2010
    • 90 천관우, 홍대용, "편, 「관우」, 『담헌서』", 양우당, 1991
    • 91 김정란, "「도깨비 설화와 연금술」", 한국비교문학회, 『비교문학』 48집, 한국비교문학회, , 209~240쪽, 2009
    • 92 박성애, "「바보로 살기의 정치학」",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9호, 한국아동 청소년문학학회, , 241~267쪽, 2016
    • 93 이강엽, "「바보설화 웃음의 층위」",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연구』 36집, 한민족문화학 회, , 153~180쪽, 2011
    • 94 문무병, "「제주도 도깨비당 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탐라문화』 10집, 제주대학교 탐라문화 연구소, , 193~234쪽, 1990
    • 95 이의철, "역, 『주자어류고문해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96 조영주, "「김덕령 설화 전승 연구」", 겨레어문학회, 『겨레어문학』 36, 겨레어문학회, , 239~263쪽, 2006
    • 97 Zygmunt Bauman, "이일수 옮김, 『액체근대』", 도서출판 강, 2009
    • 98 김현룡, "저, 『한국문헌설화』 1~7집",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 99 최원오, "「구비문학과 다문화주의」", 『구비문학연구』 26집, 한국구비문학회, , 1~28쪽, 2008
    • 100 송운석, "「신뢰중심의 인간관계론」", 탑북스, 탑북스, 2012
    • 101 박기용, "「한 중 도깨비 설화 연구」",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22집, 우리말글학회, , 153~194쪽, 2001
    • 102 신연우, "「허목 <퇴조비 설화>연구」",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17집, 한국구비문학 회, , 383~408쪽, 2003
    • 103 최광선, "『개인관계의 사회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시그마프레스, 2006
    • 104 이강엽, "「예약으로 본 바보사위담」", 『한국민속학』 44집, 한국민속학회, , 275~304쪽, 2006
    • 105 서대석, "『한국문학총서3 구비문학』", 해냄, 해냄출판사, 1997
    • 106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지식산업사, 1996
    • 107 김창룡, "「부채의 한국 문학적 심상」", 『한국언어문화학』 2권 국제한국언어 문화학회, , 19~37쪽, 2005
    • 108 도성달, "『웰빙 문화 시대의 행복론』", 경인문화사, 경인문화사, 2008
    • 109 박은용, "「목랑고 : 도깨비의 어원고」", 『한국전통문화연구』 21집, 효성여자 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53~64쪽., 1986
    • 110 김열규, "『도깨비 본색, 뿔난 한국인』", 사계절, 2010
    • 111 임석재, "『임석재전집 한국구전설화』", 평민사, 1~12권, 평민사, 1991
    • 112 김경섭, "오래된 거울, 도깨비의 타자성", 국문학회, 『국문학연구』 18호, 국문학회, , 33~53쪽, 2008
    • 113 기대승, 임헌규, 이황, "옮김, 『사단 칠정을 논하다』", 책세상, 2014
    • 114 김헌선, "「구비문학과 철학의 상관성」",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13집, 한국구비문 학회, , 61~98쪽, 2001
    • 115 김종대, "「위도의 도깨비이야기 담고」",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21집, 한국민속학회, 1988
    • 116 김학선, "「한국설화에 나타난 도깨비」",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1집, 국제어문학회, , 69~93쪽, 1982
    • 117 여조겸, 주희, "엮음, 정영호 옮김, 『근사록』", 자유문고, 1991
    • 118 이강엽, "「바보 행운담과 삶의 진정성」",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24집, 열상고전연 구회, , 101~129쪽, 2006
    • 119 윤채영, "「울프의 단편과 사물의 미학」", 『영미연구』 20집, 한국외국어대학 교영미연구소, , 75~119쪽, 2009
    • 120 이강엽, "『바보이야기 그 웃음의 참뜻』", 평민사, 평민사, 1998
    • 121 허남춘,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 신화』", 보고사, 보고사, 2011
    • 122 성낙주, "「에밀레 종 전설 연구사 비판」", 한국어문학연구학회, 『동악어문학』 47, 동악어문학회, , 149~184쪽, 2006
    • 123 박용식, "「한국설화문학의 변신사상고」", 건국대학교, 『건대학술지』 27집, 건국대학교, , 67~82쪽, 1983
    • 124 박종익, "엮음, 『한국구전설화집 1~22집』", 민속원, ~2016, 2000
    • 125 서윤호, "「라드브루흐의 사물의 본성론」", 한국입법정책학회, 『입법정책』 4권, 한국입법정책학 회, , 143~179쪽, 2010
    • 126 김상현, "「만파식적설화의 형성과 의의」",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34, 한국사연구회, , 1~27쪽, 1981
    • 127 이강엽, "「바보음담의 사회문화적 해석」",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33집, 한국민속학 회, , 199~224면, 2001
    • 128 김영희, "「도깨비의 양가적 이미지 고찰」", 한국문학회, 『한국문학논총』 27집, 한국문학 회, , 185~208쪽, 2000
    • 129 황신영, "『린네가 들려주는 분류 이야기』", 자음과모음, (주)자음과 모음, 2005
    • 130 이강엽, "『바보설화의 웃음과 의미 탐색』", 박이정, 박이정, 2011
    • 131 천인호 ( In Ho Cheon ), 허영훈(Young hun Heo), "어촌지역의 비보풍수에 대한 연구", 『문학역사지리』 27집, 한 국문화역사지리학회, , 48~68쪽, 2015
    • 132 신연우, "「<바보사위>설화의 신화적 소인」", 연민학회, 『연민학지』 9집, 연민학회, , 315~337쪽, 2001
    • 133 정선희, "「바보 사위 설화의 구조와 의미」", 경성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99
    • 134 강은해, "「도깨비설화의 전통과 현대소설」", 계명어문학회, 『계명어문학』 4집, 계명어문학 회, , 139~163쪽, 1988
    • 135 김열규, "「도깨비와 귀신: 한국의 남과 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제30집, 계명대 학교 한국학연구소, , 205~220쪽, 2003
    • 136 정상진, "「변심담의 존재양상과 사유기저」", 『외대논총』 25집, 부산외국어 대학교, , 181~206쪽, 2002
    • 137 안병국, "「잡귀설화고-도깨비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5집, 한서대학교 동 양고전연구소, , 263~283쪽, 1999
    • 138 김정희, "「가부장제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139 신동흔, "「도깨비와 춤을 그리고 이야기를」", 『월간샘터』 545, 샘터사, , 52~53쪽, 2015
    • 140 최인학, "「도깨비의 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한국문화인류학회, 『한국문화인류학』 10집, 한국 문화인류학회, , 105~106쪽, 1978
    • 141 김석배, "「바보망신담의 골계미와 그 의미」", 『국어교육연구』 16집, 국어교 육학회, , 97~125쪽, 1984
    • 142 이강엽, "「바보설화의 전통과 현대적 변모」",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연구』 5집, 한민족 문화학회, , 107~124쪽, 1999
    • 143 양갑현,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사물 개념」", 『범한철학』 66집, 범한철학회, , 122~150쪽, 2012
    • 144 김종군, "「한국 드랍마의 구비문학적 위상」", 『구비문학연구』 16집, 한국구 비문학회, , 119~149쪽, 2003
    • 145 한만수, "「한국서사문학의 바보 인물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146 김운해, "『왜 자본주의는 고쳐쓸수 없는가』", 알렙, 알렙, 2013
    • 147 김경섭, "「도깨비 설화에 나타난 몸의 의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8 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 263~284쪽, 2010
    • 148 신동흔, "「민속과 문화원형, 그리고 콘텐츠」",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 43집, 한국민속 학회, , 255~283쪽, 2006
    • 149 차배옥덕, "「바보형제의 모 살해 이야기 연구」", 『애산학보』 28집, 애산학 회, , 103~130쪽, 2003
    • 150 김복순, "「여성 바보담의 웃음의 의미 고찰」", 『어문연구』 36집, 한국어문 교육연구회, , 255~280쪽, 2008
    • 151 박종훈, "「온달의 주제적 수용 양상과 의의」",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31, 한서대학교 동 양고전연구소, , 269~297쪽, 2014
    • 152 김열규, "「민담: 도깨비에 비친 의식과 습속」", 『월간중앙』 제85집, 중앙일 보사, 1975
    • 153 장동석, "「오규원 시의 사물 제시 방법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한국현대문학연구』 35집, 한국현대문학회, , 317~344쪽, 2011
    • 154 유시민, "『이런바보 또 없습니다. 아 노무현』", 책으로 보는 세상, 책으로 보는 세상, 2009
    • 155 강진옥, "「구전설화의 이물교혼 모티프 연구」", 『이화어문논집』 11, 이화여 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 173~203쪽, 1990
    • 156 박은희, "「도깨비 이야기에 나타난 민중의식」", 『한국어문학연구』 16집, 이 화여자대학교, , 94~115쪽, 1985
    • 157 이부영, "「도깨비의 심리학적 측면과 상징성」",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30집, 계명대 학교 한국학연구소, , 175~203쪽, 2003
    • 158 김광섭, "「조선시대 울산바위의 역사적 고찰」", 『강원문화사연구』 16집, 강 원향토문화연구회, , 5~50쪽, 2015
    • 159 김종대, "『도깨비를 둘러싼 민간신앙과 설화』", 인디북, 인디북, 2004
    • 160 이인경, "『한국구비문학대계 소재 설화 해제』", 민속원, 민속원, 2008
    • 161 정운채, "구비설화에 나타난 자녀서사의 어머니",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 6집, 한 국문학치료학회, , 231~252쪽, 2007
    • 162 최협, "엮음,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2004
    • 163 김교봉, "「바보사위 설화의 희극미와 그 의미」", 『민속어문논총』, 계명대출 판부, 1983
    • 164 최원오(Choi, Wonoh), ""동물/인간의 경계와 욕망, 그리고 변신"", 비교민속학회, 『비교민속학』 53집, 비 교민속학회, , 263~296쪽, 2014
    • 165 Donelson R., "Forsyth 저, 남기덕 외 옮김, 『집단역학』", 센게이지러닝코 리아, 2013
    • 166 이강엽, "「바보 양반담의 풍자 양상과 그 의미」", 연민학회, 『연민학지』 7집, 연민학 회, , 243~269면, 1999
    • 167 정상진, "「설화 속에 투영된 동물관과 그 기저」",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우안사려』 1집, 부산외국 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47~70쪽, 1991
    • 168 황혜진, "「설화를 통한 자기 성찰의 사례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22, 한국어 교육학회, , 561~589쪽, 2007
    • 169 조동일, "『철학사와 문학사 : 둘인가 하나인가』", 지식산업사, 지식산업사, 2000
    • 170 안춘복, 차대운, "공저, 『성공적 삶을 위한 인간관계론』", 대명, 2009
    • 171 황혜진(Hwang Hye-jin), "설화를 통한 자기성찰 방법의 실행 연구",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7, 한국 독서학회, , 359~391쪽, 2007
    • 172 박연숙, "「<도깨비 감투>설화 유형의 한일 비교」", 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73, 일본 어문학회, , 185~210쪽, 2016
    • 173 신동흔, "「구비문학에 나타난 부녀관계의 원형」",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28집, 한 국구비문학회, , 111~132쪽, 2009
    • 174 이유진, "「바보형 이야기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문학치료연구』 41집, 한 국문학치료학회, , 207~239쪽, 2016
    • 175 곽정식, "『구비문학의 이해 –설화를 중심으로』", 신지서원, 신지서원, 1999
    • 176 강진옥, "변신설화에서의 ‘정체확인’과 그 의미", 진단학회, 『진단학보』 73, 진단 학회, , 165~185쪽, 1992
    • 177 박연숙, "「<바닷물이 짠 이유> 설화의 한일 비교」",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38집, 한국구비문학회, , 209~250쪽, 2014
    • 178 오세정, "「구비설화의 성담론, 독사와 파라독사」", 『한국고전연구』 14집, 한 국고전연구학회, , 71~102쪽, 2006
    • 179 문병호, "「사물화에 대한 문학적 비판의 시의성」", 한국독일어문학회, 『독일어문학』 44집, 한 국독일어문학회, , 53~73쪽, 2009
    • 180 민긍기, "「온달설화의 생성적 의미에 관한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6, 열상 고전연구회, , 59~83쪽, 1993
    • 181 김복순, "「웃음을 통해 본 바보사위민담의 의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17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 182 지눌, "저, 현호 편, 「眞心息妄」, 『보조전서』", 불일출판사, 1989
    • 183 조재현, "「고전서사에 나타난 ‘불가살이’연구」", 『어문연구』 38, 한국어 문교육연구회, , 155~177쪽, 2010
    • 184 곽정식, "「설화에서 본 여성 주체의 자각과 성장」",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동양한문학연구』18집, 동양한문학회, , 5~32쪽, 2003
    • 185 김종대, "『민담과 신앙을 통해 본 도깨비의 세계』",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1997
    • 186 김난주, "『융 심리학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신화』", 집문당, 집문당, 2007
    • 187 엄필선, "「하이데거에 있어서 사물존재와 역사성」", 한국하이데거학회, 『현대유럽철학연구』 19 집, 한국하이데거학회, , 229~262쪽, 2009
    • 188 윤성우, "『들뢰즈 ? 재현의 문제와 다른 철학자들』",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4
    • 189 Dorothee Kimmich, "「Levendige Dige bei Walter Benjamin und Robert Walser」", 『독일문학』110, 한국독어독문학회, , 9~29쪽, 2009
    • 190 이규범, "「도깨비면의 해학과 예술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어문집』 2집, 상지대 학교, , 149~162쪽, 1981
    • 191 이강엽, "「바보설화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와 기능」",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32집, 열상고전연구회, , 337~368쪽, 2010
    • 192 오세정, "「한국신화에 나타난 변신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 16집, 한국고전연구학회, , 67~96쪽, 2007
    • 193 김복순, "「화수분설화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 고찰」", 중앙어문학회, 『어문논집』 66, 중앙 어문학회, , 35~59쪽, 2016
    • 194 강은해, "『한국난타의 원형 두두리 도깨비의 세계』", 예림기획, 2003
    • 195 신동흔,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 신 관념의 단면」", 『비교민속학』 43, 비교민속학회, , 349~377쪽, 2010
    • 196 신혜선, "「전래동화 팥죽할멈과 호랑이의 의미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4집,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467~487쪽, 2009
    • 197 이병희, "『노자가 주는 같음과 다름의 철학, 도덕경』", 답게, 2014
    • 198 정효구, "「李箱 문학에 나타난 <사물화 경향>의 고찰」", 『개신어문학연구』 14집, 개신어문학회, , 187~519쪽, 1997
    • 199 권미라, "「재생의 의미로서의 해골의 변환적 상징성」",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상징모래놀이치료』 6권,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 1~20쪽, 2015
    • 200 노영미, 조융희, 이형대, 유몽인, 신익철, "옮김, 「이경희 집의 도깨비 」, 『어우야담』", 돌베개, 2006
    • 201 김종대, "「도깨비방망이얻기의 구조와 결말처리양상」",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 24집, 한국민속학회, , 29~50쪽, 1991
    • 202 임재해, "「설화에 나타난 나무의 생명성과 그 조형물」", 비교민속학회, 『비교민속학』 4집, 비교민속학회, , 69~100쪽, 1989
    • 203 임재해, "「온달형 설화의 유형적 성격과 부녀의 갈등」", 『여성문제연구』, 효 성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 31~46쪽, 1982
    • 204 신연우, "「<바보원님> 설화의 유형과 시대적 대응구도」",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22집, 열상고전연구회, , 185~210쪽, 2005
    • 205 김종군, "「<왕이된 새샙이>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겨레어문학회, 『겨레어문학』 38 집, 겨레어문학회, , 133~162쪽, 2007
    • 206 윤경수, "「「온달전」의 심리학적 분석과 문학작품화」", 『한국사상과 문화』 82, 한국사상문화학회, , 7~37쪽, 2016
    • 207 고정희, "「사설시조의 사물 분류 방식과 그 시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학연구』 41집, 한국고전문학회, , 227~259쪽, 2012
    • 208 송기태, "「도깨비신앙의 양가성과 의례의 상대성 고찰」", 남도민속학회, 『남도민속연구』 22집, 남도민속학회, , 169~194쪽, 2011
    • 209 장샤오홍, "지음, 박성희 옮김, 『자본주의가 낳은 괴물들』", 생각비행, 2014
    • 210 박희병, "「‘병신’에의 시선 – 전근대 텍스트에서의-」", 『고전문학연구』 34집, 한국고전문학회, , 309~361쪽, 2003
    • 211 양민정(Yang, Minjung), "다문화교육 관점의 여성설화의 서사적 전통 연구", 『외국문학연 구』 57집, 한국외국어대학교외국문학연구소, , 247~271쪽, 2015
    • 212 강은해, "「두두리 재고: 도깨비의 명칭 분화와 관련하여」", 『한국학논집』 16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57~74쪽, 1989
    • 213 김종군, "분단체제 속 통합서사 확산을 통한 사회통합 방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족문 화』 56,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445~455쪽, 2015
    • 214 이원영, "<두꺼비 신랑>설화 속 인정욕구와 변신의 대응양상", 韓瑞大學校 附設 東洋古典硏究所, 『동방학』 30집, 한서대학교부설동양고전연구소, , 195~228쪽, 2014
    • 215 Anrhony M., "Grant 저, 정지현 옮김,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비즈니 스북스, 2013
    • 216 최미영, "「바보 사위 설화와 바보 며느리 설화 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3
    • 217 황혜진, "「‘그림을 보고 글쓰기’의 전통과 교육적 창신」", 『고전문학과 교 육』 23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125~150쪽, 2012
    • 218 김영희, "「구비문학이라는 개념과 범주의 형성 과정 탐색」", 『열상고전연구』 47집, 열상고전연구회, , 547~590쪽, 2015
    • 219 박수미, "「원시수퇘지신앙을 통해 본 도깨비의 기원 연구」",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25집, 국립민속박물관, , 173~196쪽, 2009
    • 220 김종군, "「통합서사의 개념과 통합을 위한 문화사적 장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 61집,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263~294쪽, 2015
    • 221 김종대, "「해안지방 도깨비 신앙의 전승양상에 대한 고찰」",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25집, 한국민속학회, , 143~169쪽, 1993
    • 222 김은영, "『집단, 열광, 미디어의 사회심리학, 차별과 연대』", 나경, 2014
    • 223 한상연, "「사물, 예술, 존재-하이데거의 사물개념에 대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현대유럽 철학연구』 20집, 한국하이데거학회, , 101~132쪽, 2009
    • 224 윤사순, 이황, 이이, "역, 「퇴계집-답정자중별지」, 『한국의 유학사상 』", 삼성출판사, 1990
    • 225 김동욱, "「고려 후기 사대부층의 사물인식과 문학관의 일단」", 陶南學會, 『도남학보』 9, 도남학회, , 67~86쪽, 1986
    • 226 권진숙, "「권터 그라스의 소설에서 사물이 갖는 역할과 기능」", 『독어문학』 58집, 한국독어독문학회, , 91~112쪽, 1995
    • 227 홍재희, "『우리는 언젠가 장애인이 된다」, 『그건 혐오예요』", 행성비, 2017
    • 228 김종대, "『저기 도깨비가 간다-도깨비에 관한 민속학적 탐구』", 다른세상, 2000
    • 229 심우장 ( Woo Jang Sim ), "전설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장자못> 전설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국문 학연구』 30집, 국문학회, , 327~360쪽, 2014
    • 230 최영자, "「조세희의 『난소공』에 나타난 사물화적 양상 연구」", 『한국민족문 화연구』 43, 한민족문화학회, , 309~341쪽, 2013
    • 231 김종대, "「한국 도깨비이야기의 유형분류와 구조에 대한 시론」",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 학』 23집, 한국민속학회, , 1~33쪽, 1990
    • 232 박연숙, "「<치병활인금척>과 <머슴의 꿈> 설화유형의 한일 비교」", 『구비문 학연구』 40집, 한국구비문학연구회, , 49~98쪽, 2015
    • 233 이인경, "「운명, 복 행복, 공생에 관한 담론에 대한 성찰적 읽기」", 『문학 치료연구』 37집, 한국문학치료학회, , 9~38쪽, 2015
    • 234 박준, "「한국 설화를 기반으로 한 사물형 도깨비 캐릭터 개발」",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15, 한국디지털디자인협회, , 143~155쪽, 2015
    • 235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문 학치료연구』 21집, 한국문학치료학회, , 232~252쪽, 2011
    • 236 김종군, "「<만파식적>설화의 다시 읽기를 통한 통합의 의미 탐색」", 온지학회, 『온지 논총』 27집, 온지학회, , 73~100쪽, 2011
    • 237 송효섭, "「도깨비는 어떻게 생겨나는가- 발생기호학의 관점에서」", 『한국학 논집』 30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75~110쪽, 2003
    • 238 신동흔,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 학연구』 42집, 한국구비문학회, , 59~104쪽, 2016
    • 239 이영철, "엮음, 백한울 외 옮김, 『21세기 문화 미리 보기-시각성, 성", 테크, null
    • 240 김옥희, 신이치, 나카자와, "옮김,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 물신숭배의 허구와 대안』", 동아시아, 2004
    • 241 정약용, "저, 전주대학교 호남학연구소 역, 『여유당전서』 1권 12집", 경인문 화사, 1987
    • 242 최원오,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입말, 문자, 언어권력의 상관관계」", 한국구비문학회, 『구비 문학연구』 35집, 한국구비문학회, , 151~191쪽, 2012
    • 243 권근,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불씨잡변설서」, 『양촌집』 17권", 민족문화추 진회, 1978
    • 244 강미정, "「<거울 모르는 사람들>의 서사적 특성과 편집성 인격장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고 전문학과 교육』 15, 고전문학과 교육학회, , 163~183쪽, 2008
    • 245 황혜진, "「고전 글쓰기의 현대적 의의: 박지원 평문의 작문론 연구」", 『작문 연구』 25집, 한국작문학회, , 63~99쪽, 2015
    • 246 박종성, "「민담<떡보와 사신>의 은폐된 전략과 의미에 관한 에세이」", 실천민속학회, 『신 천민속학연구』 26집, 실천민속학회, , 95~121쪽, 2015
    • 247 김경태, "「인간-사물-환경에 있어서 기능적 역할 분담에 관한 고찰」", 가야대학교, 『가 야대학교 논문집』 9집, 가야대학교, , 371~380쪽, 2000
    • 248 이기태, "「18세기 영월의 사회변동과 단종의 신격화 및 민속의 변화」", 한국민속학회, 『한 국민속학』 62집, 한국민속학회, , 207~246쪽, 2015
    • 249 김종대, "「서해안과 남해안지방 도깨비 신앙의 전승양상과 그 변화」", 한국민속학회, 『한국 민속학』 56집, 한국민속학회, , 41~65쪽, 2012
    • 250 가와기타, 요시노리, 김진연, "옮김, 『고독연습- 성공한 사람만이 알고 있는 혼자의 가치』", 21세기 북스, 2016
    • 251 조은상, "설화<새끼 서 발>에 나타난 과장과 허언의 심리적 의미와 효용",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47호, 한국문학교육학회, , 153~190쪽, 2015
    • 252 최영자,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사물화적 양상으로서의 '죽음환영' 고찰", 한국문학회, 『 한국문학논총』 66집, 한국문학회, , 305~337쪽, 2014
    • 253 김정은, "「『삼국유사』와 구비설화에 나타난 <치술령>전승의 두양상」", 『온 지논총』 24집, 온지학회, , 43~72쪽, 2010
    • 254 정우락, "「남명의 사물접근에 관한 이론과 그 문학적 형상화의 일국면」", 남명학연구원, 『 남명학연구논총』 9집, 남명학연구원, , 221~278쪽, 2001
    • 255 이인경, "「기혼여성의 삶, 타자 혹은 주체 –구비설화로 본 이면적 진실」",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6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251~283쪽, 2008
    • 256 최원오, "「‘창세신/동물’의 창세행위와 동물의 위상에 대한 인식 비교」", 『어문학』 123집, 한국어문학회, , 215~242쪽, 2014
    • 257 허경, "「미셀 푸코 『말과 사물』에 나타난 ‘근대 인간과학’의 개념」", 『인 문언어』 10집, 국제언어인문학회 , 327~342쪽., 2008
    • 258 곽인상, "「게오르그 뷔히너의 『보이쳌』에 나타난 등장인물과 사물상징」", 『 외국문학연구』 97, 조선대학교외국문화연구소, , 65~85쪽, 1997
    • 259 박선영, "「김현승 후기시의 사물화 양상- 광물에 토대 한 사물을 중심으 로」",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 31집, 우리문학회, , 105~438쪽, 2010
    • 260 Ronald B., "Adler Russell F. Proctor 저, 정태연 역, 『인간관계와 의 사소통의 심리학』", 교육과학사, 2015
    • 261 심우장, "「동물설화와 인간 주체화의 과정 -<까치의 보은> 설화를 중심으 로-」",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 18집, 한국고전연구학회, , 107~135 쪽, 2008
    • 262 김종군(Kim, Jong Kun), "〈강도몽유록〉을 통한 고통의 연대와 통합서사의 사회적 담론화 모형",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 40집, 한국문학치료학회, , 195~223 쪽, 2016
    • 263 최원오, "「원형 개념으로서 변신에 내재되어 있는 세 가지 특성과 변신 미 학」", 『구비문학연구』 29집, 한국구비문학회, , 257~280쪽, 2009
    • 264 최성은,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시에 나타난 사물의 본질을 향한 심안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세계문학비교학회, , 151~181 쪽, 2005
    • 265 최원오, "「한국과 남아메리카 구비설화에 나타난 자연 재난 인식의 매커니 즘」", 『문학치료연구』 42집, 한국문학치료학회, , 135~183 쪽, 2017
    • 266 김나영, "「비틀어진 인물 형상을 통한 인식의 전환과 변신의 의미 확장 가 능성」",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 13집, 한국고전연구학회, , 131~164 쪽, 2006
    • 267 한정수, "「이외시프 브로츠끼의 시 텍스트에 나타난 “말과 사물”의 형이 상학」", 『슬라브연구』 18,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러시아연구소, , 249~271쪽, 2002
    • 268 이형권, "「사물인식과 존재 탐구의 은유적 원리 – 김춘수의 초기시를 중심 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 85~111쪽, 1998
    • 269 최예린,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분석: 현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권,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307~324쪽, 2012
    • 270 Jay R., "Greenberg and Stephen R. Mitchell 저, 이재훈 옮김, 『정신분 석학적 대상관계이론』",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9
    • 271 윤주필, "「『국선전』, 『국순전』의 우언적 독해 - 가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 하여」", 『한국한문학연구』 47집, 한국한문학회, , 303~338 쪽, 2011
    • 272 신동흔, "「설화 속 화수분 화소의 생태론적 고찰 – 한국과 유럽 설화를 대 상으로」",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39집, 한국구비문학회, , 1~28쪽, 2014
    • 273 김환희,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 속의 통과의례에 관한 비교문학적 인 고찰」", 『비교한국학』 22집, 국제비교한국학회, , 117~153쪽, 2014
    • 274 서은아, "「자기서사에 따른 사물의 의미변용과 여행체험 -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고전문학과 교육』 15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쪽, 2008
    • 275 박종익, "「구비설화에 나타난 도깨비의 정체성 고찰- 충청지역 구비설화 를 대상으로」",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 425집, 어문연구학회, , 89~115 쪽, 2003
    • 276 조홍윤, "「북한지역의 설화 <마십굴> 전설의 서사를 통한 분단서사의 극복 가능성 고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335~376면, 『통일인문학논총』 55집, 2013
    • 277 이인경, "「수용자의 해석과 설화의 다층적 의미-<박장군과 이무기>설화의 해석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25집, 국문학회, , 217~255쪽, 2012
    • 278 박수밀, "「실학의 생태적 글쓰기와 그 한 양상 - 이덕무의 자연 사물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온지논총』 31집, 온지학회, , 59~87쪽, 2012
    • 279 강진옥, "「설화에 나타난 진리인식-<거울을 보고 놀란 사람들>형과 <아이 의 지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6집, 이화여자대학교 이화 어문학회, , 89~118쪽, 1983
    • 280 김영희, "「유혹하는 여성의 몸과 남성 주체의 우울 - 비극적 구전서사<달 래나보지>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51집, 동양고전학회, , 75~117쪽, 2013
    • 281 강성철, "「도깨비 이미지의 시각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조선왕조 실록과 민담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일러스트레이션포름』 15, 한국일러스트 레이션학회, , 29~30쪽, 2007
    • 282 김영희, "「아버지의 딸이기를 거부한 막내딸의 入事記 - 구전이야기 <내 복에 산다>를 중심으로-」", 『오지논총』 18집, 온지학회, , 379~427쪽, 2008
    • 283 정우락,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연구 : 임훈 이 황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퇴계학과 유교문학』 34집, 경북대 학교 퇴계학연구소, , 133~195쪽, 2004
    • 284 고창택, "「물신숭배, 사물화 그리고 기호화-상품의 물신성의 고전적, 현대 적, 탈현대적 의미비교」", 『국민윤리연구』 37호, 한국국민윤리학회, , 87~112쪽, 1997
    • 285 박종오, "「도서연악지역 어로 관련 도깨비담에 나타난 도깨비 인식 -전남 지역 전승자료를 대상으로」", 『남도문화연구』 24집, 순천대학교 남 도문화연구소, , 159~184쪽, 2013
    • 286 김요한,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나타난 성적 욕구와 감정의 사 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동서철학연구』 74호, 한국동서철학회, , 291~308쪽, 2014
    • 287 박성지, "「민단<내 복에 산다>에 나타난 욕망의 지형 : 천부의 생명력, 타 자성, 주체형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학술대회 발표 문』 44, 한국고전요성문학회, , 14~29쪽, 2014
    • 288 신익철, "「실학, 일상, 문화 -실학은 인간의 삶에 어떻게 다가섰는가 , 이 옥 문학의 일상성과 사물 인식」", 『한국실학연구』 12집, 한국실학 학회, , 179~211쪽, 2006
    • 289 황혜진, "「사대부의 권태, 그 문명비판적 의미 -이규보의 <용풍>, 성간의 <용부전>, 성현의 <조용>을 대상으로」", 『문학치료연구』 24집, 한 국문학치료학회, , 125~151쪽, 2012
    • 290 강재철, "「설화문학에 나타난 권선징악의 지속과 변용의 의의와 전망 - 민담 <도깨비방망이 설화>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동양학』 45집, 단국대 학교 동양학연구소, , 1~20쪽, 2009
    • 291 이인경, "「한국고전문학에서의 주체와 타자: 문학 감상에 주체와 타자- <혼쥐>설화의 문학치료학적 감상과 교육적 가치」", 『국문학연구』1 6집, 국문학회, , 103~130쪽, 2007
    • 292 최기숙, "「착한 돈과 윤리적 사회, 부자를 보는 문학적 시선 : 구비설화에 나타난 돈/부자 담론의 서사논리와 문학적 상상력」", 『민족문학사 연구』 37집, 미족문학사학회, , 167~198쪽, 2008
    • 293 최원오, "「동물설화의 치유적 성격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한국의<호랑 이설화>와 북미 원주민의 <코요테설화>를 대상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 연구』 31집, , 101~138쪽, 2014
    • 294 장만식, "「사물과의 대화록 쓰기와 <조침문> 감상을 바탕으로 한 애도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서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 『문학치료 연구』 35집, 한국문학치료학회, , 207~284쪽, 2015
    • 295 김영희, "「한국구전서사 속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경증 탐색 - <월경 혈 묻은 빗자루가 도깨비로 변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 전여성문학연구』 25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45~89쪽, 2012
    • 296 표정옥, "「이방인의 상반된 의미작용으로서 성과와 성과속의 기호학적 연 구- 한국의 <도깨비> 콘텐츠와 일본의 <요괴>콘텐츠의 의미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동아연구」 59, 서강대학교동아연구소 , 133~162쪽.,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