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의 行政府立法에 관한 硏究 : 立法化 節次를 中心으로 = (A) study of the legislation initiated by administration in Japan focused on legislation procedures
저자
발행사항
서울 :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북한·국제지역 전공 , 2003. 2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51.3 판사항(4)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 109p. :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申命淳
소장기관
본고에서는 일본의 행정부입법의 원안이 작성되어 국무회의의결에 이르기까지 관료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입법화 절차의 단계를 들어, 그 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으며 동시에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관료제의 활동구조나 의사결정의 방식도 고찰했다.
대략적인 논의에 그치기는 하였지만 이하의 사실이 본고가 주장하고자하는 요점이다. ①관료제에 있어서는 입법화 절차에 일정의 수속·규칙이 존재한다. 그것은 우리 나라와 매우 비슷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관료제 구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법안이 작성되는 과정에서도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이며, 오랜 시간에 걸쳐서 전문적 집무지식을 형성해 가는 계기가 되었다. ②입법화 절차에는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법제국심사, 부처간협의, 당정협의의 세 가지 측면을 경험하기 때문에 그것들의 몇 가지 요소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해당 행정분야에서 법제도 체계가 성립되어 온 시간적 경과 속에서 법안내용이 그것들에 의해서 규정되거나 제약받는 경우도 있다. 즉 세 가지 측면 중 몇 가지 요소가 법안내용에 대해 구조적인 제약요인으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법제국심사는 재무성 주계국에 의한 예산사정, 총무성 행정관리국에 의한 기구·정원심사와 함께 행정부내의 총괄관리기관(법제국)에 의한 종합조정의 하나이다. 여기에서는 법안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극히 엄격한 심사가 이루어지며, 법안을 작성함에 있어서 그 중요성은 자주 언급되는 것처럼 다른 총괄관리기관을 압도적으로 능가하고 있다. 부처간협의는 자율적인 행정부 공동체가 공존하며, 상호 경쟁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부처 조직의 활동을 억제하고 시스템 전체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부문이 매우 약체인데다가 강력한 조정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은데도 닫혀진 시스템 속에서 행정부 공동체간에 게임의 법칙이 형성되고 있으며, 동시에 자주적인 조정수속도 개발되어 시스템전체가 효율적인 활동을 달성하고 있는 것이다. 각서는 법안을 입안한 부처 사이에서 정령사항이나 성령사항에 관한 합의를 비롯하여 법률을 시행할 때의 운용상 세칙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가지 결정이 이루어져, 법률이 제정되었을 경우의 각 부처간의 역할분담이 결정된다. 이 과정에서 합의사항은 「각서」라는 합의문서로 작성되고 각 부처에서 보관하게 된다. 합의사항은 각 부처가 성실하게 준수하는 하나의 관례이다. 법률이 제정되는 것과 함께 위임명령인 정령이나 성령이 제정되지만, 이들 명령 제정과정에서는 이미 그 내용이 입법단계에서의 각서에서 기본적 부분에 대해 결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당정협의는 각각의 법률에 대한 사전교섭뿐만 아니라 그에 앞서서 제출예정인 법안의 모든 것을 부처전체가 얼마나 신속하고 또 원만하게 국회를 통과시키는가 라는 점이 관건이 되기 때문에, 어느 시점까지는 原局·原課가 아닌 관방문서과·정부위원실이 협의의 중심이 되어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본의 행정부입법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는 것에 의해서 관료제의 활동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였으며, 동시에 국회를 대상의 중심으로 하여 주로 국회의 정치역학을 고찰해 온 입법과정 연구에 대해서도 행정학의 시각에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기 전의 행정부내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넓게 고찰하기 위한 계기를 제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islation procedures in Japan from the draft by administration to its resolution at the cabinet meeting in a systematic way and thereby assess Japanese bureaucratic structure and decision-making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There exist certain procedures and rules for legislation initiated by the bureaucracy in Japan, which is very similar to our case. Such procedures and rul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Japanese bureaucratic structures. They are needed for any draft law to go through many stages. This kind of process ultimately leads the Japanese bureaucracy to accumulate much professional knowledge.
②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law-processing procedures, any draft law should be a subject to the review by Office of Legislation and consultations among relevant ministries and between ruling party and administration. Such an exhaustive procedure not only requires much energy on the administrative part but also limits contents of the draft law to satisfy bureaucratic or political interests.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the draft law may be compromised with the interests of the relevant ministries or the ruling party. Any draft law should be a subject to review budget by Ministry of Finance (Bureau of Budget), review organization of officials T/O by Ministry of General Affairs (Bureau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comprehensively review overall by Office of Legislation. In order to justify the draft law, relevant ministries review it intensively, often more intensively than Office of Legislation. Since each ministry functions autonomously, competing with each other, there is no overall supervisory authority that adjusts the interests of relevant ministries as far as the legislation is concerned. In such a closed system, the law of game applies strictly to legislation. At the same time, a spontaneously adjusted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operate the overall administrative system effectively. Since the ministry consults other relevant ministries regarding its own regulations, cabinet regulations, or even the enforcement regulations, the roles of enforcement are divided among relevant ministries. In this process, any agreement is documented into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o be retained by the relevant ministries. The memorandum is strictly kept by the relevant ministries. As soon as any law is enacted, its cabinet regulations or ministry regulations are promulgated. However, such regulations are usually determined already among relevant ministries when the mother law is discussed. The consultation between ruling party and administration regarding the draft law must be don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may have provided a clue for discussion about the legislation initiated by the administration in Japan as well as their bureaucratic activities. Since most of the proce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olitical dynamics at parliament regarding the legisl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focus on the administration-initiated legislation procedures to have wider perspectives into the whole process of legisl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