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에서의 설화를 활용한 언어·문화 연계 수업방안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 대상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Teaching Plan that Connects Language and Culture by Means of Fab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오랜 시간 민중에 의해 전해 내려 온 한국의 설화가 초급 학습자에게 언어․문화를 연계하여 교육하는 데 효과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한국어 초급 단계에서 이를 수업 현장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작품을 활용한 문화 교육 연구는 주로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에 적합한 문학텍스트의 선정 기준을 정하여 그에 맞는 작품을 교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문학텍스트는 문법 형태를 익히기 위한 언어 습득의 자료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를 활용한 수업은 대부분 문학텍스트 내용의 이해자체가 어려운 초급 단계를 제외하고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 가능한 중․고급 단계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의 현실을 고려하여 초급 단계에서도 활용 가능한 설화텍스트를 선정하고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여 이것을 실제 수업에 적용했을 때의 사례를 통해 성과와 한계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설화는 구전되어 왔지만 하나의 완성된 주제와 줄거리가 있고, 시대적 문화성과 사회적 배경을 포함하고 있는 이야기이다. 그리하여 문화적 기반을 하고 있는 단어나 어휘에서부터 관용적인 표현까지 한국 문화 배경 지식을 학습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설화는 학습자에게 문학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것이 갖고 있는 문화적 배경은 문화 교육에 적합하다. 이에 설화를 한국어 초급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문학텍스트로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한 결과를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한국어교육의 초급 단계의 수업에서도 설화를 활용한 문화 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문학텍스트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설화가 문화 교육을 위한 텍스트로 활용도가 높은 점을 감안하여 설화의 성격과 기능, 그리고 초급 단계에서 설화 활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활용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설화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교수를 위해 설화의 재구성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앞 장에서 제시한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의 제재로 활용할 설화를 선정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기 전에 초급 단계의 학습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설화를 초급 수업에서 실제로 활용해보기 위한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실제 수업에 활용한 후 그 수업의 성과와 문제점에 대해 정리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설화 활용 수업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은 많은 문화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설화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언어․문화 연계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의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이러한 방안을 수업에 활용한 후 그 결과를 얻어 내어 수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utilize Korean fables that date back to history among Koreans in basic steps of Korean classes in assumption that they could be useful in elementary learner education that connects language and culture.
Although fables have passed down by word of mouth, they have complete themes and stories. Even they imply the nature of the time's culture and social background. Thus, from words based on the culture to idiomatic expressions, the terms are useful in gaining Koran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Fables can be provided as literary texts for learners,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n which they are based is suitable for 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endeavors to present a teaching plan that adopts fable texts for elementary step learners and can be utilized in classes effectively, and to discus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cases that applied them in actual class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in each chapter as follows:
ChapterⅠpresents the subjective and methods of this study in assumption that cultural education that adopts fables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steps would be effective, and presents the general direction of this study based on preliminary studies related to literary texts.
Chapter Ⅱ examin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methods that adopt fables in the elementary step as well a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fable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adopting fables in Korea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fables are highly recommendable as texts for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selecting standard of fable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is presented, and the reconstructing plan to use fables for effective teaching is presented.
Chapter Ⅲ selects fables to be used as materials in actual classes based on the selecting standard presente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presents the plan to restructure them for elementary learners before adopting them in education fields. Besides, the lesson plan to utilize the selected fables in elementary classes is presented and applied.
Chapter Ⅳ sums up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classes that utilized fables in actual classes, and presents the adjusted plan that complements the problems in utilization of fables.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dure and method to adopt fables, which contain various cultural elements, in Korean education fields so that effective education connecting language and culture could be implemented. In addition, based on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that are found after the utilization of this plan,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hat adopts fables is presented, which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