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시장도매인의 효율성 비교분석
저자
발행사항
충주 :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농업경제학과 2014. 8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522.31 판사항(5)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기타서명
(An) efficiency analysis of agricultural market-wholesaler
형태사항
vi, 67 p. :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윤두
참고문헌: p. 60-65
소장기관
Market-Wholesaler has continuously been expanding its role as the new main distribution agent in Korean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Gangseo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in 2004. Despite many worries and oppositions, with its sustained continuous development, market-wholesaler is establishing a rather solid foothold in the area of domestic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distribu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market-wholesaler system, many are focused on compare analysis of auction system but not on th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market-wholesaler themselve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on 52 market domain,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For the commitment element, we used executives, working capital, utilized area such as stores or cold warehouses. Then for output element, we used the totla dealing amount for the analysis.
We measured each market domain's efficiency by using CCR model representing the size fixed wage and BCC model representing the wage variability of the size. Then we measured the size efficiency showing the ratio of two ways.
As a result, in CCR model, there were five who had efficiency value one and the minimum value for the inefficiency was 0.1258, illustrating the wide gap compared to the efficiency value. In BCC model, thirty seven had the efficiency level of 1, and 0.6389 was the minimum value for the inefficiency. In the size efficiency, five of them appeared to have value 1 in efficiency, and in profit scale, CRS was 5, IRS 46, DRS was 1, concluding in the need for the general increase in the size.
Considering the result, if we reduce the areas of inefficiency and if continuous improvements are made for further effective running, then there will be advantages in both the enhancement of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efficiency and domestic agricultural distribution competitiveness Furthermore, if there is wider introduction of market domain as the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it will work its role as
the constant model.
시장도매인은 2004년 강서농산물도매시장에 국내 최초로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농산물도매시장의 새로운 유통주체로서 그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도입초기에는 많은 우려와 반발이 있었지만 지속적인 발전으로 국내 농산물 도매시장 유통의 한 축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시장도매인제와 관련된 연구는 계속 나오고 있으나 대부분이 경매제와의 비교분석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시장도매인들간의 자체적인 효율성 분석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 DEA)방법을 이용하여 강서 농산물 도매시장 내 52개 시장도매인을 대상으로 상대적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투입요소에는 임직원, 운전자금, 점포면적(점포, 저온저장고)을 사용하였고, 산출요소에는 연간 총 거래금액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규모의 보수 불변을 가정한 CCR모형과 규모의 보수 가변을 가정한 BCC모형으로 각 시장도매인들의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며, 두 방법의 비율로 나타나는 규모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CR모형에서는 효율성 값이 1인 효율적인 시장도매인은 5개였으며 효율성 값의 최저치는 0.1258로 시장도매인간 효율성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BCC모형에서는 효율성 값이 1인 시장도매인은 37개소이며, 비효율성 최저값은 0.6839로 분석되었다. 규모효율성에서는 효율성 값이 1인 시장도매인은 5개소로 나타났으며, 규모의 보수가변 하에서는 규모의 수익불변(CRS)는 5개소, 규모의 보수증가(IRS)는 46개소, 규모의 보수감소(DRS)는 1개소로, 전반적으로 IRS가 규모의 증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도매인 운영에 있어 비효율적 요소를 감소시키고 보다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농산물도매시장의 효율성 제고 및 국내 농산물유통의 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여타 농산물도매시장으로 시장도매인의 도입이 확대될 경우 기준 모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