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國譯)河西全集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2]----------
    • 목차
    • 卷之六
    • 칠언절구(七言絶句)
    • 하늘을 �섦�詠天) = 1
    • 감사의 석상에서 짓다(監司席上賦) = 2
    • 기길의 집에서 화죽을 읊다(基吉家詠畵竹) = 2
    • 길원의 운에 차하다(次吉元韻) = 3
    • 경응이 시를 지었기로 화답하다(敬應有詩和之) = 3
    • 접중에 부쳐 답을 재촉하다(寄接中催和) = 4
    • 고죽(古竹) = 5
    • 송상사가 증언록 중의 운으로 답을 구하다(宋上舍求和贈言錄中韻) = 5
    • 송상사의 운을 써서 곽 상사에게 증하다(用宋上舍韻贈郭上舍) = 6
    • 오상사를 이별하다(別吳上舍) = 6
    • 덕무의 운에 차하다 사수(次德茂韻四首) = 7
    • 효성에게 부치다 삼수(寄孝先三首) = 9
    • 또 덕무의 운에 차하다 사수(又次德茂韻四首) = 11
    • 매화와 대를 읊다(梅竹吟) = 13
    • 신응상인에게 증하다(贈信應上人) = 14
    • 시골로 내려가는 신언옥을 보내면서(送申彦沃下鄕) = 14
    • 서재에서 술을 마시며 왕반산의 운에 차하다(西齋飮酒次半山韻) = 15
    • 서재의 여러상사들 운에 답하다 이수(和西齋諸上舍韻二首) = 16
    • 퇴숙에게 증하다(贈退叔) = 17
    • 신매 정유(新梅丁酉) = 17
    • 우연히 쓰다(偶題) = 18
    • 장상사 응두의 운에 답하다(和張上舍應斗韻) = 18
    • 사중이 장차 입성하게 되어 시를 지었기에 그 운자에 화답하다(士重將入城有詩和其韻) = 19
    • 서가구경덕의 눈을 읊은 운에 차하다(次徐可久敬德詠雪韻) = 19
    • 경임에게 주다(與景任) = 20
    • 이산 교재의 벽에 시가 있으므로 화답하다 이수(尼山校齋壁有詩和之二首) = 20
    • 덕무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德茂韻二首) = 21
    • 양생 서에 제하다(題養生書) = 22
    • 여성위 송인의 운에 차하다(次礪城尉宋寅韻) = 23
    • 장성 객관에서 삼가 규암 송공인수 상공의 운에 차하다 (長城客館敬次圭庵宋公隣壽相公韻) = 24
    • 해당화 가지에 거미그물이 처져서 떨어진 꽃이 걸려 있으므로드디어 이 시를 짓다(海棠花枝有蛛網落英留掛因以賦之) = 24
    • 차운하여 오군세로에게 증하다 이수(次韻贈吳君世老二首) = 25
    • 새 채소를 이군에게 보내주고 인하여 시를 짓다(致新蔬於李秀才因有詩) = 26
    • 장성 노중에 짓다(長城路中作) = 26
    • 백탄을 지나면서(過白灘) = 27
    • 김상사 약회의 한정운(金上舍若晦閒亭韻) = 28
    • 유월에 옥천에 있으면서 귀녕을 못하고 꿈속에 어버이를 사모하여 울며 한탄하다가 깼다 그래서 일절을 썼다(六月在玉川不得歸寧夢中思親涕泣愁嘆旣覺書一絶) = 28
    • 경임 사수와 더불어 이야기하다(與景任士遂話) = 29
    • 접중에 보여 화답을 요구하다(示接中要和) = 29
    • 안생증이 장차 귀향하게 되어 시로써 묻다(安生증將歸以詩問之) = 30
    • 응제하여 예화 묵죽에 제하다 계묘(應製題 睿畵墨竹癸卯) = 30
    • 칠월 십구일 옥당에 입직하여 짓다(七月十九日直玉堂作) = 31
    • 중궁전 연상시(中宮殿延祥詩) = 31
    • 어버이를 사모하여 읊은 시(思親吟) = 32
    • 신내한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申內翰韻 二首) = 34
    • 여성이 시를 지었기에 또 화답하다(礪城有詩且和) = 34
    • 또 시를 지었기에 두 번째 화답하다(又有詩再和) = 34
    • 김저작 태용을 방문하여 만나지 못하고 짓다(訪金著作太容不遇而作) = 35
    • 양화도에 노닐면서(遊楊花渡) = 35
    • 윤정자인서의 운에 차하다(次尹正字仁恕韻) = 36
    • 우인에게 부치다(寄友人) = 36
    • 이성경만영이 금구 원으로 나가기에 송별하다(別李盛卿萬榮出宰金溝) = 37
    • 경범의 운에 차하다(次景范韻) = 37
    • 원기의 집에 당도하여 송근수를 길러 마시다(抵遠期家汲松根水以飮) = 38
    • 한강을 건너 누에 올라 취하여 원외에게 증하다(渡漢江登樓醉贈員外) = 38
    • 공산 노중에서(公山路中) = 39
    • 을사년 겨울에 짓다(乙巳冬作) = 39
    • 면산(綿山) = 40
    • 김회숙계에게 증하다(贈金晦叔啓) = 41
    • 십일월 십오일 새벽 설위하고 중종의 복을 벗다 이수(十一月十五日曉爲位釋 中廟服二首) = 441
    • 동짓날에 경범에게 보여주다 이수(至日示景范二首) = 42
    • 우연히 읊어 두 사위에게 보이다(偶吟示兩甥) = 43
    • 하문백언의이 시를 주며 화답을 요구하다 이수(河文佰彦의 贈詩要和二首) = 44
    • 계손을 기르다 삼수(養溪蓀三首) = 45
    • 초사를 읽고 진유선의 운에 차하여 경범에게 보여주고 화답을 요구하다 이수(讀楚辭次陳惟善韻示景范求和二首) = 46
    • 이상사형 및 조춘지에게 증하다(贈李上舍형及趙春之) = 47
    • 취한 뒤에 읊다(醉後吟) = 48
    • 중오 및 춘지에게 적어 보내다(簡仲悟及春之) = 48
    • 꿈에 박천리라는 성명을 가진 자가 있어 학을 뜻하는 선비로서 국중의 선비들에게 글월을 청하여 이미 권축을 이루었다 비록 일찍이 지면이 없었던 처지라도 요청하기를 꺼리지 아니하므로 노과회 민경열기 민숙도기문 제군 및 김방보선생이 다 증한 바 있다. 나는 처음에 난색을 보이다가 과회가 자기 족손이라 이르고 또 착하고 미더운 사람이란 것을 얼프시 듣고 마침내 일절을 썼다(夢有朴千里姓名者志學之士索言於一國儒雅己成卷軸雖未嘗相知亦不憚求之盧寡悔閔景說箕閔叔道起文諸君及金邦寶先生皆有贈吾始難之恍聞寡悔謂其族孫자 善信人也乃書一節云) = 49
    • 소자들에게 보이다(示小子) = 50
    • 꿈속에 계손을 읊어 그 첫구가 기억나므로 달아붙여 일절을 이루다(夢中詠溪蓀記首句足成之) = 50
    • 우연히 짓다(偶成) = 51
    • 산인 수안이 신길원 희남의 편지를 가지고 와서 만났는데 그 시축안에 귤정, 영천, 송강, 몽와 및 이상사 계진의 시가 들어있었다 송강의 시는 두수인데 한수는 자신을 말하고 한수는 산인을 말하였으므로 그를 본받아 짓다 이수(山人守安以愼吉遠喜男之書來謁軸中有橘亭靈川松江夢窩及李上舍李眞之詩松江二詩一自道一道僧仍效之二首) = 51
    • 계진이 시 네절을 지었는데 그 두수는 오로지 나에게 속한 것이므로 나도 따라서 화답하다 이수(季眞有四詩其二專屬於余余從而和之二首) = 53
    • 무신 상원일 소쇄원에 받들어 부치다(戊申上元奉寄瀟灑園) = 55
    • 소쇄옹이 왜철죽을 보내왔으므로 차운하여 사하다 이수(次韻謝瀟灑翁送日本척촉 二首) = 56
    • 어암잡영 이십수(魚巖雜詠 二十首) = 57
    • 소쇄원의 답한 운에 차하다(次瀟灑園答韻) = 57
    • 기유년 상원일 소쇄원에 봉기하다(己酉上元奉寄瀟灑園) = 68
    • 꿈을 기록하다(記夢) = 68
    • 조부사임의 명암운에 차하다(次趙府史琳鳴巖韻) = 69
    • 문보에게 증하다(贈文寶) = 69
    • 이수재 지남에게 보이다 이수(示李秀才至男 二首) = 70
    • 꿈꾸고 일어나 느낀 바 있어서 이수(夢起有感 二首)) = 71
    • 서울 길을 떠나는 이수재를 작별하면서(別李秀才洛行) = 72
    • 어떤 사람에게 증하다 이수(贈人二首) = 72
    • 취음(醉吟) = 73
    • 자영(自詠) = 74
    • 경범이 준의 운에 차하였기로 내 또 답하다 오수(景范次尊韻余又答之五首) = 74
    • 지어탄 이수(池魚歎二首) = 77
    • 벌목정정산갱유(伐木丁丁山更幽) = 78
    • 진유선의 자작한 노래를 부연하다(演陳惟善自作歌) = 78
    • 백대유를 전송하면서(送白大裕) = 79
    • 송생정황의 운에 화답하다(和宋生庭篁韻) = 79
    • 춘지의 운에 차하다(次春之韻) = 80
    • 허백승소형제의 우사에 당도하다 이수(抵許伯承紹兄弟寓舍二首) = 80
    • 마의 운을 다시 쓰다(復用磨韻) = 81
    • 계룡산 중 도섬 성수, 지운이 영천의 처소로부터 축을 가지고 찾아오다 삼수(鷄龍山人道暹性修智雲自靈川所持軸過三首) = 82
    • 교재의 음복하는 석상에 부쳐 보이다(寄示校齋飮福席上) = 84
    • 백승 형제에게 부치다 이수(寄伯承兄弟二首) = 84
    • 봄비(春雨) = 86
    • 「꽃가지는 쌀쌀한 봄바람에 움직이고자 한다」라는 구로 제를 삼아 짓다 이수(花枝欲動春風寒爲題以賦之二首) = 86
    • 경로, 공로 언진 제형에게 받들어 부치다(奉寄敬老恭老彦鎭諸兄) = 87
    • 망일사에 묵으면서 흰 병풍에 쓰다(宿望日寺題素屛) = 88
    • 산을 내려 시내를 따라가니 만장의 푸른 벼랑이 있으므로 붓을 구해 시를 싸서 춘지에게 부치다(下山沿涯有萬丈蒼壁索筆題詩寄春之) = 88
    • 송동지순를 봉별하다(奉別宋同知純) = 89
    • 김교리의 집에서 쓰다(金校理宅有題) = 89
    • 환취당 시에 화운하다(和環翠堂韻) = 90
    • 우연히 책상자를 뒤지다가 계모년에 옥당에 입직하여 지었던 시를 얻어보고 느낀 바 있어 그 운자를 사용하여 짓다(偶閱冊협得癸卯年入直玉堂所爲詩感而用其韻) = 90
    • 김 응림수, 유강지 유흥백 창문 이정서 원록의 답서를 보고서(見金應霖수兪絳之柳興伯昌門李廷瑞元祿復書) = 91
    • 울타리 곁으로 길을 내려고 하는데 대나무 한그루가 공교롭게 길이 나는 곳에 서있어 항상 어루만지며 애완하던 것이라 부득이하여 그 긴가지 잘라내다(籬傍開竹徑有一竹適當開徑之處常所最撫琓者不得已落其長枝) = 92
    • 매화, 대를 노래하다(詠梅竹) = 92
    • 읊어서 경범과 중명에게 보이다 이십일수(吟示景范仲明二十一首) = 93
    • 중명에게 답서를 부치다(寄復仲明書) = 104
    • 운주사에서 손언장 홍윤의 시에 화운하여 자실에게 증하다(雲住寺和孫彦章弘綸韻贈子實) = 105
    • 꿈에 한서책을 보았는데 대학 흑문과 같은 것이었다 그 대의를 기억할만한 것으로는「사람의 사람된 까닭은 바로 명덕이 있음으로소다」라 했고 또「당연히 네가지의 두려움을 두려워해야 한다」라는 말이 있었는데 그 네가지 두려움이란 꿈에 「하늘이 알고, 신이 알고, 그대가 알고, 내가 안다」는 설로 인식했으나 역시「외자」와는 친첩하지 않았다 생각하다가 터득을 못하고 깼다(夢看一書如大學或問者其大意可記者曰人之所以爲人者以其有明德也又有當畏四畏之語四畏夢認天知子知我知之說而亦不貼畏字思之不得而覺) = 106
    • 소쇄원에 받들어 부치다(奉寄瀟灑園) = 107
    • 백대유에게 화답하다(和白大裕) = 107
    • 신길원의 시에 화운하여 증하다 이수(和贈愼吉遠二首) = 108
    • 길원의 인자 운에 화답하다(和吉遠人字韻) = 109
    • 卷之七
    • 칠언절구(七言絶句)
    • 이 태수 언침의 시에 화답하다(和李太守彦침) = 111
    • 절구(絶句) = 111
    • 비 갠 뒤에 성주가 시와 술을 보내 왔으므로 그 운자를 써서 짓다(霽後城主送詩及酒因用其韻) = 112
    • 이수재의 시에 화운하다(和李秀才韻) = 113
    • 중일에게 답함(答仲一) = 113
    • 발을 상하다(傷足) = 114
    • 기명언대승에게 증하다(贈寄明彦大升) = 114
    • 변 여윤에게 증하다(贈卞汝潤) = 115
    • 우인에게 부치다 이수(寄友人二首) = 115
    • 낙봉 신공 광한에게 부쳐올리다(寄呈駱峯申公光漢) = 117
    • 박군 중민사우에게 증하다(贈朴君仲敏思愚) = 117
    • 경범이 도연명을 노래한 운에 차하다 이수(次景范詠元亮韻二首) = 118
    • 벗에게 사하다 이수(謝友二首) = 119
    • 진유선의 시에 화답하다(和陳惟善韻) = 120
    • 정충록에 제하다 이수(題精忠錄二首) = 121
    • 상지의 시에 화운하여 삼요에게 증하다(和祥之韻贈參廖) = 122
    • 오영정 차운 오수(五詠亭次韻五首) = 122
    • 금오신화를 윤예원에게 빌리다(借金鰲新話於尹禮元) = 125
    • 굴삼려를 조하다(조三閭) = 126
    • 장보에게 증하다 이수(贈張甫二首) = 126
    • 관에 제수되는 날 쓰다(除官日書) = 127
    • 경범의 시에 화운하다(和景范韻) = 128
    • 백대유에게 증하다(贈白大裕) = 129
    • 백운거사의 적성 운에 차하다(次白雲居士赤城韻) = 130
    • 자손에게 훈계하다(訓子孫) = 130
    • 문인에게 보이다 이수(示門人二首) = 130
    • 윤장원의 시에 화운하다(和尹長源韻) = 132
    • 학자에게 보이다 이수(示學者二首) = 132
    • 장원의 시에 화운하다(和長源) = 133
    • 무료하여 읊조리다(無聊有吟) = 134
    • 인중에게 화답하다(和仁仲) = 134
    • 인중의 문고 속에서 고정의 거처를 꿈꾸었다는 것을 보다(見仁仲稿中夢考亭居止云) = 135
    • 인중이 시로써 나를 불러 화답하게 하다(仁中以詩招余和之) = 135
    • 병중(病中) = 136
    • 양생 계명에게 증하다(贈梁生季明) = 136
    • 조롱 속의 학(籠鶴) = 137
    • 우연히 읊다(偶吟) = 137
    • 중명에게 보이다 이수(示仲明二首) = 138
    • 사중에게 증하다(贈士重) = 139
    • 일재의 시에 차운하다(次一齋韻) = 139
    • 용인현 사관에 자면서 사수의 양벽정 시에 차운하다(宿于龍仁縣館次士秀양 碧亭韻) = 140
    • 바다에 표류된 당나라 사람에게 증하다 이수(贈漂海唐人二首) = 140
    • 권학(勸學) = 141
    • 말과, 술과 색을 경계하다(誡言酒色) = 142
    • 이득이 보이면 의를 생각하라(見得思義) = 142
    • 군직의 책문 위 제하다(題君直策上) = 143
    • 중경의 벽상에 제한 운(題仲警壁上韻) = 143
    • 한거의 잡영을 경범에게 보이다 삼수(閒居雜詠示景范三首) = 144
    • 소회를 읊어 경범에게 답하다(詠懷答景范二首夜寄景范) = 145
    • 밤에 써서 경범에게 부치다(夜寄景范) = 146
    • 정계회 황에게 증하다 삼수(贈丁季晦황 三首) = 147
    • 석죽화(石竹花) = 149
    • 김수재 회숙에게 증하다(贈金秀才晦叔) = 149
    • 중명과 경범에게 보이다(示仲明景范) = 150
    • 경범과 중명에게 보이다(示景范仲明) = 150
    • 상지가 음, 음, 심, 세글자를 부르다(祥之呼陰吟心三字) = 151
    • 장원보에게 증하다(贈張遠甫) = 151
    • 원보의 시에 차운하다(次遠甫詩) = 152
    • 장경과 작별하면서 이하일백팔십삼수별(別長卿以下一百八十三首別) = 152
    • 유상사와 작별하면서(別柳上舍) = 153
    • 백수에게 증하다(贈伯邃) = 153
    • 인중에게 부치다(寄仁仲) = 154
    • 서재의 여러 상사 시에 화운하다 이수(和西齋諸上舍韻二首) = 154
    • 신한림의 소증한 시에 차운하다(次申翰林所贈韻) = 155
    • 사중이 장차 성으로 들어 가려면서 시를 지었기로 그 운에 화답하다(士重將入城有詩和其韻) = 157
    • 경열이 운자를 부르다 이수(景說呼韻二首) = 157
    • 덕무의 운에 차하다 삼수(次德茂韻三首) = 158
    • 수초에 가서 취하자 위성곡의 운에 차하다 이수(過遂初醉次渭城韻二首) = 159
    • 원기가 운자를 부르다(遠期呼韻) = 160
    • 맹명에게 증하다(贈孟明) = 161
    • 무료하게 홀로 있으면서 한 절구를 얻어 길원에게 보이다(獨居無聊得一絶示吉元) = 161
    • 길원의 시에 차운하다(次吉元韻) = 162
    • 촌경(村景) = 162
    • 언옥씨가 산다, 월계, 사계, 황국, 백국 여러 종류를 꺾어 묶어서 석상에 부쳐 왔으므로 이튿날 아침에 시를 지어 사례하고 인해 또 월계를 청하다(彦沃氏折山茶月季四季黃白諸菊束寄席上翌朝作詩謝之因又乞月季) = 163
    • 추성 동관에 매화나무 두 그루가 있는데 봄이 장차 반이 지나가도 오히려 꽃망울이 터지지 아니하므로 괴히 여겨 시를 짓다(秋城東館有梅二樹春且過半尙末破악 怪而賦詩) = 163
    • 한 우생이 시를 보내어 술을 토색하므로 화답하다(有一生致詩索酒和之) = 164
    • 김정랑의 벽상운에 차하다(次金正郞壁上韻) = 164
    • 흥원이 매화를 그렸기로 따라서 시를 짓다(興原畵梅因有詩) = 165
    • 임대의 젓대를 듣고서(聽林臺笛) = 166
    • 탑자리에 누워 파리를 몰면서(臥榻驅蠅) = 166
    • 눌재운에 차하여 승에게 증하다(次訥齋韻贈僧) = 167
    • 이산 향교 재실벽에 시가 붙어 있어 화답하다(尼山校齋壁有詩和之) = 167
    • 사계화를 읊다(詠四季花) = 168
    • 그림의 매(畵應) = 168
    • 사중과 더불어 배를 함께 타다 삼수(與士重同舟三首) = 169
    • 덕무의 노상 운에 차하다(次德茂路上韻) = 170
    • 사미정에서 길원과 더불어 함께 짓다(四美亭與吉元同賦) = 171
    • 송상사가 화답을 구하므로 증언록중의 운자를 쓰다(宋上舍求和贈言錄中韻) = 171
    • 우중에 글귀를 얻다(雨中得句) = 172
    • 오군 세로에게 증하다 이수(贈吳君世老二首) = 172
    • 차운하여 또 오군에게 증하다(次韻又贈吳君) = 173
    • 눈 속에 짓다(雪中) = 174
    • 동지 뒷날에(至後日) = 174
    • 매 장식을 설충순에게 빌리면서(乞천 粧於薛忠順) = 175
    • 사월 십이일 아침에 기가 있어 경운 같았다(四月十二日朝有氣如卿雲) = 175
    • 목호원에서 이상사 유정에게 경범의 운을 써서 시를 증하다(木虎院贈李上舍有貞 用景范韻) = 176
    • 손님이 오다(客來) = 177
    • 중이 있어 막걸리를 마시게 해주므로(有僧飮以山료) = 177
    • 두견의 소리를 듣다(聞杜鵑) = 178
    • 백정자 대유가 찾아오다 이수(白正字大裕見訪二首) = 178
    • 즉사로서 남서계의 운에 차하다(卽事次南西溪韻) = 179
    • 납매(蠟梅) = 180
    • 벗에게 증하다(贈友) = 180
    • 의휘 상인에게 주다(贈義暉上人) = 181
    • 가산(假山) = 182
    • 우인에게 부치다(寄友人) = 182
    • 육예배도 삼수(六藝杯圖三首) = 183
    • 제생들이 교궁에서 일과로 글을 지으면서 신암으로써 글제를 하다 이수(諸生課製於校以新巖爲題二首) = 184
    • 계손이 굴껍질에 얽히어 몹시 신기하므로(溪蓀絡蠣皮甚寄) = 185
    • 사람에게 부치다(奇人) = 186
    • 교재의 제생에게 주다(遺校齋諸生) = 186
    • 덕무와 공중에게 별장을 증하다(贈德茂恭仲別) = 187
    • 경범에게 보이다(示景范) = 187
    • 김제에서 하방을 얻어 상투에 관을 하다(得金堤荷房撮고) = 188
    • 훈도가 술을 보내 왔으므로 감사를 표하다(謝訓導送酒) = 189
    • 굴 껍질 등에 드리운 계손의 긴 잎을 잘라 허리에 띠고 나머지를 경범에게 보내다(剔호背溪蓀長葉帶之餘送景范) = 189
    • 경범과 함께 서적을 토론하고 밤이 깊어서야 파하다(共景范討論書籍夜深而罷) = 190
    • 회시의 길을 떠나는 하문백을 보내면서(送河文伯會試之行) = 190
    • 꿈에 글귀 하나를 얻었으므로 채워 만들다(夢得一句足成) = 191
    • 천보 일선 두 사가 시를 청하다 이수(天寶一禪兩師乞詩二首) = 192
    • 우중(雨中) = 193
    • 갠 뒤에 성주가 시와 술을 보내왔으므로 그 운자를 사용하여 집구를 하다 이수(霽後城主送詩及酒因用其韻集句二首) = 193
    • 또 집구의 운에 의하다(又依集句韻) = 193
    • 동짓날 경범에게 보이다 이수(至日示經法二首) = 195
    • 밤눈(夜雪) = 196
    • 숙씨가 깨진 병에 얼음을 보내고 연달아 따슨 술을 보내주다 이수(叔氏致破甁빙 連致煖酒二首) = 197
    • 송공신심을 보내어 서울로 가다(送洪公信諶之京) = 198
    • 요당에 있다가 사람에게 답하다(在요 塘答人) = 198
    • 어암잡영 팔수(魚巖雜詠八首) = 199
    • 소쇄원에게 받들어 올리다(奉呈瀟灑園) = 203
    • 소쇄원의 답한 시에 차운하다 사수(次瀟灑園答韻四首) = 203
    • 이우당(二友堂) = 205
    • 화살 통에 쓰다(題矢筒) = 206
    • 경범에게 화답하다 삼수(和景范三首) = 206
    • 김백헌성벽에게 증하다 이수(贈金伯獻成壁 二首) = 208
    • 매화가 지다(落梅) = 208
    • 태수의 증시에 화운하다(和太守贈韻) = 209
    • 중오에게 편지하다(簡仲悟) = 210
    • 무제 이수(無題二首) = 210
    • 백승 형제가 술을 가지고 찾아오다 삼수(伯承兄弟以酒來訪三首) = 212
    • 정군의 시에 화답하다 이수(和鄭君詩二首) = 213
    • 헌납암 태수의 석상에서 짓다 이수(獻納巖太守席上賦二首) = 214
    • 손분(蓀盆) = 215
    • 평숙에게 증하다(贈平叔) = 216
    • 꿈을 기록하다(記夢) = 216
    • 태수가 시와 술을 보내 왔으므로 다시 그 시의 운자를 써서 집구하다(太守致詩及酒復用來集句) = 217
    • 앞의 시는 모두 집구를 하고서 그 이름을 주달지 않았는데 지금 그 내력을 물으므로 시로써 봉답하다 삼수(前詩皆集句而不註其名問其來處奉答以詩三首) = 217
    • 산인 대원이 석천, 귤정, 미암의 지은 시를 가지고 와서 하답을 구하다 삼수(山人大遠將石川橘亭眉巖諸作求和三首) = 219
    • 성주가 보리를 보내주다(城主致牟) = 220
    • 원종이 지리산으로 돌아가므로 시를 지어 전송하다(圓宗還智異山以詩送之) = 221
    • 남장보의 시를 화답하다(和南張甫) = 222
    • 사람의 시 운에 차하다(次人韻) = 222
    • 고군 우가 술을 가지고 찾아오고 윤언은 시를 구하다(高君雩持酒來訪允言求詩) = 223
    • 김군에게 증하다 사수(贈金君四首) = 223
    • 벗님에게 감사를 표하다(謝友) = 225
    • 금강 누선에 제하다(題錦江樓船) = 226
    • 이희정이에게 증하다 삼수(贈李希程이 三首) = 226
    • 호아의 시에 차운하다(次虎兒韻) = 228
    • 서향화(瑞香花) = 228
    • 적성 모임에 노닐은 사람에게 부치다(寄赤城會遊人) = 229
    • 승려 지인이 노형 자주종를 빙자하여 시를 구하므로 기증하다(僧志仁憑盧兄子胄宗求詩寄贈) = 229
    • 문암이 붕어회를 보내왔으므로 어버이께 올렸던바 병환이 드디어 나았으르로 사의를 표하다(謝門巖致○魚호獻親病遂) = 230
    • 문암이 보내준 은붕어를 어항 속에 놓아 살리며 따라서 느끼움이 있어 읊조리다(門巖所致은즉放活盆中仍感有詠) = 231
    • 고폭쇄경허에게 증하다(贈高曝灑景虛) = 231
    • 변여윤에게 증하다(贈卞汝潤) = 232
    • 경응이 시를 지었으므로 화작하다(敬應有詩和之) = 232
    • 유상사의 향염시에 화답하다(和柳上舍作香렴詩) = 233
    • 국번이 대자를 구하므로 시 한수를 쓰다(國藩求大字題一詩) = 233
    • 장경의 세 인자 운에(長卿三人字韻) = 234
    • 또 앞장의 뜻을 넓히다(又廣前章之意) = 234
    • 우중즉사(雨中卽事) = 235
    • 임유의 시에 화답하다(和任有) = 235
    • 상지에게 희롱삼아 증하다 이수(戱贈祥之二首) = 236
    • 고사숙민의 거처에 제하다(題高思叔敏居) = 237
    • 쌍계재에 접방의 예회가 있으므로 시 한절을 지어서 보여주다(雙溪齋有接房禮會得一絶以示) = 237
    • 장원보의 집에 가서 취해 읊다(往張遠甫家醉吟) = 238
    • 느낌이 있어서(有感) = 238
    • 맹동에 운주의 노상에서 짓다(孟冬雲住路上作) = 239
    • 김강숙성원에게 증하다(贈金剛叔成遠) = 239
    • 매봉(梅峰) = 240
    • 고봉에게 부치다(寄高峰) = 240
    • 제군의 운에 차하여 증하다(次贈諸君) = 241
    • 경범의 어부를 노래한 운에 차하다(次景范詠漁父韻) = 241
    • 병학(病鶴) = 242
    • 이진사의 어머니 만사(挽李進士母氏) = 242
    • 만가(挽歌) = 243
    • 김응진의 만사(挽金應軫) = 243
    • 자언이 그 사위의 만사를 청하다(子彦求挽其서) = 244
    • 이괄의 실내에 대한 만사 이수(挽李适室二首) = 244
    • 이상사에 대한 만사(挽李上舍) = 245
    • 김조에 대한 만사 이수(挽金祖二首) = 246
    • 진직강이 남을 위하여 만사를 구하다 이수(陳直講爲人求挽二首) = 247
    • 신상사가 그 종형의 만사를 요구하다 이수(辛上舍求挽其從兄二首) = 248
    • 문인에게 보이다 이하 팔수는 증(示門人以下八首增) = 249
    • 계회의 시에 차운하다 이수(次季晦韻二首) = 249
    • 귀래정을 읊다(詠歸來亭) = 250
    • 안판관처순의 사제당에 제하다(題安判官處順思齊堂) = 251
    • 소쇄원에 받들어 부치다(奉寄瀟灑園) = 251
    • 중명과 경범에게 보이다(示仲明景范) = 252
    • 또 최 상사학령의 율정시에 차운하다(又次崔上舍鶴齡栗亭韻) = 252
    • 卷之八
    • 오언율시(五言律詩)
    • 정월 초하룻날 쓰다(正月朔日書) = 253
    • 조상사 선경숙이 시로써 동반에게 보여주므로 화답하다(曺上舍善卿淑以詩示同伴和之) = 254
    • 최군 웅지가 관서로 돌아가면서 증별을 구하다(崔君雄之還關西求贈別) = 255
    • 소쇄정 즉사(瀟灑亭卽事) = 255
    • 강호계회도(江湖契會圖) = 256
    • 송상공 운을 차하여 봉별하다(次宋相公韻奉別) = 257
    • 분국(盆菊) = 257
    • 정목을 보고(見政目) = 258
    • 유인경에게 주다(贈柳隣卿) = 259
    • 유감 이수(有感二首) = 260
    • 춘지에게 주다(贈春之) = 261
    • 여성위의 관이당 운에 화작하다(和礪城尉觀이堂韻) = 262
    • 대전 연상시(大殿延祥詩) = 263
    • 대전 단오첩(大殿端午帖) = 264
    • 중궁전 단오첩(中宮殿端午帖) = 265
    • 김응림에게 보이다(示金應霖) = 266
    • 망운정(望雲亭) = 267
    • 매화를 보고서 짓다(見梅花有作) = 268
    • 정중 중선 대수의 운에 화작하다(和精仲仲善大秀韻) = 269
    • 읊어서 경범 중명에게 보이다(吟示景范仲明) = 269
    • 근친하려 돌아가는 성언소자항를 보내면서(送成彦昭子沆歸覲) = 270
    • 윤탄지의 해정에 기제하다(寄題尹坦之海亭) = 271
    • 변여윤에게 증하다(贈卞汝潤) = 272
    • 꿈 속에 짓다(夢中作) = 272
    • 자응이 장차 양주로 가게 되어 시를 요구하다(子膺將向楊州求詩) = 273
    • 객지에서 송별하다(客中送別) = 274
    • 강천에 올라 짓다(上剛泉作) = 274
    • 가을날 새벽에 짓다(秋曉作) = 275
    • 김진안현감의 수각에서(金鎭安水閣) = 276
    • 윤상사의 연정운(尹上舍蓮亭韻) = 277
    • 관서로 가는 사수를 전송하다(送士遂關西之行) = 277
    • 벡수가 강정에 제할 것을 요구하다(伯遂求題江亭) = 278
    • 과회가 시를 요구하기에(寡悔求詩) = 279
    • 태술에 증별하다(贈太述別) = 280
    • 창서를 보내면서(送昌瑞) = 281
    • 서가구가 태재와 더불어 박연에서 창화한 일을 말해주며 따라서 그 시에 보운하기를 요구하다(徐可久說與太宰唱和於朴淵事因又久步其韻) = 282
    • 용인관 판상의 운으로 경원을 전별하다(龍仁관 板上韻別景遠) = 283
    • 증별(贈別) = 283
    • 자응과 작별하면서(別子膺) = 283
    • 주사안이을 보내면서(送周士安怡) = 284
    • 맹명이 과회의 별장을 보여주므로 내 또한 지어 증하다(孟明示以寡悔別章余亦爲贈) = 286
    • 농가를 슬퍼하다 삼수(傷田家三首) = 286
    • 보리 베는 것을 보고서(刈麥) = 287
    • 콩 심은 것을 보고서(種豆) = 287
    • 김 매는 것을 보고서(耘苗) = 288
    • 맹명 과회, 길원, 세 군자에게 증하다(贈孟明寡悔吉元三君子) = 289
    • 경유의 운에 차하다(次景游韻) = 290
    • 석천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石川韻二首) = 290
    • 직경의 거실에 제하다(題直卿居) = 292
    • 백천으로 가는 경범을 전송하다(送景范之白川) = 293
    • 산사에 있으면서 태용형에게 부치다 이수(在山寺寄太容兄二首) = 293
    • 갈원에 유숙하는데 성언직자청제공이 나에게 청하여 시를 짓게하다(宿葛院成彦直子淸諸公請余爲詩) = 295
    • 취대에 오르다(登吹臺) = 296
    • 김상사 약회의 한정 운(金上舍若晦閒亭韻) = 297
    • 박 상사가 율시 한수를 만들어 화답을 요구하였다(朴上舍爲一律索和) = 297
    • 시월의 뇌성(十月雷) = 298
    • 남의 집 정자에 제하다 이수(題人家亭子二首) = 299
    • 객지에서 사람에게 증하다(客中贈人) = 301
    • 읊어 제군에게 보이다 이수(吟示諸君二首) = 302
    • 석전의 날에 짓다(釋奠日昨) = 304
    • 김자호징 변여윤에게 봉증하다(奉贈金子浩증卞汝潤) = 305
    • 유이발식이 술잔과 화분을 보내왔으므로 감사를 표하다(謝柳而發植送酒器花盆) = 306
    • 경로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慶老韻二首) = 306
    • 설상사홍윤의 정자 운(薛上舍弘允亭子韻) = 308
    • 경임에게 증하다(贈景任) = 309
    • 자계이수(自誡二首) = 309
    • 분성 김경로의 운에 차하다(次盆城金慶老韻) = 311
    • 낙중에 부치다(寄洛中) = 312
    • 박 대균개의 청향당에 제하다 이수(題朴大내 漑淸香堂二首) = 312
    • 병중에 짓다(病中作) = 314
    • 신재의 「문주」를 추억한 나머지 두릉의 운에 화작하여 경범에게 보이다(憶新齋問酒和杜陵韻示景范) = 315
    • 그믐날 이수재가 와서 소학을 묻다(晦日李秀才來問小學) = 316
    • 장보의 운자로 지어 호아를 보내다(用張甫韻送虎兒) = 317
    • 귀래정에 올라 술자리를 벌리다(上歸來亭開酌) = 318
    • 기재 상공의 효릉 만사운에 화작하다(和企齋相公 孝陵挽韻) = 318
    • 효릉이 동궁에 계실적에 대전의 탄일을 당하여 어제의 율시가 있었으므로 삼가 절을 하고 화작하다(孝陵在東宮時於 大殿誕日有 御製律詩謹拜和之) = 320
    • 무신년 봄에 점암촌에 우거하여 납매 한 그루를 뜨락 모퉁이에 옮겨 심었는데 처음에는 말라가다가 다시 소생하여 봄이 저물어서야 비로소 피기 시작하므로 희롱삼아 짓다(戊申春寓居點巖移臘梅一根於庭隅欲枯更蘇春暮始開희 之) = 321
    • 자수에게 화답하다(和子遂) = 322
    • 김 상주 계진언거에게 기증하다(寄贈金尙州季珍彦거) = 323
    • 연덕원 묵은 버드나무 아래서 쉬다(憩延德院古柳下) = 324
    • 영천의 풍수당운에 화작하다(和靈川風樹堂韻) = 324
    • 퇴계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退溪韻二首) = 326
    • 풍영정 주인에게 증하다(贈風詠亭主人) = 328
    • 이광문에게 증하다(贈李廣文) = 329
    • 한정에 차운하다(次閒亭韻) = 330
    • 매월정(梅月亭) = 330
    • 자응에게 증하다(贈子膺) = 331
    • 신언옥이 연경의 주기를 기증하므로 사의를 표하다(謝申彦沃贈燕京酒器) = 332
    • 신분의 시축속의 운에 차하다(次申분軸中韻) = 333
    • 문암에게 봉증하다 이수(奉贈門巖二首) = 334
    • 김재청익에게 증하다(贈金載淸瀷) = 336
    • 영모당 운에 차하다(次永慕堂韻) = 336
    • 중원에게 증하고 아울러 무숙에게 보이다(贈重遠兼示茂叔) = 337
    • 용계를 송별하다(別送容季) = 338
    • 환벽당(環碧堂) = 339
    • 경로를 전송하면서(送慶老) = 340
    • 소쇄정운(瀟灑亭韻) = 341
    • 소쇄옹이 아들에게 줄 서찰의 후면에 제하여 양생에게 보이다(題瀟灑翁與子書後以示梁甥) = 341
    • 과회의 편지를 보고서(見寡悔書) = 342
    • 숙도와 더불어 밤새 이야기하다(與叔道夜話) = 343
    • 백진의 아들에게 증하다(贈伯鎭之子) = 344
    • 금구교장에게 부치다(寄金溝校長) = 345
    • 기덕우대유에게 봉증하다(奉贈寄德優大有) = 346
    • 동짓날 중명이 친가로 돌아가기에 증별하다(至日贈別仲明還覲) = 347
    • 소쇄원에 봉증하다(奉呈瀟灑園) = 348
    • 모재 김선생안국의 만사 삼수(挽慕齋金先生安國 三首) = 349
    • 양진옹하만리의 만사(挽養眞翁河萬里) = 351
    • 원기 낭중의 만사 삼수(挽遠期郞中三首) = 352
    • 김전한기의 만사 이수(挽金典翰紀 二首) = 355
    • 안판관의 만사 이수(挽安判官二首) = 356
    • 문암의 만사 삼수(挽門巖三首) = 358
    • 소쇄원 주인의 만사(瀟灑園主人挽) = 360
    • 기상사진의 만사 이수(挽寄上舍進二首) = 361
    • 차선생회윤의 만사(挽車先生希胤) = 363
    • 손삼재중돈의 만사(挽孫三宰仲暾) = 364
    • 금양군 오겸의 부인 안씨의 만사(挽錦陽君吳謙夫人安氏) = 365
    • 卷之九
    • 오언율시(五言律詩)
    • 이 장원을 뵈고 좌상에서 지은 시 이하 일백 이십일수는 별(拜李壯元座上有詩以下一百二十一首別) = 367
    • 오선달전이 장차 고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시로써 송별하다(吳先達전 將下鄕送之以詩) = 368
    • 또 전운을 쓰다(又用前韻) = 369
    • 증별 이수(贈別二首) = 370
    • 양재 우중 이수(良才雨中二首) = 371
    • 백대유 평사에게 봉사함(奉謝白大裕評事) = 373
    • 주인이 시를 요구하므로 그 부채 위에 쓰다(主人求詩書其扇上) = 374
    • 대전 춘첩(大殿春帖) = 375
    • 법성창 회화축에 성주를 위하여 제하다(法聖倉會話軸爲城主題) = 376
    • 상사답청(上巳踏靑) = 377
    • 태액지의 부용(太液芙蓉) = 378
    • 봉래궁의 새벽달(蓬萊曉月) = 379
    • 금릉 회고(金陵懷古) = 380
    • 선전관 계축(宣傳官契軸) = 381
    • 중궁전 춘첩(中宮殿春帖) = 382
    • 강정에 모여 술을 마시다(江亭會飮) = 383
    • 이틀이 지나서 다시 전날 운자를 쓰다(越二日復用前韻) = 383
    • 거문고 노래를 듣다(聽琴歌) = 384
    • 또 장경을 희롱하는 시를 지으면서 전 운자를 쓰다(又戱長卿用前韻) = 385
    • 유인중과 작별하다(別柳仁仲) = 386
    • 한림이 율시 다섯수를 주며 화답을 구하다(翰林贈五律求和) = 387
    • 대전 단오첩(大殿端午帖) = 388
    • 석헌선생의 시에 차운하여 신도상인에게 주다(次石軒先生韻贈信道上人) = 389
    • 조양중존의 술을 마시고서 주인의 시 요구하는 청을 입었음(飮趙養仲存酒仍被主人求詩) = 390
    • 대전 단오첩(大殿端午帖) = 391
    • 귀래정 문암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歸來亭門巖韻二首) = 392
    • 김재청에게 주다(贈金載淸) = 393
    • 송별 이수(送別二首) = 394
    • 금탄에서 배를 띠우다(泛金灘) = 396
    • 금구관에서의 화별(金溝館話別) = 397
    • 대년이 술 가지고 찾아왔기로 희롱삼아 숙씨를 초청하다(大年以酒來訪戱邀叔氏) = 398
    • 병오(丙午)년 여름에 나는 이미 병이 들어 하는 일이 없고 다만 종식(種植)에 마음을 쓸 뿐인데 분구(盆具)를 졸지에 구득하지 못하여 마침내 대나무를 물길는 동이에 옮겨 심기를 두 번이나 했다 심을 적마다 심는 법에 의했으나 오히려 살지 못하고 모두 마디가 꺾이어 죽고 말았다. 겨울에는 나무하는 아이가 어린 소나무 한 포기를 가져왔는데 그 구루가 서른둘이나 되어 사발에 심었더니 역시 죽고 말았고 또 전부터 계손(溪蓀) 두 포기를 가지고 있어 하나는 소라껍질에 붙여놓아 상시 구경품으로 삼고 하난는 그대로 돌위에 두었었다. 설산-옥과(雪山-玉果)의 교대가 있자 마침 와서 보고 공인(工人)을 시켜 대략 솥과 화로의 모양을 본떠 만들어 보내고 돌 위에 있는 것은 그곁에 다른 기석(奇石)을 벌려 놓은 동시에 아래는 흰모래를 깔고 고기새끼를 넣어 뜰에 두었는데 극한 추위로 얼어터져 고기 역시 살아남지 못했다. 집 남쪽에 남새밭이 있어 샘줄기가 울타리밖으로부터 흘러 뒤안으로 들어오므로 조그마한 연못을 파서 돌을 포개 쌓아 물로 채우고 고기를 길러 먼젓것 뒤에것 합쳐 약간마리가 되었는데 혹은 고양이에게 먹히고 혹은 쥐에게 먹히고 혹은 아이들이 앎아먹곤 한 마리도 남은 것이 없다. 신언옥(申彦沃)씨가 유자분(盆柚)을 보냈는데 길이가 한자 남짓하여 더욱 애완하였다. 겨울철에 이르러 영양을 잃고 또 아이들이 흔들어대곤하여 필경에 말라죽었다. 그리고 매화는 병오년 봄에 장성집에 있을적에 작은 아들 종호(從虎)가 깨진 그릇에 옮겨 놓은 것이 세구루였는데 남산(南山)집으로 오자 여름에 하나는 죽었고 하나는 허응서(許應瑞)가 분가리했는데 정미(丁未)년 겨울 봄 사이에 죽었고 남아있는 한 그루는 두 번이나 생원(生員)아저씨의 염소에게 뜯어먹히여 가지와 잎이 아직도 새로 돋아나지 않고 있다. 진유선(陳惟善)의 집에 괴석(怪石)이 있어 지금 담장 밑에 옮겼으니 때는 사월임진(壬辰)일이다.(丙午夏余旣病無所事惟致意於種蒔而盆具顧未可卒得乃移竹於汲罌至再皆用種法猶不活各節解而死종 有樵童得稚松一叢其柱三十有二栽之碗中亦死又嘗有溪蓀二叢一傅之호 背以常琓一仍在石上雪山交代適來見爲敎工人略倣鼎爐爲制以送之石上者傍列他奇石下鋪以白沙而放以小魚치 之庭極寒凍裂魚亦不能存舍南有菜畦泉流自籬外入圃鑿一국 地累石而저 之所蓄魚先後凡若干尾或殘於猫或蝕於蟲又或爲兒輩之烹食焉無孑遺者申彦沃氏致盆柚長可尺餘盆所撫琓至冬而失其養 爲兒童 所振搖遂以橋死梅則丙午春在長城家少子從虎所移上破器者三而自來南山家夏死其一一死於丁未冬春之交而盆改於許應瑞所存一株再爲生員叔之羔所齧枝葉尙未能更萌焉陳惟善家有怪石今致之墻下時四月壬辰也) = 399
    • 한거즉사(閒居卽事) = 402
    • 부질없이 쓰다(만書) = 403
    • 신청(新晴) = 404
    • 시를 이루어 서재에 사하다(致詩謝西齋) = 405
    • 청원루에서 짓다(淸遠樓作) = 406
    • 운대사를 작별하며 그 운에 화작하다(別雲師和其韻) = 406
    • 양한에게 증하다(贈梁漢) = 407
    • 즉사(卽事) = 408
    • 김진원만일에게 증하다(贈金珍原萬鎰) = 409
    • 근부 집앞의 계정을 지나면서(過謹夫家前溪亭) = 409
    • 맹명 과회 길원 세 군자에게 증하다(贈孟明寡悔吉元三君子) = 410
    • 맹명이 과회의 별장을 나에게 보여주므로 나 역시 증하다(孟明示以寡悔別章余亦爲贈) = 411
    • 윤경인에게 증하다(贈尹景仁) = 412
    • 용정에 제하다(題龍亭) = 412
    • 군직에게 증하다(贈君直) = 413
    • 승려 견상인에 증하다(贈釋堅上人) = 414
    • 대곡에서 인중과 더불어 밤에 이야기하다(大谷與仁仲夜話) = 415
    • 이영해의 용성 운에 차하다(次李寧海龍城韻) = 415
    • 산중의 사경을 읊다(詠山中四景) = 416
    • 반딧불(螢火) = 417
    • 우중(雨中) = 418
    • 용형이 여량에 당도하여 지은 시의 운에 차하다(次容兄到蠣良所作韻) = 419
    • 중경의 벽상에 제하다(題仲警壁上) = 420
    • 윤상사 명윤순의 연정운(尹上巳明允洵蓮亭韻) = 420
    • 열경의 병중시를 차운하여 평숙에게 보이다(次悅卿病中詩示平叔) = 421
    • 성징에게 증하다(贈性澄) = 422
    • 유선의 시 운에 화작하다(和惟善詩韻) = 423
    • 정혜사 중 행정이 시를 요구하기에(定惠寺僧行靖求詩) = 423
    • 강상(江上) = 424
    • 벽송정 주인에게 증하다(贈碧松亭主人) = 425
    • 산절에 깃들어 중길에게 부치다(棲山寺寄仲吉) = 426
    • 신청(新晴) = 426
    • 견오의 벽상에 제하다(題肩吾壁上) = 427
    • 남의 집 정자에 제하다(題人家亭子) = 428
    • 문대사에게 증하다 이수(贈文師二首) = 429
    • 화죽에 제하다(題畵竹) = 431
    • 중에게 증하는 동시에 겸하여 오군에게 부치다(贈僧兼寄吳君) = 431
    • 취하여 이 질에게 증하다(醉贈李질) = 432
    • 경로의 작에 차운하다(次慶老韻) = 433
    • 소쇄정 운(瀟灑亭韻) = 434
    • 김상주 계진에게 기증하다(寄贈金尙州季진) = 434
    • 화양정(華陽亭) = 435
    • 문암의 운에 차하다 이수(次門巖韻二首) = 436
    • 고우탄(苦雨嘆) = 438
    • 환취정 운에 차하다(次環翠亭韻) = 438
    • 무제(無題) = 439
    • 원례에게 증하다(贈元禮) = 440
    • 이군이 시를 요구하다(李君求詩) = 441
    • 강중이 장차 고향에 내려가 그 형을 장사하려면서 만사를 요구하다(剛仲將下鄕葬其兄求挽) = 441
    • 빙모의 만사 이수(聘母挽二首) = 442
    • 김원조적의 만사(挽金原祖積) = 444
    • 유군연개의 만사(挽柳君沿漑) = 445
    • 문암의 만사 이수(挽門巖二首) = 446
    • 원기랑중의 만사 이수(挽遠期郞中二首) = 447
    • 재령군수의 만사 이수(挽載寧郡守二首) = 449
    • 소쇄원 주인의 만사 삼수(挽瀟灑園主人三首) = 451
    • 손삼재의 만사(挽孫三宰) = 453
    • 이 인중종원의 만사(挽李仁仲宗元) = 454
    • 경명군침의 부인의 만사(挽景明君침 夫人) = 455
    • 기상사의 만사(挽奇上舍) = 456
    • 금양군 부인 안씨의 만사 이수(挽錦陽君夫人安氏二首) = 457
    • 이진사곤의 어머님의 만사 이수(挽李進士坤母氏二首) = 459
    • 용형 이의 만사(挽容兄이) = 461
    • 이백 희조의 만사(挽李伯喜祖) = 462
    • 이현경광국의 만사(挽李顯卿光國) = 463
    • 감사의 만사(挽監司) = 464
    • 만가 팔수(挽歌八首) = 465
    • 소재의 시에 차운하다 이수 이하 오수는 증(次蘇齋韻二首以下五首增) = 472
    • 최상사 율정의 여하에 봉정하다(奉呈崔上舍栗亭廬下) = 474
    • 김상사 약회의 한정에 차운하다(次金上舍若晦閒亭韻) = 475
    • 소쇄원 주인의 만사(挽瀟灑園主人) = 476
    • 卷之十
    • 칠언율시(七言律詩)
    • 효선에게 증하다(贈孝先) = 477
    • 인중 앙이와 함께 화중의 곳에 가서 술을 마시다(同仁仲仰而往和仲處飮酒) = 478
    • 선경이 정사군 한룡의 시에 화작할 것을 요하다(善卿要和鄭使君漢龍之作) = 479
    • 송상사의 송별운에 화작하다(和松上舍送別韻) = 480
    • 박양숙과 작별하다(別朴養叔) = 481
    • 정칙을 전송하다(餞正則) = 482
    • 반궁에서 유별하다(泮宮留別) = 483
    • 길원의 운자를 쓰다(用吉元韻) = 483
    • 연대암에서 덕무에게 증하다(蓮臺菴贈德茂) = 484
    • 언진형의 임정을 방문하다(訪彦鎭兄林亭) = 485
    • 덕무 의지 제군에게 증하다(贈德茂毅之諸君) = 486
    • 우연히 뒷산 정자에 나가다(偶出後亭) = 487
    • 여원에서 짓다(女院作) = 487
    • 월출산을 보면서(見月出山) = 488
    • 병영에서 짓다(兵營作) = 489
    • 점필재의 벽상 운을 사용하여 두 선생에게 바치다(用점畢壁上韻呈兩先生) = 490
    • 청원루에서 짓다(淸遠樓作) = 491
    • 백수의 운에 차하다(次伯遂韻) = 491
    • 면앙정 운 이수(면仰 亭韻二首) = 492
    • 사수에게 희증하다 이수(戱贈士遂二首) = 494
    • 중궁전 춘첩(中宮殿春帖) = 496
    • 중궁전 연상첩(中宮殿延祥帖) = 497
    • 납전 삼맥(臘前三白) = 498
    • 광한루의 운에 차하다(次廣寒樓韻) = 499
    • 운주로 가는 덕무를 보내면서(送德茂之雲住) = 500
    • 황국(黃菊) = 500
    • 관수정 원운에 차하다(次觀水亭韻) = 501
    • 관등(觀燈) = 502
    • 이교리가 떠나는데 나는 기고가 있어 나가 전송하지 못하고 술병과 시를 가져전별하는 자리에 보내다(李校理行余以忌辰不得就餞將酒壺及詩致于餞席) = 503
    • 단성택의 벽상 운에 화작하다(丹城宅和壁上韻) = 504
    • 백수가 경주로 가면서 배위에 당도하여 나에게 술을 요구하므로 나는 집에 기고가 들어 나가보지 못하고 술 안주 및 시를 보내어 작별하다오수(伯邃向慶州至船上求酒於余余以忌日未出見致肴及詩爲別五首) = 505
    • 대전 단오첩(大殿端午帖) = 511
    • 송동지의 임거에 대한 운(宋同知林居韻) = 512
    • 대전 연상첩(大殿延祥帖) = 513
    • 이요당(二樂堂) = 514
    • 교리의 운을 사용하다 이수(用校理韻二首) = 515
    • 이사중홍남의 운에 차하다(次李士重洪男韻) = 517
    • 희우(喜雨) = 518
    • 길원의 시가 있기에 차운하다(吉元有詩次其韻) = 519
    • 길원의 운에 차하다(次吉元韻) = 520
    • 사포계축(司圃契軸) = 520
    • 대전의 단오첩(大殿端午帖) = 521
    • 규암의 시권에 쓰다(題圭菴詩卷) = 522
    • 신묘년 연방 조사계회축(辛卯蓮榜曹司契會軸) = 523
    • 광한루 운(廣寒樓韻) = 524
    • 서울로 돌아가는 이도사를 전송하면서(送李都事還京) = 525
    • 규암 상공의 운에 차하다(次圭庵相公韻) = 526
    • 인중의 운에 차하여 상공을 봉별하다(次仁仲韻奉別相公) = 526
    • 용성에서 규암 상공을 봉별하다(龍城奉別圭庵相公) = 527
    • 규암의 중국 가는 길에 대하여(圭庵赴都之行) = 528
    • 풍영정에서 규암의 운에 차하다(風詠亭次圭庵韻) = 529
    • 이박사호와 더불어 술을 사서 밤에 마시면서(與李博士浩沽酒夜飮) = 530
    • 묵죽(墨竹) = 531
    • 장호원의 시를 화작하여 이이직에게 증하다(和張浩源詩贈李而直別) = 532
    • 대전 춘첩(大殿春帖) = 532
    • 제천정에서 중국 사신의 운에 차하다(濟川亭次 華使韻) = 533
    • 중국 사신 성묘 알현의 운에 차하다(次 天使謁 聖廟韻) = 534
    • 옥당 실학의 운(玉堂失鶴韻) = 536
    • 대전 단오첩 이수(大殿端午帖二首) = 536
    • 중궁전 단오첩(中宮殿端午帖) = 538
    • 사수의 운에 화작하여 중에게 주다(和士遂韻贈僧) = 539
    • 김상사의 당을 두고 읊다(金上舍堂詠) = 539
    • 관정루(觀政樓) = 541
    • 사수가 나의 설산 걸음을 전별하면서 「임금을 잊지 않을 것, 직을 욕되게 아니할 것, 술을 절제하고 글 읽기를 좋아할 것」을 들어 시를 기증 하였다. 병오년 여름에 장성집에 있으면서 우연히 펴어보고 느낌이 있어 드디어 그 운에 의하여 화작하다 사수(士遂別我雪山之行以不忘君不첨 職節飮好讀爲贈丙午夏家居長城偶閱而有感因依其韻和之四首) = 542
    • 귤분을 받고 감사를 표시하다(謝橘盆) = 546
    • 취대에 오르다(登吹臺) = 547
    • 독락원(獨樂園) = 548
    • 칠계십영(漆溪十詠) = 549
    • 선창 범주(仙滄泛舟) = 549
    • 현봉 요월(懸峯邀月) = 550
    • 서석 청운(瑞石晴雲) = 551
    • 금성 제설(錦城霽雪) = 551
    • 월출 묘애(月出杳靄) = 552
    • 나산 촌점(羅山村店) = 553
    • 양평 다가(楊平多稼) = 554
    • 유시 장림(柳市長林) = 555
    • 수교 심춘(繡郊尋春) = 556
    • 원탄 조어(院灘釣魚) = 557
    • 이 천안난의 운에 차하여 현상인에게 증하다(次李天安蘭韻贈玄上人) = 558
    • 김경로와 작별하면서(別金慶老) = 558
    • 안진원홍이 장차 교체되므로 교관을 갖추어 전별하는데 내가 마침 지나다가 이 시를 짓다(安진原鴻將遞具校餞之余適過之作此) = 559
    • 읊어서 경범과 중명에게 보이다(吟示景范仲明) = 560
    • 면앙정에 두 번째 제하다 이수(再題면仰亭二首) = 561
    • 김박사 태용을 전송하면서(送金博士太容) = 562
    • 우인의 정자에 제하다(題友人亭子) = 563
    • 계진에게 증하다(贈季진) = 564
    • 한선(寒蟬) = 565
    • 수유를 노래하다(詠茱萸) = 566
    • 등곡 상인에게 증하다(贈燈谷上人) = 567
    • 송군윤이 동지가 제한 당의 영시를 지니고 있으므로 화작하다(宋君綸有同知所題堂詠和之) = 568
    • 춘지가 신재의 양벽정 운에 화작할 것을 요구하다(春之索和新齋瀁碧亭韻) = 569
    • 단암에서 마음 놓고 술을 마시다가 마침내 묵은 병 증세가 발작하여 머물면서 오상지에게 증하다 이수(放酒丹巖遂發宿證次贈吳祥之二首) = 570
    • 기유년 가을에 짓다 이수(己酉秋作二首) = 571
    • 퇴계의 운에 차하다(次退溪韻) = 573
    • 여패의 운에 차하다(次汝패) = 574
    • 화작하여 서조대에게 증하다(和贈徐措大) = 575
    • 대자리(竹점) = 576
    • 파리를 미워하다(憎蠅) = 576
    • 명격을 노래하다(詠鳴격) = 578
    • 서화담의 독역시에 차운하다 이수(次花潭讀易詩韻二首) = 579
    • 낙성당(樂聖堂) = 581
    • 수운정(水雲亭) = 582
    • 납매를 섬 위에 옮겨 심고서 그 마른가지는 잘라내고 연한 가지만 남기어 복돋았다(移蠟梅於階上剪其枯枝存其嫩條而培之) = 583
    • 죽원에 제하다(題竹院) = 584
    • 환벽당(環碧堂) = 585
    • 경범과 중명에게 보이다 이수(示景范仲明二首) = 585
    • 죽우당(竹雨堂) = 587
    • 어관포득강의 운을 사용하다(用魚灌圃得江韻) = 588
    • 유판서여림의 만사(挽兪判書汝霖) = 589
    • 용형의 존부만사 이수(挽容兄尊府二首) = 589
    • 윤사율의 만사(挽尹士栗) = 592
    • 소쇄원 주인의 만사(挽瀟灑園主人) = 593
    • 조참봉세행의 만사(挽趙參奉世珩) = 594
    • 최부평의 만사(挽崔富平) = 595
    • 이상사의 만사(挽李上舍) = 596
    • 김정승의 만사(挽金右相) = 597
    • 곽상사에서 증하다 이하 칠십팔수는 별(贈郭上舍以下七十八首別) = 598
    • 반궁에서 유별하다(泮宮留別) = 599
    • 윤상사의 임원에 제하다(題尹上舍林園) = 599
    • 경사자리에 공망이 「양은동경」으로써 글제를 하여 시를 짓게 하다(慶席公望以兩恩同慶爲題使之賦) = 600
    • 재중의 여러 상사와 더불어 수화하다(與齋中諸上舍수 和) = 601
    • 대전 연상첩(大殿延祥帖) = 602
    • 납일 전의 삼백(臘前三白) = 603
    • 마음 고요하니 바다 갈매기가 알아보다(心靜海鷗知) = 603
    • 반비 보련도(潘妃步蓮圖) = 604
    • 적영반 앵도(赤瑛盤櫻桃) = 605
    • 창성에게 증하다(贈昌盛) = 606
    • 객중 즉사(客中卽事) = 607
    • 상양궁의 홍도화(上陽紅桃) = 608
    • 미앙궁의 드리운 버들(未央垂柳) = 609
    • 내한이 화작을 보고 또 화작할 것을 명하다(內翰見和又命和) = 610
    • 원외가 화작하지 아니하므로 다시 올려 화작을 청하다(員外不和更呈乞和) = 610
    • 임경류에 제하다(題臨鏡樓) = 611
    • 석교를 지나가면서 태용과 더불어 연구를 짓다(過石橋與太容聯句) = 612
    • 예전에 노니던 것을 추억하여 써서 이이직에게 보이다(憶舊遊書示李而直) = 613
    • 격구를 구경하다(觀擊毬) = 614
    • 술을 싣고 정자에서 노닐다(載酒遊亭上) = 614
    • 석춘(惜春) = 615
    • 수양(垂楊) = 615
    • 낙서(落絮) = 617
    • 남중경을 전송하면서(送南仲敬) = 618
    • 노중에 천동 비를 만나 늦게 달을 띠고 집에 당도하다(路中逢雷雨帶月至家) = 618
    • 등곡 상인에게 증하다(贈燈谷上人) = 619
    • 꽃을 접붙이다(接花) = 620
    • 윤관찰사를 보내어 관동의 임소로 가다(送尹觀察關東之任) = 621
    • 윤사가 눌재 운의 화작을 요구하다(胤師求和訥齋韻) = 622
    • 연대암에서 덕무에게 증하다(蓮臺菴贈德茂) = 623
    • 김계진에게 증하다(贈金季진) = 623
    • 세매당(世梅堂) = 624
    • 화 선사가 이미 두 시를 증해 오고 다음날 또 율시 한 수를 보여 주면서 화작을 요구하므로 드디어 답하다(華師旣贈二詩明日又示一律求和遂答之) = 625
    • 신언옥이 특이한 돌을 선물했으므로 감사를 표하다(謝申彦沃惠奇石) = 626
    • 중오를 인하여 원님에게 생선 보내준 감사를 드리다(因仲悟謝太守之황) = 627
    • 우연히 동파시를 뒤지다 보니「강물을 길러다 차를 다린다」는 『급강전다』와 서맹이 마시지 못하는 것을 희롱한 작이라는 『희서맹불음지작』과 아울러 진일주가 모두 한 책속에 들어 있으므로 인하여 희롱삼아 시를 짓다(偶閱東坡詩汲江煎茶희 徐孟不飮之作幷眞一酒歌俱在一帙中因희爲詩) = 628
    • 설장의 지각(薛丈池閣) = 629
    • 유선이 귀래정 아래서 글구 하나를 얻었는데 척촉과 귀래로써 대를 하였으므로 나는 먼저 끝맺음을 지어 한 절을 만들고 그 운자를 써서 수창하여 좌중에 돌렸는데 마침내 척촉의 작으로써 율시를 주성하다(惟善於歸來亭下得一句以척촉 歸來爲對余先作結語爲一絶用其韻酬唱遍於座中終以척촉 之作湊成律詩) = 630
    • 집 종이 손풀 한포기를 얻어가지고 왔기에 성주에게 보내드리다(采奴得溪蓀一叢以歸送致城主) = 631
    • 태수로부터 어제 계손에 대한 화작이 있으므로 재차 그 운을 사용하다(太守昨有溪蓀之和再用其韻) = 632
    • 도운체(到韻體) = 633
    • 차운하여 오맹우에게 증하다(次贈吳孟佑) = 634
    • 유증(有贈) = 635
    • 취옹당(醉翁堂) = 636
    • 화작하여 문보에게 증하다(和贈文寶) = 637
    • 옹훈도에게 증하다(贈邕訓導) = 638
    • 광문 이의수의 술을 마시고서 취한 나머지에 시를 지어 또 주수에게 전달하다(飮廣文李宜수 之酒醉餘爲詩又致於主守) = 639
    • 한라산(漢拏山) = 640
    • 탁록의 싸움(탁鹿戰) = 640
    • 지감 상인의 축중운에 차하다(次智鑑上人軸中韻) = 642
    • 증별(贈別) = 643
    • 응길이 그 두형의 시에 화작할 것을 요구하다(應吉求和其二兄之詩) = 644
    • 길원의 운에 차하다(次吉元韻) = 645
    • 환선정 판상운(喚仙亭板上韻) = 645
    • 김전한의 만사(挽金典翰) = 646
    • 용형의 춘훤 양위분 상사에 대한 만사 삼수(挽容兄春萱兩喪三首) = 647
    • 용형 존부의 만사(挽容兄尊府) = 651
    • 윤사율의 만사 사수(挽尹士栗四首) = 651
    • 경임의 만사(挽景任) = 655
    • 남상사가 그 족고모의 만사를 청하기에(南上舍求挽其族姑) = 656
    • 종제의 상자에 대한 만사(挽從弟상子) = 657
    • 망녀를 곡하다(哭亡女) = 658
    • 망자를 곡하다(哭亡子) = 659
    • 이병사의 만사(挽李兵使) = 660
    • 영상의 만사(挽領相) = 661
    • 윤대용행이 어떤 사람을 위하여 만사를 청하다(尹大用行爲人求挽) = 662
    • 방원외의 만사(挽房員外) = 663
    • 만 가 오수(挽歌五首) = 664
    • 백승의 우사에 당도하였으나 만나지 못하다 이하 이수는 증(抵伯承寓舍不遇以下二首增) = 668
    • 양상사돈의 광제정에 제하다(題楊上舍墩光霽亭) = 669
    • 오언배율(五言排律)
    • 관이당의 운자를 사용하여 원상인의 시축에 제하다(用觀이堂韻題源上人軸) = 670
    • 서도(西都) = 674
    • 유인중이 급제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므로 그를 보내면서(送柳仁仲及第還鄕) = 676
    • 밤에 앉아서 길원과 사중을 생각하다(夜坐懷吉元士重) = 678
    • 순창고을 아사에 제하다(題淳昌衙舍) = 679
    • 장자방(張子房) = 681
    • 차운하여 소재에게 부치다 이수(次韻寄蘇齋二首) = 682
    • 전라도 가요(全羅道歌謠) = 685
    • 윤사율의 만사(挽尹士栗) = 689
    • 권 판관에게 증하다 이하 십오수는 별(贈權判官以下十五首別) = 690
    • 눈을 노래하다(詠雪) = 691
    • 황상사에게 증하다(贈黃上舍) = 696
    • 백수의 집에서 짓다(伯邃家作) = 699
    • 전라도 가요(全羅道歌謠) = 700
    • 광주향교 가요(光州庠歌謠) = 704
    • 전라도 가요(全羅道歌謠) = 707
    • 간성군 가요(杆城郡歌謠) = 711
    • 항해도 가요(黃海道歌謠) = 713
    • 이상사의 만사(挽李上舍) = 715
    • 윤사율의 만사 사수(挽尹士栗四首) = 716
    • 김별시의 만사(挽金別侍) = 721
    • 칠언배율(七言排律)
    • 천주봉에서 달을 구경하다(天柱峰翫月) = 722
    • 궁원에서 북다(宿弓院) = 724
    • 소회가 있어 읊어 공간에게 보이다(有懷吟示公幹) = 725
    • 저물어 갈 때에 한참 시를 읊고 있는데 신가란 종이 말을 가지고 와서 길을 떠나 중도에 비를 만났다 당도하여 이 시를 쓰다 이하 이수는 별(向晩方吟詩信可奴馬來路中逢雨旣至題此以下二首別) = 726
    • 십팔학사의 밤 잔치(十八學士夜연) = 729
    • 허도봉증에게 증하다(贈許道峰增) = 733
    • [Volume. 3]----------
    • 목차
    • 卷之十一
    • 차(箚)
    • 홍문관 차자(弘文館 箚子) = 1
    • 서(書)
    • 이태수에게 올린 서한(上李太守書) = 11
    • 우인에게 준 서한(與友人書) = 18
    • 노과회와 더불어 숙흥야매잠의 풀이를 논한 별지(與盧寡晦論夙興夜寐箴解別紙) = 22
    • 왕복한 말의 뒷말(往復語後語) = 55
    • 일재에게 준 서한(與一齋書) = 55
    • 우상에게 올린 서한(上右相書) = 56
    • 서(序)
    • 학전상인 시축서(學專上人詩軸序) = 59
    • 기묘 제현첩서(己卯諸賢帖序) = 63
    • 기(記)
    • 평천장 기(平泉莊記) = 64
    • 발(跋)
    • 효경간오 발(孝經刊誤跋) = 67
    • 대학강의 발(大學講義跋) = 70
    • 卷之十二
    • 찬(贊)
    • 고려태조 진찬(高麗太祖眞贊) = 75
    • 명(銘)
    • 참사검명(斬蛇劍銘) = 76
    • 송(頌)
    • 경자양반 송(耕者讓畔頌) = 79
    • 전(箋)
    • 왕세자 책봉을 하하는 전(賀冊封王世子箋) = 82
    • 홍문관 교리를 사직하는 전(辭弘文館校理箋) = 83
    • 식물을 내리고 따라서 「병이 낫거든 역마를 타고 올라오라」는 명령에 사하는 전(謝賜食物仍命病愈乘驛馬上來箋) = 85
    • 계(啓)
    • 유씨외 납채에 사하는 계(謝柳氏納采啓) = 87
    • 상량문(上樑文)
    • 대맥동외 새로 지은 침당 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樑文) = 88
    • 제문(祭文)
    • 제 윤사율 문(祭尹士栗文) = 91
    • 제 최신재 문(祭崔新齋文) = 99
    • 제 조경임 문(祭趙景任文) = 107
    • 제 양씨녀 문(祭梁氏女文) = 110
    • 묘지명(墓地銘)
    • 선부군 묘지(先府君墓地) = 112
    • 목사 김공 묘명(牧使金公墓銘) = 117
    • 참찬 박공 묘지명 별(參贊朴公墓地銘) 別 = 118
    • 나원군 오공 묘지명 이하이수증(羅原君吳公墓地銘)以下二首增 = 124
    • 정부인 신씨 묘지명(貞夫人申氏墓地銘) = 126
    • 잡저(雜著)
    • 이지남 자설(李至男字說) = 129
    • 주사문론(誅沙文論) = 131
    • 양광위로 논(佯狂爲奴論) = 138
    • 책 사수(策) 四首
    • 가례고오(家禮考誤) = 163
    • 河西先生全集附錄目錄
    • 卷之一
    • 가장(家狀) = 166
    • 행장(行狀) = 186
    • 신도비명(神道碑銘) = 202
    • 묘표(墓表) = 214
    • 묘지명(墓誌銘) = 219
    • 卷之二
    • 서술육십오조(敍述)六十五條 = 224
    • 제문 삼(祭文)三 = 249
    • 축문 삼(祝文)三 = 252
    • 시 삼십구수(詩)三十九首 = 255
    • 상량문 이(上樑文)二 = 298
    • 발 일(跋)一 = 308
    • 卷之三
    • 세계(世界) = 310
    • 연보(年譜) = 321
    • 卷之四
    • 연보(年譜) = 349
    • 河西先生全集續編目錄
    • 권수(卷首)
    • 사제문 이(賜祭文)二 = 387
    • 續編
    • 사언고시(四言古詩)
    • 차 청송당운(次聽松堂韻) = 391
    • 오언고시(五言古詩)
    • 증 윤인수형수(贈尹仁수衡袖) = 392
    • 칠언고시(七言古詩)
    • 화표학(華表鶴) = 393
    • 혼돈주가(混沌酒歌) = 394
    • 임사수형수호는금호의 원사를 슬퍼하여 단가를 짓다(悼林士遂亨秀號錦湖寃死作短歌) = 396
    • 자연가(自然歌) = 396
    • 백구가(白鷗歌) = 397
    • 오언절구(五言絶句)
    • 송생정황을 만하다(挽宋生庭篁) = 398
    • 삼종숙 서수헌응두에게 바치다(呈三從叔逝水軒應斗) = 398
    • 변여윤성온 영옥성진에게 증하다(贈卞汝潤成溫汝玉成振) = 399
    • 양군자민에게 증하다(贈梁君子民) = 399
    • 서군호에게 증하다(贈徐君浩) = 400
    • 칠언절구(七言絶句)
    • 양군자민에게 증하다 이수(贈梁君子民)二首 = 400
    • 윤인수형수의 강정에 제하다(題尹仁수 衡袖江亭) = 401
    • 서군호에게 증하다(贈徐君浩) = 402
    • 실제(失題) = 402
    • 실제(失題) = 403
    • 오언율시(五言律詩)
    • 민행당복에게 증하다(贈閔杏堂復) = 404
    • 만유군연개 삼수(挽柳君沿漑)三首
    • 나송제세찬를 만하다(挽羅松齋世纘) = 407
    • 칠언율시(七言律詩)
    • 반성정운정주양공매(伴仙亭韻)亭主楊公매 = 408
    • 죽헌 박염의 종죽운에 차하다(次竹軒朴염 種竹韻) = 409
    • 을사년에 동반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박죽헌에게 증하다(乙巳同歸鄕里時贈朴竹軒) = 410
    • 제문(祭文)
    • 송생정황의 제문(祭宋生庭篁文) = 411
    • 묘표(墓表)
    • 승의부위 조공 묘표(承議副尉趙公墓表) = 411
    • 잡저(雜著)
    • 홍범설시 작괘의도(洪範설蓍作卦之圖) = 412
    • 백연초해(百聯抄解) = 432
    • 하서초천자(河西草千字) = 483
    • 하서유묵(河西遺墨) = 443
    • 續編附錄
    • 조선실록 초(朝鮮實錄抄) = 613
    • 홍재전서 초록오조(弘齋全書抄錄) 五條 = 627
    • 전교(傳敎) = 629
    • 계사(啓辭) = 630
    • 헌의(獻議) = 634
    • 종향시의 제공왕복(從享時諸公往復) = 638
    • 서술(敍述) = 646
    • 시 이십수(詩) = 675
    • 서 삼(序) = 676
    • 기 삼(記) = 684
    • 발 삼(跋) = 692
    • 비 이(碑) = 695
    • 호당 수계록(湖堂修契錄) = 700
    • 동호 계회도록(東湖契會圖錄) = 702
    • 연방조사 계회도록(蓮榜曹司契會圖錄) = 703
    • 정조 정사년 간집사실(正祖丁巳年刊集事實) = 703
    • 하서선생의 소증 벼루에 지하다(河西先生所贈硯識) = 704
    • 별시책제(別試策題) = 706
    • 구발(舊跋) = 706
    • 속간발(續刊跋) = 707
    • 續編外錄
    • 卷之一
    • 연보별본(年譜別本) = 711
    • 卷之二
    • 연보별본(年譜別本) = 755
    • 卷之三
    • 전간재우가 임감재에게 준 서간(田艮齋愚與任坎宰書) = 775
    • 기겸재학경집의 사칠설을 논한 변(奇謙齋學敬集論四七說辨) = 776
    • 기노사정진가 영귀서원 원유에게 준 서간(奇蘆沙正鎭與詠歸院儒書) = 781
    • 회사 왕복서략(晦沙往復書略) = 782
    • 河西先生全集續編拾遺
    • 정추만 천명도 후면에제하다(題鄭秋巒天命圖後) = 786
    • 河西先生全集續編外錄拾遺
    • 왕조실록초(王朝實錄抄) = 787
    • 승정원일기초(承政院日記抄) = 7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