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소 운동이 비만아동의 비만유전자 및 체력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른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7. 2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i, 77 ; 26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청무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s the polymorphism in the β3-AR gene and ACE gene of obese children. For this study, 30 children, who is over 25% BMI and do not regularly exercise, were randomly assigned to 2groups. One group is normal group(Trp64Trp, 23children) and the other one is mutation group(Trp64Arg, 7children). After analyzing ACE, the different group are divided into IItype(7children), IDtype(15children), and DDtype(8children). Aerobic exercise like jump lope, hiking and walking, ball playing had been performed for 5weeks, three time a week. In each aerobic exercise, duration was 60min and exercise intensity was 50∼70%HRmax. The target heart rate was confirmed by heart rate polar in subjects. Body composition factors and physical abiliti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program. Blood was collected from vein about 10㎖ and blood analyses were requested Sedaemoon public health center. Paired t-test and 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 were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5.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r th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physical fitn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1. Effect of aerobic exercise in obese children
1) After aerobic exercise, body compositions of obese children are significantly changed in hight(+o.4%), BMI(-1.3%), body fat mass(-2.3%), percent body fat(-2.0%)(p<.05).
2) After aerobic exercise, physical fitness of obese children are significantly changed in muscular strength(+12.9%), muscular endurance(+23.3%), flexibility(+11.8%)(p<.05).
3) After aerobic exercise, blood lipids of obese children are significantly changed in blood sugar(-7.0%), HDL-C(+15.8%) at rest((p<.05).
4) After aerobic exercise, physiological factors of obese children are significantly changed in FVC(+0.4%)(p<.05).
2. Effect of aerobic exercise in obese children 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β3-AR gene
After aerobic exercise, there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hight(+0.4%), BMI(-1.2%), body fat mass(-2.4%), percent body fat(-2.0%), muscular strength(+16.2%), muscular endurance(+16.0%), flexibility(+14.0%), cardiovascular endurance(-3.7%), blood sugar
(-7.4%), HDL-C(+15.6%)(p<.05) in norm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blood sugar(-6.1%), HDL-C(+16.4%) in gene alteration group(p<.05). The difference within groups was only muscular strength.
3. Effect of aerobic exercise in obese children 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CE gene
The only blood lipi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re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CE gene group(p<.05),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body fat mass(-1/6%), flexibility(+27.5%), muscular strength(+30.1%) at II type group after aerobic exercise
(p<.05).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hight(+0.5%), body fat mass(-2.8%), muscular strength(+15.2%), muscular endurance(+33.2%), HDL-C(+15.1%) at ID type group and muscular strength(+11.5%), HDL-C(+18.9%) were significatly different at DD type group(p<.05). The difference within groups was only agility.
In this study, aerobic exercise was found more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physical fitness The β3-AR in normal group was more different after exercise to compare with gene alteration group so that obese is more influence for gene. After aerobic exercis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CE gene differently act so that I type group is more helpful at treatment for obese because of more effective endurance.
Personal exercise prescription, like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as β3-AR gene, endurance program for II type as different ACE gene, exercise program for agility at DD type, is recommended because obese children differently act on β3-AR gene and ACE gene.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아동들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후 비만유전자인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과 체력유전자인 ACE 유전자 다형성의 특성에 따른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분석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비만아동(만 11세~13세) 중 규칙적인 운동습관이 없으며, 체지방율이 25%이상인 아동 30명을 선정하여, β3-AR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변이가 없는 정상군(Nomal Group, Trp64Trp) 23명, 유전자 변이가 있는 변이군(Mutation Group, Trp64Arg) 7명으로 분류하고, 그리고 ACE 분석을 통해 삽입대립인자의 동형접합체 II형 7명, I와 D의 이형접합체인 ID형 15명, 결손 대립인자의 동형접합체인 DD형 8명으로 분류하였다. 운동은 유산소 운동(줄넘기, 등산 및 걷기, 공놀이)을 실시하였으며, 총 5주간 주 3회, 매회 60분간 50~70%HRmax의 강도로 하였고, 운동 중 목표 심박수 확인은 무선 심박수 측정기(polar)를 착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목표 심박수 범위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전 후에 신체구성 변인과 체력 변인을 측정하였으며, 채혈은 전완 주정맥에서 10㎖를 채혈하여 서대문 보건소에 의뢰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유산소 운동 전과 후에 나타난 신체구성 변인, 혈중지질 변인 및 체력 변인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만아동의 유산소 운동 효과
1) 비만아동의 유산소 운동 전 후 신체구성 요인 변화 중 신장(+0.4%), BMI(-1.3%), 체지방량(-2.3%), 체지방율(-2.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났다.
2) 비만아동의 유산소 운동 전 후 체력 요인 변화 중 근력(+12.9%), 근지구력(+23.3%), 유연성(+1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났다.
3) 비만아동의 유산소 운동 전 후 혈중지질 요인 변화 중 안정시 혈당(-7.0%), HDL-C(+15.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났다.
4) 비만아동의 유산소 운동 전 후 생리학적 요인 변화 중 FVC(+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났다.
2. β3-AR 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른 유산소 운동 효과
유산소 운동 후 정상군에서는 신장(+0.4%), BMI(-1.2%), 체지방량(-2.4%), 체지방율(-2.0%), 근력(+16.2%), 근지구력(+16.0%), 유연성(+14.0%), 심폐지구력(-3.7%), 혈당(-7.4%), HDL-C(+15.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냈고, 변이군에서는 혈당(-6.1%), HDL-C
(+16.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냈다.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근력에서만 나타났다.
3. ACE 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른 운동효과
유산소 운동 후 ACE 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라 3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혈당 하나이며, II형에서는 체지방량(-1.6%), 유연성(+27.5%), 근지구력(+30.1%)이, ID형에서는 신장(+0.5
%), 체지방량(-2.8%), 체지방율(-2.0%), 근력(+15.2%), 근지구력(+33.2
%), HDL-C(+15.1%)이, DD형에서는 근력(+11.5%), HDL-C(+18.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냈다.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민첩성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 실시를 통해 비만 아동들에게 신체구성, 혈중지질, 체력변인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볼 수 있었고, β3-AR 정상군이 변이군에 비해 운동 전후 간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비만에 대한 유전적인 영향이 다소 작용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유산소 운동 후 ACE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반응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지구성 효과가 높은 I형 유전자를 가진 집단이 D형 유전자를 가진 집단에 비해 유산소 운동 후 효과가 더 커서 비만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되었다.
따라서 비만아동들이 유산소 운동 후 베타3-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유전자 와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반응했음을 볼 수 있어 β3-AR 유전자 유․무에 따라 운동 강도를 다르게 한다던지, ACE 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라 II형은 지구력 운동 프로그램, DD형은 순발력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등의 유전자 다형성의 특성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운동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