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과학 글쓰기 유형 및 내용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Procedures of Science Writ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5-260(36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science education, wri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ceptual composition,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as a learning tool to develop scientific refinement. The recently-revised 2015 curriculum emphasizes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places greater emphasis on the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 language. Previous research has handled the importance and typology of science writing activity and provided, quantitative analysis of writing activities suggested in textbook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learning measures in terms of detailed procedures or processes of science writing. Considering that the writing procedures and teaching/learning measures suggested by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ld be applied to the materialization of teaching/learning of science writing, this paper aims to reclassify scienc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stablish teaching/learning measures for each typ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of science writing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cognitive activities required for writing. However, this classification lacks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teaching/learning context required for writing, and it is limited to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actual writing performanc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writing activities shown in seven types of <science> textbook for Grade 1 of high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n classifies science writing into Type D (description of phenomenon), Type C (confirmation of scientific concept), Type A (application of scientific concept), and Type J (scientific judgment) in accordance with teaching intentions under the teaching/learning context to perform writing. Sub-dividing them into Type A-1 (suggestion of condition→interpretation of concept), Type A-2 (suggestion of concept→discovery of phenomenon), Type A-3 (scientific concept→original idea), Type J-1 (convergence of result), and Type J-2 (divergence of result), the detailed procedure plan of science writing in each type is suggested.
과학교육에서 쓰기는 개념 구성, 문제 해결,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 도구이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강조하면서 과학 지식을 언어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측면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의 선행연구에서는 과학 글쓰기 활동의 중요성과 과학 글쓰기 활동의 유형화 및 교과서에 제시된 글쓰기 활동의 계량적인 분석인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과학 글쓰기의 구체적인 절차나 과정에 대한 교수ㆍ학습 방안 마련은 미흡한 상황이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서 국어교육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글쓰기의 일반적인 절차나 교수ㆍ학습 방안이 과학 글쓰기 교수ㆍ학습을 구체화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아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을 재분류하고 각 유형별 교수ㆍ학습 방안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과학 글쓰기 분류를 살펴본 결과 글쓰기 활동을 하는 데 요구되는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에 따라 과학 글쓰기를 분류한 선행연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글쓰기가 요구되는 구체적인 교수ㆍ학습 맥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고는 이에 따라 기존의 과학 글쓰기 유형 분류들을 참조하되, 글쓰기가 수행되는 교수ㆍ학습 맥락을 고려하여 과학 글쓰기를 D형(현상 기술), C형(배운 개념 확인), A형(과학적 개념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 J형(과학적 판단)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세분화하였다. A형은 다시 A-1형(상황제시→개념 해석), A-2형(개념 제시→상황 발견), A-3형(개념 제시→창안)으로 세분화되었으며, J형은 J-1형(옳고 그름 판단 가능)과 J-2형(판단 불가능)으로 세분화하였다(Ⅱ장).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글쓰기의 일반적인 절차를 참조하여, 도출된 과학 글쓰기 유형별 구체적인 글쓰기 교수ㆍ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1 | 1.378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