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연속성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2017~2018년 조선후기사 연구동향 = To Interpret from a Continuous Point of View: A Review on the Historical Research Trend about the Late Joseon from 2017 to 2018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iew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late Joseon period published between 2017 and 2018.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of the study and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through them.
      What draws attention from the past two years of research is that there are active attempts to grasp the late Joseon period from a continuous perspective. In that sense, studies review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ere conducted, and attempts were made to find common ground between Goryeo and Joseon, Joseon and modern times.
      There is something to be desired. First of all,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 economic history.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itself is smaller than other fields, and research is focused on certain areas. I urge you to pay attention to the field of economic history. It is also regrettable that there is no macro- dialogue. Along with micro and concrete research, attention should also be paid to establishing an understanding framework that can explain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Many important studies have been omitted because the short article covered a lot of content. I cannot help feeling sorry for the researchers who carried out the meaningful study. Therefore, in the future, it would be better to introduce a more granular approach to organizing relevant studies by sector.

      더보기

      본고에서는 2017~2018년 조선후기 연구 성과를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2년간의 연구에서 주목되는 것은 연속성의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것이 18세기와 19세기를 연속의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고려와 조선, 조선과 근대를 연결하여 이해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연구 성과 검토 결과 아쉬운 점도 있는데 우선 들 수 있는 것은 경제사 분야 연구가 부족한 것이다. 연구 자체가 다른 분야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데다가 연구도 특정 분야에 치중되어 있다. 농업사의 경우는 연구 자체를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경제사 성과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다른 분야의 연구도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경제사 분야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거시적 담론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아쉽다. 그간 조선후기사를 설명하는 큰 틀이었던 경영형부농론을 비롯하여 실학론, 붕당정치론 등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그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는데 반해 그를 대체할 새로운 담론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와 함께 조선후기사의 성격을 설명할 수 있는 이해 틀을 구축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 1 심승구, "효명세자의 삶과 예술" 한국무용연구학회 36 (36): 141-162, 2018
      • 2 김준혁, "화성, 정조와 다산의 꿈이 어우러진 대동의 도시" 더봄 2017
      • 3 한상우, "호적으로 본 단성 합천이씨들의 공존과 배제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105) : 283-314, 2017
      • 4 권기중, "향리 『선생안』을 통해 본 조선후기 강원도 낭천현의 향리 사회 -낭천현 『선생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85) : 177-202, 2018
      • 5 전용훈, "한국 천문학사" 들녘 2017
      • 6 황태연, "한국 근대화의 정치사상" 청계 2018
      • 7 정성일, "통신사를 통해 본 물적 교류―신미 통신사(1811년)의 예물 교환을 중심으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6) : 1-52, 2018
      • 8 하우봉, "통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3 : 1-20, 2018
      • 9 오수창, "춘향전에 담긴 저항의 원동력과 필연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53 : 2017
      • 10 부산박물관, "초량왜관-교린의 시선으로 허하다" 부산박물관 2017
      • 11 강석화,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병자호란에 대한 인식의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32) : 69-108, 2018
      • 12 송혜진, "질서와 친화의 변주 : 조선의 왕실음악" 민속원 2017
      • 13 김의환, "진천 평산 신씨 노비 가족의 존재양상 -노비의 결혼과 가계 계승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52 : 313-342, 2018
      • 14 김인규, "지식 정보의 수집과 변용으로 본 『林下筆記』 탐구" 동방한문학회 (75) : 105-132, 2018
      • 15 하영휘, "중화사상과 조선후기 사상사" 수선사학회 (59) : 91-117, 2017
      • 16 김영식, "중국과 조선, 그리고 중화" 아카넷 2018
      • 17 배우성, "종로 시전 뒷길의 능성구씨들" 서울학연구소 (67) : 137-169, 2017
      • 18 김창수, "조선・청 외교문서의 교섭경로와 성경의 역할" 한국역사연구회 (107) : 141-174, 2018
      • 19 김경란,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主戶有故 기록에 대한 검토- 主戶승계 문제와 관련하여 -" 한국사학회 (131) : 201-244, 2018
      • 20 권기중, "조선후기 호적 연구의 현재와 향후 과제" 대동문화연구원 (100) : 177-200, 2017
      • 21 이광우, "조선후기 향약운영과 성격-정부·지방관·재지사족 등 운영 주체를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2018
      • 22 장순순, "조선후기 한일 양국의 譯官記錄과 倭館" 한일관계사학회 (59) : 185-228, 2018
      • 23 노혜경, "조선후기 평시서(平市署)의 기능과 변화" 역사실학회 (65) : 123-147, 2018
      • 24 김경란, "조선후기 평민 同姓마을의 형성과 특징- 大丘府 解北村 廣里의 丹陽 禹氏 사례" 한국사학회 (128) : 271-308, 2017
      • 25 조정곤, "조선후기 제주지역 노비 거래의 양상 – 濟州 於道 晉州姜氏 姜受璜 後孫家 古文書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53 : 139-167, 2018
      • 26 노영구, "조선후기 전술변화와 중앙 군영의 편제 추이" 육군군사연구소 (144) : 27-55, 2017
      • 27 경석현, "조선후기 재이론(災異論)의 변화–이론체계와 정치적 기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 28 송수환, "조선후기 언양의 재지사족과 향약" 울산사학회 21 : 2018
      • 29 윤유숙, "조선후기 쓰시마 간사재판(幹事裁判)의 활동 검토" 한일관계사학회 (62) : 289-326, 2018
      • 30 정호훈, "조선후기 신국가 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10 : 2017
      • 31 김미성, "조선후기 시전인과 공인의 병존 관계- 지전-지계, 진사전-진사계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73) : 1-35, 2018
      • 32 김미성, "조선후기 시전의 노동력 고용과 工錢・雇價 지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2) : 335-375, 2018
      • 33 김태희, "조선후기 상업진흥론과 실학담론의 재구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6 (16): 183-218, 2017
      • 34 전준모, "조선후기 불교 사상의 정비와 사기(私記)의 저술" 한국불교사학회 14 : 2018
      • 35 윤유숙,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의 사행 활동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58) : 255-291, 2017
      • 36 김미성, "조선후기 면주전과 명주 생산·유통구조" 연세대학교 2017
      • 37 구만옥, "조선후기 과학사 연구에서 ‘실학’의 문제" 한국실학학회 (36) : 637-699, 2018
      • 38 염정섭, "조선후기 경영형부농론을 사학사에 내려놓기" 민연 69 : 2017
      • 39 임성수, "조선후기 戶曹의 田稅 부과와 給災 운영 변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8) : 183-220, 2017
      • 40 한효정, "조선후기 分主人의 존재양태와 활동양상 연구 -貢人文記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51 : 169-188, 2017
      • 41 최연식, "조선후기 佛敎小話集의 수용과 유통" 불교문화연구원 (80) : 109-136, 2017
      • 42 백광렬, "조선후기 ‘양반지배네트워크’의 성격과 구조변동-상층양반의 친족연결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 43 임혜련, "조선후기 ‘대리정치’의 권한 범주와 왕권" 호서사학회 (85) : 157-186, 2018
      • 44 오세현, "조선중기 풍양조씨 증장령공파의도봉구 정착과 청교조씨" 인문과학연구소 (27) : 9-37, 2018
      • 45 문재윤, "조선조 왕가 가법과 정조(正祖)의 국정운영론에 관한 소고"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9 (39): 5-38, 2018
      • 46 정긍식, "조선의 법치주의 탐구" 태학사 2018
      • 47 하명준, "조선의 근대 전환과 평안도 연구" 경인문화사 2017
      • 48 장병인, "조선왕실의 혼례" 민속원 2017
      • 49 윤진영,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 50 김호, "조선왕실의 의료문화" 민속원 2017
      • 51 신병주, "조선왕실의 왕릉조성" 세창출판사 2017
      • 52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53 김윤정, "조선시대 禮葬都監의 성격과 역사적 추이" 한국학중앙연구원 (38) : 168-193, 2017
      • 54 이세영, "조선시대 지주제 연구" 혜안 2018
      • 55 박소영, "조선시대 주세운영에 관한 연구 - 19세기를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54) : 157-188, 2018
      • 56 김종수, "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 양상"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7
      • 57 고영진, "조선시대 영·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 영남문화연구원 (60) : 73-114, 2017
      • 58 정진영, "조선시대 양반들의 경제생활-간찰과 일기를 통해본 일반적고찰" 한국고문서학회 50 : 129-158, 2017
      • 59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정책의 실제: 승정체제, 사찰, 승도에 대한 정책의 성격과 변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3) : 171-196, 2018
      • 60 박가영, "조선시대 궁중 패션" 민속원 2017
      • 61 김경록, "조선시대 국제질서와 해양정책" 명청사학회 (48) : 185-217, 2017
      • 62 이욱,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민속원 2017
      • 63 나영훈, "조선시대 都監의 성립과 변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7
      • 64 김백철, "조선시대 咸鏡道 지역사 試論 - 奎章閣소장 地理志자료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1-62, 2017
      • 65 한성주, "조선과 여진의 貂皮 교역 성행과 그 영향" 만주학회 (25) : 9-42, 2018
      • 66 이경구, "조선, 철학의 왕국-호락논쟁 이야기" 푸른역사 2018
      • 67 정성학, "조선 후기 향역 이탈자와 그들의 대응 -안동 권씨 동정공파 사례-" 조선시대사학회 (84) : 187-222, 2018
      • 68 고민정, "조선 후기 춘천 사족의 사회조직구조와 운영방식" 인문과학연구소 (51) : 5-33, 2018
      • 69 박주, "조선 후기 순원왕후와 안동 김문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 한국사상문화학회 (89) : 209-239, 2017
      • 70 노상호, "조선 후기 동물에 대한 지식과 기록 - 한반도 서식 식육목(食肉目, Carnivora)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0) : 5-48, 2017
      • 71 박경하, "조선 후기 忠淸 懷德縣 宋村里 지역의 私奴婢 존재 양상-恩津宋氏 同春堂 後孫家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53) : 159-198, 2017
      • 72 김동근, "조선 후기 宗簿寺 「提調」의 실태 및 운영체계 -장서각 소장 『宗簿寺提調先生案』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152-179, 2018
      • 73 채석용, "조선 실학의 두 기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943-957, 2018
      • 74 오항녕, "조선 숙종대 실록(일기)의 수정 시도와 누설-기억투쟁과 좌절, 그리고 원칙-" 한국사연구회 (183) : 287-317, 2018
      • 75 김용태, "조선 불교, 고려 불교의 단절인가 연속인가?" 역사문제연구소 (123) : 234-264, 2018
      • 76 한영우, "정조평전 성군의 길 상·하" 지식산업사 2017
      • 77 박현모, "정조평전" 민음사 2018
      • 78 김준혁, "정조의 창덕궁 내원(內苑) 군신동행과 연회 정치"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6 (16): 117-150, 2017
      • 79 함영대, "정조의 奎章閣 解題書目 작성과 서명응 일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9) : 31-50, 2017
      • 80 이경구, "정조와 세도정치 이해를 위한 세 가지 고려" 민연 68 : 2017
      • 81 강문식, "정조대 奉謨堂 운영과 藏書 관리" 한국학중앙연구원 (40) : 1-30, 2018
      • 82 김준혁, "정조가 만든 조선의 최강 군대 장용영" 더봄 2018
      • 83 김성우, "정조(正祖)의 환영(幻影): 조선왕조의 관료제적 군주제의 붕괴" 민족문화연구소 (68) : 207-224, 2018
      • 84 김정자, "정조 후반 순조 초반 정치세력과 정국의 동향 - 정조 16년(1792)~순조 6년(1806)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0 : 443-477, 2018
      • 85 강지혜, "정조 즉위년 소론의 사도세자 신원소 제기와 정조의 대응-『친국일기(親鞫日記)』의 심문기록을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51) : 57-82, 2017
      • 86 정민,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글항아리 2018
      • 87 하정식, "일그러진 초상–조선지배층의 康熙帝像" 연세사학연구회 39 : 2017
      • 88 조일수, "인조의 대중국 외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21) : 343-371, 2017
      • 89 이훈, "인조대의 국정운영과 1636년의 통신사 외교" 한일관계사학회 (56) : 95-150, 2017
      • 90 우경섭, "인조대 ‘親淸派’의 존재에 대한 재검토" 조선시대사학회 (81) : 109-136, 2017
      • 91 이정수, "울산호적대장을 통해 본 고공의노동성격 검토" 부산경남사학회 (109) : 147-189, 2018
      • 92 정성일, "왜관 『관수일기』의 학술적 가치" 열상고전연구회 (63) : 7-31, 2018
      • 93 송정란, "영조대 남대문의 장소성 -권위의 공간에서 권력의 장소로-" 역사문화학회 21 (21): 259-282, 2018
      • 94 계승범, "영어권 학계의 호란 관련 연구 관심" 한국사학사학회 (36) : 32-63, 2017
      • 95 최성환, "영·정조대 채제공의 정치 생애와 정치 의리" 한국실학학회 (33) : 187-228, 2017
      • 96 이정철, "역사 해석에서 외부성과 우연성 : 대동법과 대청관계" 민족문화연구원 (75) : 329-352, 2017
      • 97 정성희,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박물관 2018
      • 98 이봉규, "실학 연구 회고와 전망 -9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7) : 105-135, 2017
      • 99 이민아, "신정왕후 도봉 별서(‘조대비 별서’)의연원과 역사적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27) : 69-101, 2018
      • 100 최성환, "순조대 전반기 정국 변동과 의리론의 추이" 한국사연구회 (180) : 113-154, 2018
      • 101 나영훈, "순조대 明溫公主 婚禮의 재원과 前例ㆍ定例의 준수" 조선시대사학회 (83) : 361-398, 2017
      • 102 김우진, "숙종대 몽고‧러시아에 대한 知識情報 분석" 인문학연구원 (37) : 65-104, 2018
      • 103 최정연, "성호 이익의 재이설의 양면성과 실천론 -『성호사설』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7) : 537-569, 2017
      • 104 이욱, "사도세자 관련 만인소의 정치적 의미" 남도문화연구소 (35) : 171-196, 2018
      • 105 김인규, "북학사상연구" 심산 2018
      • 106 정진영, "부자들의 빈곤2 – 18세기 중반 영남 한 향촌 양반지주가의 경제생활 –" 대구사학회 129 : 269-308, 2017
      • 107 오수창, "병자호란에 대한 기억의 왜곡과 그 현재적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104) : 53-81, 2017
      • 108 허태구, "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군사력 강화 시도와 그 한계 -인조대 초반 병력 확보와 군량 공급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9) : 245-280, 2018
      • 109 장정수, "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對後金(淸) 방어전략의 수립 과정과 그 실상" 조선시대사학회 (81) : 49-108, 2017
      • 110 조성을, "병자호란 연구의 제문제" 한국사학사학회 (36) : 5-31, 2017
      • 111 구범진, "병자호란 시기 청군의 강화도 작전: 목격담과 조석·조류 추산 결과를 중심으로 한 전황의 재구성"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0) : 221-259, 2017
      • 112 구범진, "병자호란 시기 강화도 함락 당시 조선군의 배치 상황과 청군의 전력" 동양사학회 (141) : 317-353, 2017
      • 113 정구복, "반계 유형원의 학문세계와 그 영향" 한국실학학회 (34) : 39-61, 2017
      • 114 송양섭, "반계 유형원의 관제개편 구상" 조선시대사학회 (86) : 155-189, 2018
      • 115 임형택,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 학자원 2018
      • 116 이영학, "대원군 집권기의 농업정책" 한국학연구소 (44) : 517-542, 2017
      • 117 오기수, "대동법의 비합리적 조세 요인과 경제에 미친 악영향" 한국조세연구포럼 18 (18): 201-234, 2018
      • 118 김경래, "다시, 中華란 무엇인가? -檀上寛의 『天下と天朝の中国史』 (2016, 日本 岩波新書)와 朝鮮 中華 연구-" 한국학연구소 (49) : 457-472, 2018
      • 119 이훈상, "논문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영방과 향리사회의 기록물과 그 특성" 한국고문서학회 50 : 203-228, 2017
      • 120 안순태, "남공철(南公轍)의 연행(燕行) 체험과 대청의식(對淸意識)" 국문학회 (36) : 203-232, 2017
      • 121 김지영, "길 위의 조정-조선시대 국왕 행차와 정치적 문화" 민속원 2017
      • 122 한성주, "근세 한·중·일의 貂皮 무역에 대한 시론적 검토" 인문과학연구소 (56) : 215-234, 2018
      • 123 노관범, "근대 초기 실학의 존재론―실학 인식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역사문제연구소 (122) : 447-473, 2018
      • 124 송기중, "균역법의 실시와 균역청의 병조 급대 시행" 조선시대사학회 (82) : 227-255, 2017
      • 125 이훈, "국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로 본 ‘통신사외교’" 한일관계사학회 (61) : 211-240, 2018
      • 126 김성우, "국가와 지역 사족의 대립과 갈등 - 17세기 경상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학회 (233) : 109-150, 2017
      • 127 오항녕, "광해군대 경제정책에 대한 교과서 서술-대동법과 양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83) : 89-128, 2017
      • 128 최주희, "광해군대 京畿宣惠法의 시행과 선혜청의 운영" 한국사연구회 (176) : 175-209, 2017
      • 129 임종태, "과학사 학계는 왜 실학을 저평가해 왔는가?" 한국실학학회 (36) : 677-699, 2018
      • 130 전경목, "고문서와 검안에 나타난 조선말기 노름의 실상" 한국고문서학회 50 : 51-74, 2017
      • 131 심재우, "검안을 통해 본 한말 산송의 일단" 한국고문서학회 50 : 27-50, 2017
      • 132 김호, "검안을 통해 본 일상사" 휴머니스트 2018
      • 133 박소현, "검안을 통해 본 여성과 사회" 한국고문서학회 50 : 1-26, 2017
      • 134 TASAKA MASANORI, "關白退休告知差倭(1746년)를 둘러싼 朝日間交涉" 한일관계사학회 (56) : 221-247, 2017
      • 135 김선희, "道, 學, 藝, 術 -조선 후기 서학의 유입과 지적 변동에 관한 하나의 시론-" 한국실학학회 (35) : 287-328, 2018
      • 136 정성희, "近畿實學과 磻溪 柳馨遠" 온지학회 (50) : 293-318, 2017
      • 137 임현채, "英祖代 朝鮮人 범월사건 처리방침을 통해 본 朝鮮의 對淸 태도" 명청사학회 (48) : 503-534, 2017
      • 138 안소라, "英祖代 史冊辨誣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2017
      • 139 김우진, "肅宗의 昭顯世子嬪 姜嬪 伸寃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83) : 249-280, 2017
      • 140 조민우, "燕行錄의 死角: 의도된 省略과 縮小 – 이상적의 연행기록과 해당 연행록 비교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82) : 197-222, 2018
      • 141 대림검, "漂流記錄을 통해 본 19세기 초 조선 선비의實踐論과 對淸認識―『乘槎錄』⋅ 『漂海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1) : 407-436, 2018
      • 142 김경숙, "決訟立案과 소송 현장, 그리고 노비의 삶"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3) : 309-334, 2018
      • 143 김해용, "正祖의 孝治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2018
      • 144 윤정, "正祖의 『大學』 이해와 君師 이념 - 재정정책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65) : 37-86, 2018
      • 145 박범, "正祖代 壯勇營의 軍制와 財政 運營" 고려대학교 2018
      • 146 박재경, "正祖 年間 文風의 한 변화양상-對策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1 (51): 143-165, 2017
      • 147 권기석, "正祖 綸音의 印出과 對民 보급"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3) : 365-430, 2018
      • 148 정구선, "朝鮮時代의 自辟制度 硏究" 동아시아고대학회 (51) : 405-447, 2018
      • 149 이상순, "朝鮮後期 社會變動과 御史制度 硏究" 연세대학교 2017
      • 150 서인범, "朝鮮 虎皮와 豹皮의 생산ㆍ유통" 명청사학회 (50) : 1-52, 2018
      • 151 이기현, "朝鮮 後期 戶籍의 文獻學的 檢討" 고려대학교 2017
      • 152 한명기, "明淸交替 시기 朝中關係의 추이" 동양사학회 (140) : 43-85, 2017
      • 153 손병규, "戶籍과 族譜의 자료적 특성과 연구방법 ― 17C~20C 초 丹城地域 培養洞 陜川李氏들을 추적하며" 대동문화연구원 (102) : 41-80, 2018
      • 154 임혜련, "憲宗妃 孝定王后의 國婚과 南陽 洪氏의 역할" 수선사학회 (62) : 185-207, 2017
      • 155 이헌창, "實學의 개념과 학술사적ㆍ현재적 의의" 한국실학학회 (36) : 535-611, 2018
      • 156 이헌주, "姜瑋의 燕行과 對中國 認識의 변화" 아세아문제연구소 60 (60): 7-38, 2017
      • 157 하서정, "仁祖대 災異에 대한 인식과 대응" 대구사학회 127 : 157-187, 2017
      • 158 鈴木開, "丙子の乱直前の朝淸交涉について(1634~1636)" 駿台史學會 159 : 2017
      • 159 윤석호, "丁若鏞 經世學의 國家改革論과 農者得田" 연세대학교 2018
      • 160 허태구, "丁卯·丙子胡亂 전후 主和·斥和論 관련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학회 (128) : 179-236, 2017
      • 161 윤세순, "『蘭室譚叢』의 편찬 시기와 지식 구축 방식" 동방한문학회 (76) : 73-102, 2018
      • 162 진보성, "『오주서종박물고변』저술의 성격과 이규경의 박물관(博物觀)" 인문과학연구소 45 : 125-148, 2017
      • 163 진빙빙, "『열하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베이징 선남(宣南)의 선비문화" 인문학연구원 (69) : 135-172, 2018
      • 164 이현식, "『열하일기』「심세편」, 청나라 학술과 사상에 관한 담론" 국학연구원 (181) : 97-127, 2017
      • 165 조정현, "『역중일기』를 통해본 조선후기의 향약과 마을공동체 운영" 영남문화연구원 (67) : 239-271, 2018
      • 166 강민구, "『송남잡지』를 통해 본 조선 유서의 심미성과 의식성" 한국사상사학회 (59) : 221-249, 2018
      • 167 남호현, "『熱河日記』 黃敎 관련 서술을 통해 본 박지원의 淸朝 인식" 한국학연구소 (65) : 145-173, 2018
      • 168 김충현, "『明陵先生案』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陵官의 변화와 운용"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180-207, 2018
      • 169 강명관, "‘실학’과 과거의 내재적 근대"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3 : 2017
      • 170 BOWEI ZHANG, "‘燕行錄’ 및 관련 문헌의 ‘眞實性’ 문제 初探" 대동문화연구원 (97) : 9-44, 2017
      • 171 손성욱, "‘外交’의 균열과 모색: 1860~70년대 淸·朝관계" 역사학회 (240) : 525-570, 2018
      • 172 백옥경, "2015~2016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 역사학회 (235) : 159-210, 2017
      • 173 한상우, "19세기, 그림자의 시대" 한국역사연구회 (107) : 177-189, 2018
      • 174 박소연, "19세기 후반 서울지역 신앙결사 활동과 그 의미 : 불교·도교 결사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80) : 7-40, 2017
      • 175 유현재, "19세기 중반 호조의 재정지출의 성격과 특징 -‘用下條’ 분석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54) : 133-156, 2018
      • 176 김현숙, "19세기 중반 한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고용 노동" 서울역사편찬원 (97) : 73-118, 2017
      • 177 권내현, "19세기 조선 사회의 계층 이동 양상 –유학호와 비유학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03) : 207-234, 2018
      • 178 유현재, "19세기 전후 서울의 쌀 공급과 호조의 기능" 부경역사연구소 (43) : 249-274, 2018
      • 179 김창수, "19세기 전반 조선 사신의 청 정세인식- 청 황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26) : 279-314, 2017
      • 180 엄기석, "19세기 전반 궁방전(宮房田) 운영과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107) : 307-342, 2018
      • 181 구열회, "19세기 전라감영의 재정상황과 부담전가의 양상: 규장각 소장 全羅監營 재정자료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 219-247, 2018
      • 182 유재빈, "19세기 왕실 잔치의 기록과 정치 - 효명세자와 《己丑進饌圖》(1829)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6 : 105-132, 2018
      • 183 권오영, "19세기 영남유림의 사상적 동향" 민족문화연구소 (70) : 25-68, 2018
      • 184 이용기, "19세기 동계의 마을자치조직으로전환에 관한 시론" 한국사학회 (128) : 309-358, 2017
      • 185 김지은, "19세기 定齋 柳致明의 현실인식과 경세론" 경북대학교 2018
      • 186 임영길, "19세기 前半 燕行錄의 특성과 朝·淸 文化 交流의 양상" 성균관대학교 2018
      • 187 염정섭, "18세기 후반 전라도 담양 儒生 南極曄의 農法 정리와 農政 개혁책" 호남사학회 (69) : 203-237, 2018
      • 188 김준형, "18세기 향촌사회 신분구조의 혼효" 부산경남사학회 (103) : 77-115, 2017
      • 189 최주희, "18세기 중후반 훈련도감의 立役 범위 확대와 도감군의 상업활동" 고려사학회 (71) : 73-105, 2018
      • 190 이명제, "18세기 중반~19세기 전반 성호가문의 서학관 고찰 - 『闢異淵源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4) : 253-292, 2018
      • 191 이호윤, "18세기 조선의 청조인식 -『노가재연행일기』를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72) : 217-242, 2018
      • 192 정진영, "18세기 일기자료를 통해본 사노비들의 존재형태 -百弗庵 崔興遠의 <<曆中日記>>(1735~1786)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53 : 97-138, 2018
      • 193 이종수, "18세기 불교계의 표충사(表忠祠)와 수충사(酬忠祠) 건립과 국가의 사액" 불교학연구회 56 : 201-228, 2018
      • 194 김지현, "18세기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반송방(盤松坊)" 서울학연구소 (67) : 109-135, 2017
      • 195 정병설, "18세기 도시" 문학동네 2018
      • 196 김문식, "18세기 국왕의 왕실자료 편찬과 봉모당" 한국학중앙연구원 (40) : 36-66, 2018
      • 197 김미성, "18세기 관청 하급실무직의 貢人權 운영 사례 연구" 부경역사연구소 (40) : 131-162, 2017
      • 198 이민정, "18세기 관료 조현명의 정치적 공간, 해촌(海村)" 인문과학연구소 (27) : 39-68, 2018
      • 199 정혜중, "18세기 滿洲族 淸과 朝鮮의 交流" 동양사학회 (140) : 195-222, 2017
      • 200 조인희, "18세기 初 朝日間 ‘誠信外交’에 대한 고찰" 역사실학회 (66) : 325-353, 2018
      • 201 이영학, "18세기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에 나타난 조선의 사회상" 역사문화연구소 (64) : 83-112, 2017
      • 202 이정수, "18~19세기 지주가의 농업경영과 고용노동의 확대" 부산경남사학회 (106) : 95-125, 2018
      • 203 조성산, "18~19세기 조선 봉건·군현제 논의의 역사적 전개" 역사학회 (236) : 253-301, 2017
      • 204 임성수, "18~19세기 隱餘結의 파악과 지방재정운영" 국학연구원 (181) : 33-69, 2017
      • 205 노대환, "1870년대 전반의 중국 使行과 대외 정세 인식" 대동문화연구원 (104) : 43-70, 2018
      • 206 박나연, "1827년 純祖의 尊號儀禮 진행과 그 의미 - 지식 활용을 통해 본 명분론 강화 양상 -" 인문학연구원 (56) : 439-473, 2018
      • 207 최주희, "1826년 『예식통고(例式通攷)』의 편찬과 왕실재정의 정비 노력" 한국역사연구회 (107) : 269-306, 2018
      • 208 문광균, "1808년 『만기요람』의 편찬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107) : 231-268, 2018
      • 209 박범, "1802년 장용영의 혁파와 영향" 한국역사연구회 (107) : 191-230, 2018
      • 210 장경준, "18-19세기 노비 호구수 변화 양상에 대한 재검토 -호적대장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한국역사민속학회 (52) : 103-127, 2017
      • 211 김태훈, "17세기초 조·일 국교재개와 통교체제 재편 과정에 대한 검토 - 연속성과 단절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0) : 157-186, 2018
      • 212 전상욱, "17세기 함경도지역 공물수취체계와 상정법 시행"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2) : 263-289, 2018
      • 213 조인희, "17세기 초 小北 정권의 성립과정에 對하여" 한일관계사학회 (62) : 215-244, 2018
      • 214 방상근, "17세기 조선의 예(禮) 질서의 재건(再建)과 송시열(宋時烈): 현종대(顯宗代) 예송논쟁의 재해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6 (16): 123-154, 2017
      • 215 신병주, "17세기 政局의 전개와 趙絅의 정치적 활동" 조선시대사학회 (80) : 175-204, 2017
      • 216 박현순, "17~18세기 향약의 班常間 부조에 대한 고찰" 조선시대사학회 (82) : 191-225, 2017
      • 217 양정필, "17~18세기 전반 인삼무역의 변동과 개성상인의 활동" 탐라문화연구원 (55) : 107-144, 2017
      • 218 임성수, "17~18세기 전반 隱結·漏結·餘結의 존재 양태와 정부의 대응 변화" 역사학회 (234) : 195-230, 2017
      • 219 김영록, "17~18세기 대청 사행의 중계무역과 償債廳"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3) : 127-167, 2017
      • 220 구범진, "1780년대 淸朝의 朝鮮 使臣에 대한 接待의 變化" 명청사학회 (48) : 535-564, 2017
      • 221 이해진, "1704년 問慰行에 대한 對馬藩의 權現堂 供物 지급 요청" 한일관계사학회 (61) : 241-279, 2018
      • 222 이정일, "16~17세기 조선의 북방 대외 전략과 동북아 정세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84) : 43-7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