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660년대 고구려의 대남방 전략 = The southern strategy of Goguryeo in the 66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64(38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July 660, when Baekje was overthrown, Goguryeo did not take much action, as the neighboring countries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changed international situation. Th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ctober of 660, there was a gap of six months and attacked in turn the Chiljungseong(七重城) of Silla and the Bukhansanseong(北漢山城) of Silla. It is noted that Goguryeo attacked Silla during the ascension of Tang's threat. In the previous research, it has been interpreted as a policy that was promoted on the extension of ‘the coalition theory between Goguryeo and Baekje(麗․濟連和說)’, but I don't think it is apart from pursuing its own national interests.
Goguryeo succeeded in succeeding in attacking the Chiljungseong in the period when Silla concentrated on suppressing the Baekje revival army in the old land of Baekje. Furthermore, Goguryeo mobilized up to Malgal and attacked the Bukhansanseong but did not achieve remarkable achievement. The reason why Goguryeo selected two castles for attack is because of their geopolitical position and rol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not to easily allow contact with Tang by making the situation of Silla uncertain by attacking two castles.
Since then, Goguryeo has not invaded Silla anymore until his country was destroyed. Goguryeo pursued a policy of restraining Silla through external negotiations, not by invading forces. In the situation where Baekje was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negotiation target, only Wae(倭) was highlighted, Goguryeo tried to indirectly control Silla by aggressively negotiating with the cause, which had been pursued previous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Goguryeo has been more interested in the Silla than it had stopped the battle since the battle of the Bukhansanseong.
660년 7월, 백제가 멸망하자 주변 諸國이 변화된 국제정세를 적극 활용하려 한 것과는 달리 고구려는 별다른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 그러다가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인 660년 10월경부터 6개월의 간극을 두고 신라의 七重城과 北漢山城 등을 차례로 공격하였다. 당의 위협이 점증되는 와중에 고구려가 대신라 공세를 추진했다는 점에서 주의를 끈다. 이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麗․濟連和’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었던 정책으로 해석해 왔으나, 自國의 國益 추구와 동떨어진 조치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고구려는 신라가 백제 고지에서 백제부흥군 진압에 몰두했던 시기에 칠중성을 공략하여 성공리에 마무리하였다. 나아가 靺鞨까지 동원하여 북한산성을 공격했으나 괄목할 만한 성과는 얻지 못하였다. 고구려가 두 성을 공격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두 성이 차지하는 지정학적 위치와 역할 때문이다. 특히 두 성을 공격함으로써 신라의 政情을 불안케 하여 당과의 밀착을 쉽게 허용하지 않으려고 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후로 고구려는 멸망할 때까지 더 이상 신라를 침공하지 않았다. 무력 침공이 아닌 대외 교섭을 통한 대신라 견제 정책을 추진하였다. 백제가 교섭 대상에서 완전히 배제된 상황에서 倭만이 부각되었고, 고구려는 이전부터 추진해 온 왜와의 교섭을 보다 적극화하여 신라를 간접 견제하려 하였다. 따라서 고구려가 북한산성 전투 이후로 대신라 공세를 중단했다기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5 | 0.54 | 1.276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