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박탈과 증오의 바람 : 이만희 감독의 <휴일>(1968)을 중심으로 = The Wind of Deprivation and Hatred - Focusing on <A Day Off>(1968) Directed by Lee Man-he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3-272(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이만희 감독의 영화 <휴일>을 당대 사회의 반영이나 재현이 아니라, 정동(affect)의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영화가 이데올로기나 선전도구가 아니라 자율적인 영역을 구축했다는 점을 주장한다. 달리 말해 <휴일>은 서사 중심의 영화가 아니라, 인물들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힘에 주목하며, 어디로 나아갈지 모르는 카메라의 힘이 운동하는 방향에 주목하고 있는 독특한 구조로 흘러가는 영화임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영화는 ‘휴일’이라는 시간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지만 쉼이나 휴식이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의 지속을 위한 재생산(reproduction)의 시간임을 인물들 간의 관계를 통해 보여준다. 주인공 ‘허욱’과 ‘지연’은 가난한 연인으로 커피 한 잔 사먹을 돈이 없어 공원에서 데이트를 하고, 아이를 키울 형편이 안 돼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모욕적인 상황을 마다하지 않는다. 허욱이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친구들을 만날수록 걷잡을 수 없는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욱의 친구들 또한 심심해서 처음 만난 여자와 섹스를 하거나, 술에 취해 있거나, 목욕을 여섯 번이나 하는 등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내는 인물들로 그려진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휴일’이라는 시간이 진정한 휴식이 아니라 재생산을 위한 시간이며, 생산활동을 하지 않는 인물들은 극한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욱은 휴일이 끝나갈수록 더 무기력해지고, 결국 혐오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던 친구 ‘규제’로 인해 자기 파괴적인 증오의 감정을 표출하기에 이른다. 즉 영화는 허욱을 통해 휴일이라는 시간이 생산활동과 재생산의 세계를 파악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사회적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변동이 극심화 되어가는 1960년대 후반 기존에 자신이 누리던 지위나 위치를 상실할 경우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급이나 계층은 무기력이나 증오의 감정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음을 영화 속 관계들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더보기In this paper, the movie, <A Day Off> directed by Lee Man-hee, was analyzed not as the reflection or reproduction of the society of those times, but at the level of stillness and movements, and it was argued that the film had established an autonomous area rather than had been used as the means of ideology or propaganda.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A Day Off> was not a narrative- centered movie, but one focusing on the power generat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and had a unique structure of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 dynamic without knowing where it would head. First, the film begins with the time of ‘a day off’, yet it 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that it is not rest or break, but the time of regeneration for the continuance of the capitalistic system. The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Heo Wuk’ and ‘Jiyeon’ are poor lovers, who have a date in the park because they don t have money for a cup of coffee and don t say no to insulting situations when they have to raise money for abortion because they can t afford to raise a child. We can see that the more Heo Wuk meets his friends to prepare to pay for abortion, the more he becomes forced into an uncontrollable critical situation. Heo Wuk s friends are also described as the figures spending time spiritlessly, having intercourse with a woman whom one meets for the first time because he is bored, being drunken, or taking a bath six times a day. In that sense, it can be proven that in this movie, ‘a day off’, doesn t mean true rest, but is just time for reproduction, and those not engaged in production activities are being driven into extreme situations. As the day off is drawing to its close, he becomes lethargic more and more, and ends up expressing the emotion of self-destructive hatred because of his friend, ‘Gyu-je’, who sees him with the eyes of disgust. That is to say, the film makes one figure out the time of a day off showing the world of production activities and reproduction through Heo Wuk. Lastly,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s in the movie that in the latter half of 1960s when social instability was increasing and changes were becoming severe, when one lost the position or status that one used to enjoy, the one belonging to the weaker class or rank in the society couldn t help but become more vulnerable to the emotions of lethargy or hatred and disgus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0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1 | 0.739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