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항기 대외관계사 연구 현황(2000~2021)과 과제 = Research Status and Prospect of Korean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Open Port Period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article started with the purpose of seeking out the research history and prospects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recent port opening period. Academia has defined the “period of port opening” as an era in which Korea can transform into a Western-style modern society and aggression and response from foreign powers. Among them, the study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was mainly in charge of 'aggression'. In the process, foreign powers were assumed as an absolute strong force, and Korea was portrayed as an immature entity learning Western-style modernity. However, around 2000, a new trend appeared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Specifically, a study that highlights Gojong's diplomacy as the supreme decision maker of foreign policy, a study that attemp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orthodox" i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and a study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foreign powers as a historical entity and Korea's existence as an actor research was carried out.

    더보기

    이 글은 최근 개항기 대외관계사의 연구사 정리와 전망을 모색하는 목 적에서 출발하였다. 학계에서는 “개항기”를 한국이 서구식 근대사회로의 전환 가능성과 외세의 침략과 이에 대응한 시대로 규정해왔다. 그 중에 서도 특히 개항기 대외관계 연구는 주로 ‘침략’을 담당하였다. 그 과정에 서 외세를 절대적인 강자로 상정하였으며, 한국은 서구식 근대를 배워가 는 미숙한 존재로 그려냈다. 하지만 2000년을 전후로 개항기 대외관계사 연구에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외교정책의 최고 결정권 자로서 고종의 외교를 부각하는 연구, 개항기 대외관계사의 “통설”에 대 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 역사적 실체로서 한국과 외세의 관련성 및 행위주체로서 한국의 존재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보기
    • 1 안병직, "회고와 전망" 47 : 1971
    • 2 한성민, "황실특파유학생의 동맹퇴교운동에 대한 일본의 대응 ―구라치 데츠키치(倉知鐵吉)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93) : 373-415, 2014
    • 3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2008
    • 4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학자원 2018
    • 5 김원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외교와 국제관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 6 최문형,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 7 염정섭, "한국사 시대구분론의 전개와 과제 - 근세와 근대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95) : 1-47, 2021
    • 8 왕현종, "한국 근대사의 전통-근대의 연계와 동아시아 관계사 모색" 역사학회 (207) : 17-37, 2010
    • 9 김세민, "한국 근대사와 만국공법" 경인문화사 2002
    • 10 최보영, "한국 근대 정치·외교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근현대사학회 (100) : 13-40, 2022
    • 11 구선희, "한국 근대 대청정책사 연구" 혜안 1999
    • 12 민회수, "한국 근대 開港場·開市場의 監理署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 13 이은자, "한국 개항기(1876~1910) 중국의 治外法權 적용 논리와 한국의 대응 ―韓中間 조약 체결 과정을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92) : 187-227, 2005
    • 14 김흥수, "하나부사(花房義質) 공사의 조선정책과 인천개항"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3) : 155-186, 2017
    • 15 민유기, "프랑스의 1910년 한일병합과 그 결과에 대한 인식" 역사연구소 (89) : 33-67, 2016
    • 16 박지현, "프랑스 외무부 문서로 본 대한제국의 국제 관계" 수선사학회 (48) : 27-60, 2014
    • 17 현광호, "프랑스 공사의 독립협회운동 인식" 인문학연구원 (46) : 545-582, 2013
    • 18 최덕규, "포츠머스강화회의와 고종의 국권수호외교(1904-1906)" 아세아문제연구원 54 (54): 117-152, 2011
    • 19 구지현, "통신사(通信使)의 전통에서 본 수신사(修信使) 기록의 특성-제1차 수신사 기록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59) : 13-38, 2017
    • 20 김명호,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셔먼호 사건에서 신미양요까지" 역사비평사 2005
    • 21 최보영, "청일전쟁기(1894~1896) 주한일본영사의 영사보고와 ‘첩보’ 활용"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221-264, 2020
    • 22 한승훈, "청일전쟁 직전 영국의 외교적 간섭 실패와 패권적 지위 균열: 영국의 대조선정책과 관련해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9 (19): 63-97, 2020
    • 23 장경호, "청일전쟁 직전 고종의 대미의존 심화와 美館播遷 시도" 한국근현대사학회 (86) : 41-67, 2018
    • 24 박정현, "청일전쟁 이후 한중 간 분쟁의 유형과 한국인의 중국인에 대한 인식" 중국근현대사학회 (59) : 23-44, 2013
    • 25 홍웅호, "청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대동문화연구원 (61) : 91-123, 2008
    • 26 박은숙, "청선(淸船)의 한강 출입 문제와 무역장정의 법리 논쟁: 1884년 2월 이명진(李名振) 선박 구류사건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57 (57): 37-72, 2014
    • 27 이동욱, "청말 종주권 관념의 변화와 조선 정책의 전환" 역사연구소 (96) : 79-114, 2019
    • 28 김희연, "주한미국공사 알렌의 이권 획득과 세력권 확보 시도" 고려대학교 2022
    • 29 김영수, "주한 러시아공사 쉬뻬이에르의 외교활동과 한국정책" 역사학회 (233) : 151-180, 2017
    • 30 김희연, "주미조선공사관 참찬관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 이화사학연구소 (59) : 1-43, 2019
    • 31 김형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제4조의 개정 배경과 의미(1883~1884)" 아세아문제연구원 59 (59): 6-43, 2016
    • 32 박한민, "조일통상장정 운영과 조일의 대응 - 제16관, 제18관을 중심으로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3) : 187-233, 2017
    • 33 김종학, "조일수호조규는 포함외교의 산물이었는가?" 역사문제연구소 (114) : 25-56, 2016
    • 34 김흥수, "조일수호조규 부속조약의 재검토" 한일관계사학회 (57) : 393-430, 2017
    • 35 박한민, "조일수호조규 관철을 위한 일본의 정찰활동과 조선의 대응" 역사학회 (217) : 275-304, 2013
    • 36 李玟源, "조선특사의 러시아외교와 金得鍊-니콜라이 Ⅱ 황제대관식 사행을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33) : 5-5, 2007
    • 37 정경민, "조선의 초대 주미조선공사 파견과 친청노선 강화" 한국역사연구회 (96) : 255-293, 2015
    • 38 박한민, "조선의 對日사절 파견과 대응양상의 변화(1876~1885) -흠차대신 파견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77) : 69-101, 2019
    • 39 민회수, "조선-오스트리아 수호통상조약(朝墺修好通商條約) 체결의 정치적 의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5) : 151-184, 2009
    • 40 이효정, "조선 수신사가 본 메이지 일본 여성 - 『일동기유』와 『동사만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69) : 97-125, 2015
    • 41 배항섭, "조로수교(1884)전후 조선인의 러시아관" 역사학회 (194) : 127-160, 2007
    • 42 한동훈, "조러육로통상장정(1888) 체결을 둘러싼 조·청·러 삼국의 협상과정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85) : 349-391, 2012
    • 43 한성민, "제2회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特使에 대한 일본의 대응" 한일관계사학회 (51) : 361-398, 2015
    • 44 최정수,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와 미국의 ‘세계평화전략’ ―‘국제경찰’과 ‘약한 국가’ 처리문제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0) : 423-458, 2008
    • 45 최덕수,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1907)와 대한제국 언론의 세계인식 ―『皇城新聞』과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0) : 283-308, 2008
    • 46 이효정, "제2차 수신사의 일본 견문 태도와 교류의 실제" 열상고전연구회 (51) : 225-250, 2016
    • 47 이헌주, "제2차 修信使의 활동과 『朝鮮策略』의 도입" 고려사학회 (25) : 285-325, 2006
    • 48 한철호, "제1차 수신사(1876) 김기수의 견문활동과 그 의의" 한국사상사학회 (27) : 287-321, 2006
    • 49 커크 W. 라슨, "전통, 조약, 장사" 모노그래프 2021
    • 50 배항섭, "전근대-근대의 연속적 이해와 동아시아라는 시각" 역사학회 (223) : 27-54, 2014
    • 51 박준형, "재한일본‘거류지’․‘거류민’규칙의 계보와 「居留民團法」의 제정" 한국법사학회 (50) : 127-166, 2014
    • 52 김용구,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 사대질서 변형과 한국 외교사" 원 2004
    • 53 한성민, "일본의 ‘韓國倂合’ 과정 연구" 경인문화사 2021
    • 54 최덕규, "일본군의 한국강점 과정과 고종황제의 기억: 을사조약의 글로벌 히스토리"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7) : 195-229, 2012
    • 55 小川原宏幸,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병합론과 평화회의" 30 :
    • 56 오가와라 히로유키,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병합 구상과 조선 사회" 열린책들 2012
    • 57 한승훈, "을사늑약을 전후한 영국의 대한정책" 고려사학회 (30) : 387-421, 2008
    • 58 한영우, "을미지변, 대한제국 성립과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 100 : 2000
    • 59 장영숙, "알렌이 포착한 기회의 나라, 대한제국" 이화사학연구소 (59) : 93-127, 2019
    • 60 장영숙, "알렌, 이용익과의 갈등과 원한의 변곡점" 역사문화연구소 (78) : 49-80, 2021
    • 61 김현숙, "아관파천기 영국과 미국의 한반도 팽창의 양상과 특징" 한국사연구회 (187) : 325-362, 2019
    • 62 金鍾憲, "슈페이예르와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조선 내 외교활동―1884~1894" 대동문화연구원 (61) : 125-163, 2008
    • 63 허경진, "수신사(修信使)에 대한 조선과 일본의 태도 차이" 열상고전연구회 (53) : 29-58, 2016
    • 64 이효정 ; 김누리,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자료의 DB 구축 과정에 대한 일고찰" 열상고전연구회 (62) : 103-133, 2018
    • 65 김용구, "세계관의 충돌과 한말 외교사(1866~1882)" 문학과지성사 2001
    • 66 장영숙, "성찰, 화해, 포용의 동아시아사를 위해" 역사학회 (231) : 21-46, 2016
    • 67 이영미, "선교사에서 외교관으로: 알렌(Horace N. Allen, 1858~1932)의 삶과 한국" 한국역사민속학회 (58) : 241-271, 2020
    • 68 김영수, "서울주재 러시아공사 베베르의 외교활동과 한국정책" 서울역사편찬원 (94) : 7-44, 2016
    • 69 오영섭, "서구 문화의 수용과 근대개혁" 태학사 2004
    • 70 왕현종, "민족적 관점에서의 한국 근대정치사 연구 비판과 ‘고종’의 절대화" 6 : 2001
    • 71 박정양, "미행일기" 푸른역사 2015
    • 72 박정양, "미속습유" 푸른역사 2018
    • 73 김기정,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 관계 연구" 문학과 지성사 2003
    • 74 김현숙, "미국공사 알렌의 사회적 관계와 협력망 ― 스티븐스와의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 이화사학연구소 (60) : 1-37, 2020
    • 75 한영우,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효형출판 2001
    • 76 최문형, "명성황후 시해의 진실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1
    • 77 김영수, "명례궁약정과 한러비밀협정을 통해본 모스크바대관식(1896)" 한국역사연구회 (106) : 291-323, 2017
    • 78 한성민, "망명자 김옥균(金玉均)에 대한 일본의 처우와 조선정책(1884~1890)" 한국역사연구회 (109) : 373-407, 2018
    • 79 김용구, "만국공법" 소화 2014
    • 80 최덕규, "러일전쟁 이후 러시아 극동의 방위계획과 재무상과 육군상의 정책대립- 안중근의 하얼빈의거와 관련하여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20) : 131-171, 2021
    • 81 장영숙, "러일개전의 길과 알렌의 외교적 변신" 한일관계사학회 (74) : 247-276, 2021
    • 82 최덕규,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고종(高宗)의 연해주 망명정부 구상 (1909-1910)"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5) : 181-216, 2011
    • 83 최덕규, "러시아 해군상 쉐스타코프와 거문도 사건(1885-1887)" 한국세계문화사학회 (37) : 59-89, 2015
    • 84 박범, "동양합동광업회사의 운산금광 운영과 광산도시 북진의 지역사회" 이화사학연구소 (59) : 44-92, 2019
    • 85 김기혁,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종막, 조선・일본・청, 1860~1882" 글항아리 2022
    • 86 이영호,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대한제국 평가논쟁 -2005년 한국근대사 연구의 쟁점 -" 역사학회 (191) : 147-167, 2006
    • 87 이영관, "독일 세창양행과 구한말 조선의 근대화 현실" 한국사상문화학회 (76) : 135-163, 2015
    • 88 현광호, "대한제국의 중립정책과 중립파의 활동" 14 : 2000
    • 89 현광호, "대한제국의 대외정책" 신서원 2002
    • 90 김희연, "대한제국기 한성수도부설권 문제-주한미국공사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88) : 7-43, 2019
    • 91 김현숙, "대한제국기 탁지부고문 알렉세예프의 재정정책과 친러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47) : 80-113, 2008
    • 92 현광호, "대한제국기 고종의 대영 정책" 한국사연구회 (140) : 221-248, 2008
    • 93 민회수, "대한제국기 監理署의 외교전담관서로의 변화" 한국사학회 (140) : 369-406, 2020
    • 94 민회수, "대한제국기 務安監理 秦尙彦의 반침략 외교활동" 호남사학회 (77) : 183-214, 2020
    • 95 서영희,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96 연갑수,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정책연구" 서울대 출판부 2001
    • 97 연갑수, "대원군과 서양-대원군은 쇄국론자였는가" 50 : 2000
    • 98 도면회, "내재적 발전론의 ‘건재’와 새로운 역사연구 방법론의 정착" 역사학회 (231) : 3-19, 2016
    • 99 이태진, "끝나지 않은 역사 :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태학사 2017
    • 100 박은숙, "김윤식과 원세개・이홍장・주복의 교류(1881~1887) - 장정체제 구축과 종속의 네트워크 -" 고려사학회 (61) : 523-553, 2015
    • 101 엄승희, "근대전환기 초대 프랑스 駐朝公使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Victor Collin de Plancy)의 도자외교"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167-200, 2019
    • 102 이효정, "근대전환기 조선인의 메이지(明治) 일본 견문-민건호의 『동행일록(東行日錄)』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84) : 339-371, 2018
    • 103 송규진, "근대시기 한중관계의 변화과정" 호서사학회 (68) : 197-228, 2013
    • 104 이민원, "근대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1876~1910)" 역사학회 (199) : 119-143, 2008
    • 105 김희신, "근대 한중관계의 변화와 외교당안의 생성 ― 「淸季駐韓使館保存檔」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50) : 35-73, 2011
    • 106 김현숙, "근대 한국의 서양인 고문관들" 한국연구원 2008
    • 107 민회수, "근대 한국의 ‘지방대외교섭(地方對外交涉)’개념에 대한 시론(試論)" 한국사연구회 (194) : 403-437, 2021
    • 108 정재훈, "근대 조선과 러시아의 경제관계 형성" 31 : 2008
    • 109 구희진, "근대 Ⅰ(1876~1910)" 역사학회 (195) : 119-144, 2007
    • 110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지식산업사 2004
    • 111 한성민, "구라치 데츠키치(倉知鐵吉)의 ‘韓國倂合’ 계획 입안과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54) : 76-105, 2010
    • 112 최덕규, "고종황제의 독립운동과 러시아 상하이 정보국(1904~1909)"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1) : 43-84, 2014
    • 113 최덕규, "고종황제와 안중근의 하얼빈의거(1904~191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3) : 95-142, 2012
    • 114 김형수, "고종의 친정과 개국정책연구-1873년~1876년" (33・34) : 2001
    • 115 안외순, "고종의 초기(1864-1873)대외인식 변화와 친정(親政)-견청회환사(遣淸回還使)소견을 중심으로" 30 (30): 1996
    • 116 구선희, "고종의 서구 근대 국제법적 대외관계 수용 과정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32) : 105-141, 2011
    • 117 장경호, "고종의 반청인식과 조선 주재 미국인들(1880-1894)" 강원사학회 (26) : 67-97, 2014
    • 118 장경호, "고종의 미관파천(美館播遷)시도와 한미관계(1894~1905)" 경인문화사 2021
    • 119 엄찬호, "고종의 대외정책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0
    • 120 장영숙, "고종의 대외인식전환 연구(1863~1881)" 5 : 1997
    • 121 최보영, "고종의 ‘收夷制夷’적 일본인식과 武備自强策(1876~1881)" 한국근현대사학회 (57) : 7-32, 2011
    • 122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 123 김영수, "고종과 아관파천" 역사공간 2020
    • 124 김용구, "거문도와 블라디보스토크 : 19세기 한반도의 파행적 세계화 과정"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 125 천수진, "거문도사건을 통해 본 1880년대 조선의 자국인식과 외교정책" 수선사학회 (66) : 101-136, 2018
    • 126 김종학,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일조각 2017
    • 127 박한민, "개항장 ‘間行里程’ 운영에 나타난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한국사연구회 (165) : 143-184, 2014
    • 128 최보영, "개항기(1902~1906) 일본영사관경찰의 울릉도주재소 설치와 한국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86) : 97-122, 2018
    • 129 최보영, "개항기(1880~1906) 釜山駐在 日本領事의 파견과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81) : 7-43, 2017
    • 130 최보영, "개항기(1880~1906) 원산주재 일본영사의 파견과 거류지 행정" 연세사학연구회 48 : 381-414, 2021
    • 131 최보영, "개항기(1876~1906)駐韓日本領事의 활동과 한국인식" 동국대학교 2018
    • 132 양홍석, "개항기(1876-1910) 미국의 치외법권 적용논리와 한국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39) : 85-112, 2006
    • 133 한철호, "개항기 일본의 치외법권 적용 논리와 한국의 대응" 고려사학회 (21) : 179-220, 2005
    • 134 박준형, "개항기 漢城의 開市와 잡거문제 - 한성개잔 및 철잔 교섭을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82) : 179-212, 2012
    • 135 박준형, "개항기 平壤의 개시과정과 開市場의 공간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77-118, 2013
    • 136 최덕수, "개항과 조일관계" 고려대 출판부 2004
    • 137 정구선, "개항 후(1876~1894) 일본의 치외법권 행사와 한국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39) : 40-84, 2006
    • 138 최보영, "개항 초기(1876~1880) 釜山駐在 日本管理官의 파견·활동과 그 특징"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7) : 468-510, 2014
    • 139 정숭교, "강제병합 100주년, 20세기의 한국근대사 연구를 넘어서" 역사학회 (215) : 15-42, 2012
    • 140 최보영, "가토 마쓰오(加藤増雄)의 주한일본 영사․공사 활동과 한국 통치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0) : 15-55, 2019
    • 141 이은자, "韓淸通商條約 시기(1900~1905) 중국의 在韓 치외법권 연구" 명청사학회 (26) : 89-121, 2006
    • 142 梶村秀樹, "韓國近代經濟史硏究" 사계절 1983
    • 143 이선근, "韓國史時代區分論" 을유문화사 1970
    • 144 안종철, "韓國倂合’전후 미일 간 미국의 한반도 治外法權 廢止交涉과 妥結" 한국법사학회 (36) : 39-64, 2007
    • 145 酒井裕美, "開港期朝鮮の戰略的外交, 1882-1884" 大阪大學出版會 2016
    • 146 정태섭 ; 한성민, "開港 후(1882~1894) 淸國의 治外法權 행사와 朝鮮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43) : 7-35, 2007
    • 147 한철호, "近代 Ⅰ(개항전후~1910)" 175 : 2002
    • 148 서영희, "近代 Ⅰ(1876~1910)" 171 : 2001
    • 149 조재곤, "近代 Ⅰ(1876~1910)" 183 : 2004
    • 150 안종철, "親政前後 高宗의 對外觀과 對日政策" 40 : 1998
    • 151 이학로, "華商 死亡 事件과 그 訴訟을 통해 본 韓·中關係: 袁世凱의 朝鮮 在任 時期를 中心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57 (57): 109-143, 2014
    • 152 이은자, "淸日戰爭 이전과 이후 在韓 韓中間 ‘訴訟’ 안건 비교 분석" 아시아문화연구소 17 : 45-65, 2009
    • 153 손형부, "朴珪壽의 開化思想硏究" 일조각 1997
    • 154 이완재, "朴珪壽 硏究" 집문당 1999
    • 155 李穂枝, "朝鮮の対日外交戦略 日清戦争前夜 1876-1893" 法政大学出版局 2016
    • 156 한승훈, "朝英條約(1883. 11)과 불평등조약체제의 재정립" 한국사연구회 (135) : 215-250, 2006
    • 157 박한민, "朝日修好條規 체제의 성립과 운영 연구(1876~1894)" 고려대학교 2017
    • 158 엄찬호, "巨文島事件과 朝鮮의 中立化論" 강원사학회 (18) : 237-258, 2002
    • 159 岡本隆司, "屬國と自主のあい だ-近代淸韓關係と東アジアの命運"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 160 이헌주, "姜瑋의 開化思想 硏究" 선인 2018
    • 161 이은자, "大韓帝國時期 韓中間 民事訴訟의 實例 ―‘彭姜案’(1898~1900)을 中心으로―" 동양사학회 (100) : 177-215, 2007
    • 162 제임스 팔레, "傳統韓國의 政治와 政策 : 朝鮮 王朝 社會의 政治・經濟・이데올로기와 大院君의 改革" 신원문화사 1993
    • 163 정훈식, "修信使·朝士視察團 기록을 통해 본高宗의 東道西器 정책과 그 한계" 열상고전연구회 (73) : 5-35, 2021
    • 164 한성민, "乙巳條約 이후 일본의 '韓國倂合' 과정 연구 : 日本人 실무관료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16
    • 165 정태섭 ; 한성민, "乙巳條約 이후 韓 ‧ 淸 간 治外法權 연구(1906~1910)" 한국근현대사학회 (46) : 53-80, 2008
    • 166 엄찬호, "主權守護를 위한 高宗의 特使外交" 강원사학회 (15) : 207-231, 2000
    • 167 문순희, "『滄槎紀行』의 특징과 安光黙의 日本 使行 經驗"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9 (49): 393-424, 2021
    • 168 최덕규, "『朝鮮策略』과 고종정부의 북방정책 : 러시아 레솝스키 함대의 극동원정(1880-1881)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8) : 271-308, 2018
    • 169 문순희, "『修信使日記』의 체재와 내용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59) : 39-69, 2017
    • 170 박한민, "『丙子擾錄』을 통해 본 조일수호조규 체결" 한일관계사학회 (63) : 45-86, 2019
    • 171 한승훈,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 당시 미국의 ‘공평함’이 갖는 함의 - 조선의 관세자주권 확보 시도와 좌절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52) : 195-226, 2018
    • 172 문순희, "「東遊艸」로 보는 강위의 수신사 사행과 일본 인식" 열상고전연구회 (67) : 229-259, 2019
    • 173 박은숙, "‘장정체제’에 대한 조선 정부의 저항과 만국공법" 역사학회 (226) : 155-186, 2015
    • 174 한성민, "‘韓國倂合’에 대한 일본의 정책적 일관성 검토 -「對韓施設綱領」과 「對韓施設大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2) : 265-296, 2021
    • 175 이은자, "‘訴訟’ 안건을 통해 본 청일전쟁 이후(1895~1899) 韓中關係 연구" 중국근현대사학회 (38) : 27-62, 2008
    • 176 James B. Palais, "Korea on the Eve of the Kangwa Treaty, 1873-1876" Harvard University 1968
    • 177 Jones, F. C, "Foreign diplomacy in Korea 1866-1894" Harvard University 1936
    • 178 Kiernan, E. V. G., "British Diplomacy in China 1880 to 188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9
    • 179 권의석, "Ascending to the Imperial Throne: Kojong’s Elevation from King to Emperor and British Responses, 1895-1898" 한국사연구소 26 (26): 219-253, 2021
    • 180 권의석, "An Unfulfilled Expectation: Britain’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Korean Independence, 1903-1905" 한국사연구소 23 (23): 27-53, 2018
    • 181 김태웅, "<批評論文> 高宗政府의 獨逸帝國 인식과 近代政治體制 모색" 역사교육연구회 (150) : 221-240, 2019
    • 182 김태웅, "2004년에 되돌아 보는 우리역사의 갈림길(1876-1910)" 역사학회 (187) : 109-134, 2005
    • 183 권혁수, "19세기말 한중관계사 연구 : 李鴻章의 조선 인식과 정책을 중심으로" 백산자료원 2000
    • 184 유바다, "19세기 후반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7
    • 185 구선희, "19세기 후반 조선사회와 전통적 조공관계의 성격" 한국사학회 (80) : 71-100, 2005
    • 186 한동훈, "19세기 후반 조선과 러시아의 상호인식과 외교정책" 고려대학교 2021
    • 187 이효정, "19세기 후반 조선 지식인의 독립 국가 지향-박영효의 『使和記略』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52) : 235-260, 2017
    • 188 이효정, "19세기 후반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통한 지식·문화 교류의 한 양상 - 『스에마츠 지로 필담록(末松二郞筆談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78) : 133-164, 2018
    • 189 민경현,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조선정책과 조러수호통상조약" 대동문화연구원 (61) : 69-89, 2008
    • 190 한승훈, "19세기 후반 朝鮮의 對英정책 연구(1874-1895) : 조선의 균세정책과 영국의 간섭정책의 관계 정립과 균열" 고려대학교 2015
    • 191 이태진, "19세기 한국의 국제법 수용과 중국과의 전통적 관계 청산을 위한 투쟁" 역사학회 (181) : 131-157, 2004
    • 192 한승훈,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 영⋅러 대결과 조⋅청 속방관계와 관련하여" 인문학연구원 74 (74): 9-41, 2017
    • 193 한동훈, "19세기 말 조・러 접경에 대한 조・청의 ‘空曠地’ 논리 대두와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97) : 195-230, 2017
    • 194 민회수, "19세기 말 외국인 관련 사건의 사례로 본 ‘地方對外交涉’" 한국학연구소 (64) : 609-628, 2022
    • 195 신주백, "1960년대 ‘근대화론’의 學界 유입과 한국사 연구 - ‘근대화’를 주제로 내세운 학술기획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25) : 45-94, 2017
    • 196 최덕규, "1907년 헤이그평화회의와 러시아의 대한정책" 고려사학회 (30) : 355-386, 2008
    • 197 꾼 드 꿰스터, "1907년 헤이그 특사의 성공과 좌절" 고려사학회 (30) : 309-354, 2008
    • 198 한성민, "1907년 체제 성립과정에서 일본의 한국정책과 한국사회의 대응" 일본사학회 (49) : 75-102, 2019
    • 199 박준형, "1899년 평양개시 이후 평양성 외성 공간의 재편 과정" 한국학연구소 (39) : 111-144, 2015
    • 200 민회수, "1896년 복설(復設) 이후 개항장(開港場)·개시장(開市場) 감리서(監理署)의 관할 업무와 수행 실태" (재)한국연구원 (2) : 203-231, 2019
    • 201 권인용, "1884년 ‘최약국명안’(崔藥局命案)의 재구성" 아세아문제연구원 57 (57): 73-108, 2014
    • 202 박한민, "1883년 조일통상장정 체결과 각국의 대응" 부산경남사학회 (111) : 245-290, 2019
    • 203 유바다, "1882년 조약・장정의 체결과속국(屬國)・반주지국(半主之國) 조선의국제법적 지위" 한국역사연구회 (99) : 155-192, 2016
    • 204 박정현, "1882~1894년 조선인과 중국인의 갈등 해결방식을 통해 본 한중관계" 중국근현대사학회 (45) : 1-20, 2010
    • 205 문순희,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日東録』, 『東行日録』, 『東京日記』를 비교하며" 열상고전연구회 (53) : 59-89, 2016
    • 206 현광호, "1880년대 후반~1890년대 전반기 조선의 프랑스 인식" 인문학연구원 (44) : 445-476, 2012
    • 207 이헌주, "1880년대 초반 姜瑋의 聯美自强論" 한국근현대사학회 (39) : 7-39, 2006
    • 208 김형종,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 국경회담의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 209 한승훈, "1880년대 영국외교관의 조선 북부 지역 여행에 담긴 함의 -영국의 경제적 확장과 관련하여" 역사연구소 (90) : 43-82, 2017
    • 210 박한민,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한일관계사학회 (39) : 369-421, 2011
    • 211 尹素英, "1870년 전후 조선의 對日認識과 정책"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194-226, 2003
    • 212 장동표, "1860년대 반침략・반봉건운동의 의의" 9 : 1993
    • 213 박준형, "'‘근대’를 포섭한 ‘전통’의 시각과 ‘사실’을 전유한 ‘역사’들에 대한 재고" 역사학회 (247) : 19-50,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