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불교와 의학 관련 연구의 성과와 전망 - 불교의료인문학의 정립을 제안하며 - = A study on research trends and prospects in Buddhism and medicine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글의 목적은 국내의 불교와 의학 관련 연구의 성과를 조사, 분석하고 향후 연구를 전망하는 것이다. 불교와 의학의 친연성에도 불구하고 불교와 의학 관련 연구가 전체 불교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양적으로 적으며, 대부분 2000년대 이후의 성과이고 명상의 치료적 활용에 편중되어 있다. 경전과 논서에 인도의학의 내용을 담고 있는 불교는 불교 고유의 사상을 반영하여 불교의학을 성립시킨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불교의학에 대한 연구 외에 불교와 정신의학, 한의학과의 비교, 융합 연구가 수행되었다. 불교 명상의 치료적 활용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 해외에서 연구가 활성화된 이후로 국내에서도 불교학계, 심리학계, 의학계 세 학문 분야에서 최근까지 상당수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론적, 임상적 연구가 병행되었다. 불교가 삼국시대 전래된 이후 한국 고대의학과 치병 활동에 영향을 준 불교에 대한 연구가 의료사적으로 이루어졌다. 생명의료윤리적으로 낙태, 안락사, 호스피스, 생명공학기술, 장기이식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지금까지의 국내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불교와 의학 관련 연구는 명상의 치료적 활용에 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불교학계, 심리학계, 의학계의 학제간적 융합 연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불교가 생명에 대한 사랑과 존중을 표방하는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연구도 빈약하다. 한국불교의 역사가 길고 한국 의학과 치병 활동에 미친 영향이 크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의학과 마찬가지로 고통의 치유를 목표로 하는 불교와 의학 관련 연구의 비중을 높이고 연구 주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응용불교학 내 하나의 독립적 학문으로서 불교의료인문학을 정립한다면 다양한 주제의 체계적 관리, 효율적인 학문적 교류와 연구 성과 축적이 가능해질 것이다.

    더보기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lated to Buddhism and medicine in Korea.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xamining medicine in the context of Buddhism, including research on Buddhist medicine and comparative studies investigating Buddhism and psychiatric or oriental medicine. Moreove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oth theoretically and clinically on the therapeutic use of Buddhist meditation. Historically, research has been done on Buddhism’s influence on ancient Korean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s. Bioethical studies on abortion, euthanasia, biotechnology, and organ transplantation have also been conducted. Although Buddhism is similar to medicine in its aim to overcome suffering, not much research has been produced beyond studies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meditation. Although Buddhism advocates a deep respect for life, research on biomedical ethics as related to Buddhism is lacking.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long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its effects on Korean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s. Therefore, I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medical humanities as a discipline in both medical humanities and applied Buddhism. By systematically and diversely researching the Buddhist medical humanities, it will be possible to broaden the horizon of Buddhist studies and to collaborate effectively with other disciplines. Furthermore, given humankind’s current circumstances with the rap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e study of Buddhist medical humanities will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realize Buddhism’s goal of saving sentient beings.

    더보기
    • 1 이규호, "落胎(罪)와 佛敎의 生命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4 (24): 51-65, 2018
    • 2 신명희, "힐링을 위한 염불행법의 현대적 의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5) : 435-459, 2016
    • 3 양정연,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불교생사관적 검토 -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6 : 273-293, 2014
    • 4 김형록, "호흡명상의 심리 치유적 효과- 영상관법에 의한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75) : 323-355, 2015
    • 5 이 영 순, "호흡명상에 기초한 명상상담이 아동기 성폭력 피해 여성의 장기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한국불교학회 (73) : 487-519, 2015
    • 6 임성견,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221-236, 2008
    • 7 안병희, "호흡관 수행과 심신치유 적용 ─상좌불교 전통의 호흡관과 MBSR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2 : 613-657, 2012
    • 8 임백거, "현대적 불교문화체험으로서의 템플스테이 명상 경험과 청소년 참여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1) : 31-69, 2015
    • 9 박채숙, "현대사회의 정신치료에 대한 불교적 접근" 한국불교학회 28 : 2001
    • 10 불교생명윤리정립연구위원회, "현대사회와 불교생명윤리" 조계종출판사 2009
    • 11 안희영, "현대 서구사회에서의 마음챙김 활용 ―불교 전통과 현대 마음챙김 접근법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3 : 489-517, 2012
    • 12 윤종갑, "한일불교와 생명윤리-낙태를 둘러싼 한일불교의 생명문화와그 기저"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 : 2007
    • 13 윤종갑, "한일불교와 생명문화의 전통: 생명윤리를 둘러싼 역사적ㆍ문화적 배경" 새한철학회 4 (4): 97-125, 2009
    • 14 구병수, "한의학과 불교의 생태학적 고찰"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5 (15): 1-10, 2004
    • 15 구병수, "한의학과 불교의 관점에서 본 호흡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6 (16): 43-52, 2005
    • 16 구자환, "한방치료와 호흡명상으로 호전된 폐암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 치험 1례" 한의병리학회 25 (25): 1102-1107, 2011
    • 17 오경민, "한방치료와 호흡명상으로 호전된 불면 및 우울증을 동반한 불안 장애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 (20): 297-307, 2009
    • 18 김두종, "한국의학과 인도의학의 관계" 한국과학사학회 1 (1):
    • 19 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 총목록" 도서출판 해조음 2010
    • 20 박서연, "한국불교사와 동양의학사에서의 인간론 변용 고찰 ―의상과 이제마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3 : 459-487, 2012
    • 21 임승택, "한국 선불교와 힐링, 그 가능성에 대한 고찰: 위빠사나 성공사례와 비교를 통해" 한국불교학회 (66) : 299-326, 2013
    • 22 박영희, "한국 불교호스피스의 현황과 과제" 한국정토학회 7 : 2004
    • 23 김성순,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회 39 : 339-366, 2014
    • 24 장은영, "티벳의학에 대한 연구-사부의전․논설의전 및 사부의전․비결의전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2 (12): 2004
    • 25 장은영, "티벳의학에 대한 연구-사부의전․근본의전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 11 (11): 1998
    • 26 노계왕(혜능), "치유명상을 위한 밀교의 네 가지 가행에 대한 고찰" 불교문예연구소 14 : 89-115, 2019
    • 27 박종식, "치선병비요경의 불교의학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 28 백원기, "초의선사의 선다시와 마음치유의 시학" 불교문예연구소 1 : 2013
    • 29 김응철, "초기경전에 나타난 불교호스피스(비하라) 서비스 원형 연구" 한국불교학회 (56) : 441-468, 2010
    • 30 방인,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주역선해(周易禪解)』"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 : 251-274, 2014
    • 31 이기운, "천태학에서의 인문치유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4) : 183-213, 2015
    • 32 무문, "천태지자대사의 전적에 나타난 선병치료에 관한 소고" 대각사상연구원 8 : 2005
    • 33 이기운, "천태지관에서의 心身의 병환과 치유" 불교문화연구원 (58) : 299-325, 2011
    • 34 김종두, "천태의 호흡법과 질병치료" 불교문화연구원 (61) : 417-446, 2012
    • 35 김종두, "천태의 가상법(假想法)과 주술법(呪術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 한국선학회 (31) : 187-221, 2012
    • 36 이병수, "참회수행을 통한 자기치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7) : 277-333, 2014
    • 37 鄭茂煥(性本), "참선수행과 선병(禪病)의 문제" 한국불교학회 (50) : 581-626, 2008
    • 38 임세라, "차크라명상을 적용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불교문예연구소 9 : 311-331, 2017
    • 39 윤혜진, "집중명상(Samatha) 프로그램이 마약중독자의 갈망, 자아존중감 및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불교문화연구원 (75) : 285-313, 2016
    • 40 이현숙, "질병, 치료, 종교∶한국 고대 불교의학" 한국사상문화학회 (48) : 141-180, 2009
    • 41 양경인, "진기약(陳棄藥)에 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회 57 : 189-210, 2018
    • 42 문진건, "조현병 치료에 활용되는 요가치료 - 요가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불교문예연구소 13 : 267-296, 2019
    • 43 이기운, "조선후기 의학서 간행과 불교"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8) : 240-275, 2015
    • 44 장은화,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과 미국 조동선의 비교 -不二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69 : 445-474, 2014
    • 45 전현수, "정신과의사가 붓다에게 배운 마음치료이야기" 불광출판사 2010
    • 46 허휴정, "정신과 임상에서 명상의 활용 : 마음챙김 명상을 중심으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4 (54): 406-417, 2015
    • 47 박성식, "정서적 변화가 육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초기불교와 사상의학의 심신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5 : 139-176, 2013
    • 48 차 정 연, "절명상 집단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일상적 스트레스·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불교학회 (73) : 451-485, 2015
    • 49 강명희, "자연명상법을 통한 심리치유의 필요성과 그 대안" 불교문예연구소 10 : 47-73, 2018
    • 50 안양규, "자기-자비(self-compassion)에서 본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알아차림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치유기제" 불교문화연구원 (69) : 148-168, 2014
    • 51 곽만연, "잉여냉동배아의 이용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불교적 입장" 불교문화연구원 (46) : 111-132, 2005
    • 52 윤현숙, "임종행의(臨終行儀)와 불교적 터미널 케어를 위한시론" 한국정토학회 7 : 2004
    • 53 윤종갑,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불교적 관점" 한국불교학회 (41) : 241-284, 2005
    • 54 김민주,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1) : 531-549, 2017
    • 55 양경인, "의정의 번역어 치목에 관한 고찰" 회당학회 18 : 2013
    • 56 김귀연, "의왕 붓다의 주치의였던 지바까에 대한 현대적 고찰"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 : 2019
    • 57 박서연, "의상계 화엄수행론의 심리치유 가능성 고찰" 불교문화연구원 (75) : 9-28, 2016
    • 58 권상옥, "의료인문학의 성격과 전망" 한국의철학회 5 : 2008
    • 59 블리클리, 앨런, "의료인문학과 의학교육" 학이시습 2019
    • 60 이은영, "의료기술을 통한 도덕적 향상은 가능한가 - 불교윤리학의 관점에서 -" 인문학연구원 (42) : 77-105, 2020
    • 61 곽만연, "윤리적?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불교학연구회 12 : 71-123, 2005
    • 62 박재용, "유식불교와 심리치료 - 연구경향 분석과 과제 -" 불교문화연구원 (71) : 251-280, 2015
    • 63 조덕인, "유식불교에 근거한 영상관법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TSD)를 겪는 연구참여자에게 미친 영향"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1) : 71-107, 2015
    • 64 서병찬, "월정사 단기 템플스테이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8) : 495-523, 2016
    • 65 이은영, "원헬스에 대한 불교적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2255-2268, 2020
    • 66 성활인, "우울증 치유를 위한 유식수행 연구" 한국불교학회 (74) : 413-446, 2015
    • 67 여인석, "우리나라 고대 불교의학의 한 단면: 원효의 경우" 대한의사학회 4 (4): 1995
    • 68 신정란, "영상관법이 장애가족을 가진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2) : 547-574, 2015
    • 69 배효상, "염불이 사상체질에 따라 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 분노,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정토학회 21 : 115-146, 2014
    • 70 원영상, "연명치료중단 제도화와 불교계의 대응 -자기결정권 문제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46) : 53-82, 2010
    • 71 박서연, "연기적 관점에서 본 사상의학의 心慾 이해" 불교문화연구원 (64) : 175-195, 2013
    • 72 宗浩, "알코올 재활프로그램에서의 생활선" 한국불교학회 (33) : 403-437, 2003
    • 73 김말환, "알아차림과 수용 전념에 기초한 불안장애자의 치료사례" 한국정토학회 (15) : 293-335, 2011
    • 74 정미숙, "아유르베다 상담과 불교상담의 상관성 연구" 불교문예연구소 2 : 2013
    • 75 이필원, "심신치유프로토콜 모델에 대한 연구 - 불교와 사상의학의 학제간 융합연구 -" 불교문화연구원 (68) : 65-88, 2014
    • 76 이기운, "심신치유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지관명상(止觀冥想) 수행법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70) : 257-281, 2015
    • 77 주성옥, "심리치료의 언어로서 은유와 그 불교적 의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2) : 34-56, 2012
    • 78 조현주, "심리치료 및 상담과 마음챙김 명상의 접점과 활용방안" 불교문예연구소 14 : 11-54, 2019
    • 79 강현선, "신체증상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명상의 결합을 응용한 치험 2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9 (19): 241-250, 2008
    • 80 장익, "신라불교 수용기의 치병(治病)과 초기 밀교경전" 14 : 5-32, 2013
    • 81 오재근, "신라 승려의 『금광명경』「제병품」 주석을통해 살펴본 한국 고대 불교의학" 대한의사학회 25 (25): 329-372, 2016
    • 82 김성순, "시체를 매장했던 승려들 ─매골승(埋骨僧)과 삼매히지리(三昧聖)" 불교학연구회 31 : 59-103, 2012
    • 83 김홍배(법경), "승가에서의 청결과 위생에 관한 一考 - 『四分律』을 中心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76) : 83-108, 2016
    • 84 윤형근, "수식관의 건강 증진 효과" 한국선학회 (18) : 71-100, 2007
    • 85 김성순, "수륙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제언: 종교교단의 재난 피해자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8) : 469-493, 2016
    • 86 이정훈, "소극적 안락사, 법과 종교의 경계에 선 성찰 ― 불교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한국법철학회 12 (12): 89-120, 2009
    • 87 오진탁,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불교학연구회 15 : 29-54, 2006
    • 88 박정호, "성범죄에 대한 불교 역할과 방향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9) : 463-487, 2019
    • 89 서재영, "선사들의 삶을 통해 본 동물의 도덕적 지위" 불교문화연구원 (46) : 215-238, 2005
    • 90 박종식, "선경(禪經) 문헌과 수슈르타 상히타에 나타난 체질의학에 대한 비교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89) : 187-210, 2019
    • 91 김말환, "선 심리치료의 방향과 그 실제 - 좌선, 호흡 그리고 마음 밝힘을 중심으로 -" 한국정토학회 11 : 271-319, 2008
    • 92 조준호, "생존지속 욕망에 대한 불교적 검토 ―뇌사자의 장기이식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1 : 251-296, 2012
    • 93 우희종, "생명조작에 대한 연기적 관점" 불교학연구회 15 : 55-94, 2006
    • 94 허남결, "생명조작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윤리적 입장의 문제" 한국불교연구원 (23) : 337-359, 2005
    • 95 박병기, "생명윤리와 불교 - 초기불교 계율의 덕윤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영어권문화연구소 11 (11): 55-83, 2018
    • 96 김성철, "생명공학에 대한 불교윤리적 조망"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3 : 2002
    • 97 김청진, "상불경보살 실천행의 불교심리치료적 해석"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6) : 531-556, 2018
    • 98 양영애, "상담적용을 위한 사성제와 현실치료의 비교" 한국불교학회 (74) : 349-380, 2015
    • 99 여인석, "삼국시대의 불교교학과 치병활동의 관계" 대한의사학회 5 (5): 1996
    • 100 여인석, "삼국사기에 나타난 의학 관련 기사의 분석" 대한의사학회 1 (1): 1992
    • 101 배효상, "사상체질에 따라 마음챙김 명상이 분노에 미친 영향 연구" 사상체질의학회 26 (26): 133-145, 2014
    • 102 이범수, "사별경험과 애도상담의 연구 동향 분석- 국내 및 불교계 동향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70) : 443-473, 2014
    • 103 안양규, "비파사나(vipassana) 명상이 심신치유(Psychosomatic Therapy)에 미치는 치유원리 -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비파사나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52) : 173-203, 2009
    • 104 안양규, "붓다의 가르침과 아론 벡(Aaron Beck)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의 공통기반" 불교문화연구원 (51) : 229-251, 2009
    • 105 이필원, "불교철학과 명상의 인문치료적 활용 방안 모색" 불교문화연구원 (77) : 359-380, 2016
    • 106 전현수, "불교정신치료강의" 불광출판사 2018
    • 107 오진탁, "불교적 관점에서 본 낙태 문제" 예문동양사상연구원 (9) : 2003
    • 108 조광한, "불교인의 임신중절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3 : 1994
    • 109 양승규, "불교의학의 정립을 위한 시도 ―『사부의전(四部醫典)』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1 : 7-34, 2012
    • 110 진각, "불교의학의 기본원리" 불교통신교육원 2004
    • 111 김태중(도신), "불교의학과 한국의 약사신앙"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6
    • 112 양승규, "불교의학과 사상의학의 체질적 양생(養生)론 연구" 한국정토학회 19 : 367-400, 2013
    • 113 곽만연, "불교의 안락사관 연구" 새한철학회 4 (4): 3-39, 2009
    • 114 최영효, "불교의 심리치료적 활용에 대한 이론적 접근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27 : 379-422, 2010
    • 115 김정희, "불교의 생명윤리와 재가 여성 불자" 한국여성철학회 4 : 2004
    • 116 곽만연, "불교의 생명윤리사상 연구-뇌사와 장기이식을 중심으로" 한국정토학회 6 : 2003
    • 117 조용길, "불교의 생명윤리관" 한국불교학회 29 : 2001
    • 118 윤종갑, "불교의 사생관과 생명윤리-捨身과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105 : 27-47, 2008
    • 119 김진무, "불교의 사대설과 한의학의 수용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석림회 39 : 2005
    • 120 신성현, "불교의 불살생계와 현대윤리" 한국불교학회 30 : 2001
    • 121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 운주사 2011
    • 122 高榮燮, "불교의 낙태관" 한국불교학회 (45) : 307-363, 2006
    • 123 이자랑,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효율적인수행법 고찰 - 『청정도론』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68) : 9-31, 2014
    • 124 이자랑,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의 차이" 불교문화연구원 (64) : 225-246, 2013
    • 125 청호, "불교와 한의학" 삼보사 2012
    • 126 김두희, "불교와 의학윤리" 한국의료윤리학회 2 (2): 123-158, 1999
    • 127 신정균, "불교와 의학" 동국대학교 역경원 1983
    • 128 허남결, "불교와 생명윤리 -불교와 생명조작기술의 발달과 불교생명윤리의 정립방향 -" 불교학연구회 12 : 41-68, 2005
    • 129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불교와 사상의학의 만남" 올리브그린 2014
    • 130 이미령, "불교와 낙태" 철학문화연구소 116 : 2018
    • 131 김진무, "불교와 四象醫學의 病因論 비교" 한국선학회 (28) : 283-323, 2011
    • 132 고영섭, "불교에서는 육식을 금지하는가: 한국불교에서 계율과 육식의 마찰과 윤활" 불교문화연구원 (52) : 97-124, 2009
    • 133 강미자, "불교에서 본 정신분석(Psychoanalysis) - 無我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2) : 57-82, 2012
    • 134 하유진,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배아복제와 관련하여" 생명문화연구소 12 : 93-117, 2009
    • 135 이혜숙, "불교아동복지 특성화 프로그램의 예비적 고찰 - 명상치료를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49) : 193-217, 2008
    • 136 손행미, "불교식 명상을 통한 질병 회복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025-1035, 2005
    • 137 이영림, "불교생태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심리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5) : 501-528, 2018
    • 138 신승철, "불교상담치료에서 치료사의 자세" 불교문예연구소 2 : 2013
    • 139 박찬욱, "불교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불교문예연구소 2 : 2013
    • 140 이혜숙, "불교사회복지실천의 영성관점 확립을 위한 시론" 불교학연구회 22 : 297-328, 2009
    • 141 趙基龍, "불교병원 자원봉사 참여제고 방안연구" 한국불교학회 (50) : 789-841, 2008
    • 142 한정섭, "불교병리학" 불교통신교육원 2000
    • 143 안양규, "불교명상의 의학적 적용" 한국불교상담학회 13 : 2019
    • 144 김재성, "불교명상의 심리치료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 : 최근 심리치료와 전통적 불교명상에서 마음챙김의 위상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37) : 171-230, 2012
    • 145 김형록, "불교명상과 통합된 청소년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불교문화연구원 (64) : 197-223, 2013
    • 146 장경화, "불교명상(禪)을 근간으로 한 군 생활적응 프로그램이 군 스트레스, 군 생활적응, 불안, 우울, 마음챙김에 미치는 효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5) : 411-433, 2016
    • 147 안지영, "불교 명상을 통한 심신치유의 뇌과학적 이해" 한국불교연구원 (41) : 447-479, 2014
    • 148 안양규, "불교 교학에서 본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명상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완화)의 치유 원리" 불교문화연구원 (62) : 405-431, 2012
    • 149 안양규, "불교 교학에서 본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의 치유 효과의 원리" 한국불교연구원 (39) : 345-381, 2013
    • 150 김말환, "부적응 장병들에 의한 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정토학회 8 : 2005
    • 151 김청진, "법화신행의 치유효과 연구 -『법화영험전』을 중심으로-" 한국정토학회 29 : 383-415, 2018
    • 152 길기태, "백제의 주금사(呪禁師)와 약사신앙" 신라사학회 6 : 2006
    • 153 이은정, "무아의 치료적 가능성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3) : 427-458, 2015
    • 154 장현갑, "몸의 병을 고치려면 마음을 먼저 다스려라" 학지사 2005
    • 155 김근우, "명상프로그램(α version) 시행 전후의 사상체질별 심리척도 및 HRV 변화 연구"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5 (25): 1-12, 2014
    • 156 오세환, "명상프로그램 관련 동향 분석 연구" 능인대학원대학교 2017
    • 157 이필원, "명상프로그램 관련 국내 연구 논문 경향 분석1" 한국선학회 (35) : 117-143, 2013
    • 158 정준영, "명상의 부작용과 불교적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 - 서양 심리치료와 불교수행의 관계를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68) : 33-63, 2014
    • 159 이성권, "명상상담을 활용한 수험생의 ‘시험불안’ 치유 경험: 내러티브 탐구 사례"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3) : 469-503, 2018
    • 160 정영순, "명상상담을 활용한 삼십 칠년의 홧병 치유: 내러티브적 단일사례" 한국불교학회 (74) : 447-474, 2015
    • 161 박성현, "명상관련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명상학회 1 (1): 2010
    • 162 김문영, "명상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27 (27): 1997
    • 163 송영숙, "명상과 치유에 기반한 포교 활성화" 한국불교학회 (77) : 607-639, 2016
    • 164 김형록, "명상과 심리치료 - 리다(LIDA)명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7) : 137-168, 2011
    • 165 김병수, "명상과 뇌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34 (34): 249-280, 2013
    • 166 이수련, "명상 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 불교학연구회 55 : 299-336, 2018
    • 167 장현갑, "만성병의 예방과 치유를 위한 이완과 명상" 학지사 2008
    • 168 김경승, "마인드풀니스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와 임상적 활용"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6 (16): 5-16, 2008
    • 169 김봉구, "마음챙김명상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0) : 327-359, 2017
    • 170 김도연, "마음챙김명상이 금연유지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금연클리닉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09-1022, 2008
    • 171 하현주, "마음챙김 명상의 심리치료적 적용을 위한 제언" 불교문화연구원 (56) : 241-271, 2010
    • 172 양영필, "마음챙김 명상관련 국내 임상연구 동향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 16 (16): 57-64, 2010
    • 173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4권"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 174 신성현, "동물해방과 불살생" 불교문화연구원 (46) : 199-214, 2005
    • 175 허남결, "동물의 권리에 대한 윤리적 논의의 현황 - 동물해방론과 동물권리론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46) : 171-198, 2005
    • 176 한명숙,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율장(律藏 : Vinaya Piṭaka)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40) : 265-295, 2014
    • 177 장경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0) : 361-382, 2017
    • 178 정성훈, "단기간의 참선수행이 갖는 정신 치료적, 생리적 효과" 불교문화연구원 (46) : 289-306, 2007
    • 179 박선영, "뇌사자의 장기이식에 대한 불교적 지평과 그 교육적 함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30 : 1993
    • 180 고미송, "낙태문제를 불교적으로 성찰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한국불교사연구소 22 : 2010
    • 181 양영필, "국내 저널에 게재된 마음챙김 명상관련 연구 동향 분석"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3 (23): 81-89, 2010
    • 182 양영필, "국내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 183 황선미, "관계중독에 대한 자기치유 고찰 -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을 중심으로 -" 불교문예연구소 9 : 391-423, 2017
    • 184 김영미, "고려시대 불교와 전염병 치유문화" 이화사학연구소 (34) : 123-160, 2007
    • 185 이현숙, "고려 불교 의학의 한 단면-승려의 질병과 치료-" 한국중세사학회 (48) : 261-293, 2017
    • 186 목정배, "계율에 나타난 불교의 생명관" 한국불교학회 20 : 1995
    • 187 최성렬, "간화십종선병의 체계분석"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8 : 1991
    • 188 이필원, "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한 고찰 - 초기불교의 관점과 비교해서 -" 불교문화연구원 (75) : 29-49, 2016
    • 189 김병수, "간화선 수행이 중·고령자의 심리적 특성(우울, 불안, 분노)에 미치는 효과" 불교문화연구원 (67) : 187-211, 2014
    • 190 김경선, "韓醫學의 精神과 佛敎 唯識學 中 心法의 相關性에 관한 연구" 한의병리학회 15 (15): 650-658, 2001
    • 191 印鏡, "止觀명상과 자아초월 심리치료" 한국불교학회 (33) : 463-477, 2003
    • 192 박성식, "東武 李濟馬의 四象醫學과 佛敎의 影響" 불교문화연구원 (57) : 261-293, 2011
    • 193 한수진, "律藏에 나타난 藥이 되는 飮⻝" 한국불교학회 (88) : 275-310, 2018
    • 194 박성식, "宗密의 『原人論』과 東武 李濟馬의 「原人」篇에 나타난 人間論" 불교문화연구원 (61) : 335-373, 2012
    • 195 김종두, "天台의 病因論과 治病法" 불교문화연구원 (44) : 197-218, 2006
    • 196 박성식, "四象醫學에서 性情의 中節과 心理治療"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6 (26): 105-120, 2013
    • 197 서성운, "喪徒契輓歌에 나타난 염불정토신앙과 터미널 케어" 한국정토학회 8 : 2005
    • 198 이경하, "唯識學과 분석심리학의 마음구조에 따른 심층심리치료 연구 - 말나식과 Complex를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88) : 239-263, 2019
    • 199 김근우, "古代 醫案에 나타난 불교사상 연구-의료윤리와 정신치료를 중심으로-"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4 (24): 109-121, 2013
    • 200 최현주, "占察善惡業報經에 나타난 마음챙김과 상담의 상관성 고찰" 불교문예연구소 2 : 2013
    • 201 이거룡, "佛敎와 힌두교에서 肉食禁止문제" 한국불교학회 (33) : 439-461, 2003
    • 202 박서연, "五蘊說과 四象體質論을 통해 본 인간 이해" 불교학연구회 31 : 297-327, 2012
    • 203 박세환, "不眠과 身體症狀을 호소하는 화병 환자에게 韓醫學的 治療와 마음챙김명상을 병행하여 호전된 1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9 (19): 231-244, 2008
    • 204 熊野宏昭, "マインドフルネス瞑想を通じた心理治療の 脳科学的理解" 불교문화연구원 (71) : 35-56, 2015
    • 205 유주리 사이켄, "カウンセリングの治療的メカニズム -浄土真宗の教義を通して-" 불교문화연구원 (58) : 327-355, 2011
    • 206 박민정, "『金光明經』 「除病品」을 통해 본 韓國佛敎醫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 207 김경미, "『아함경』에 내재된 사회복지사상과 실천사례"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4) : 427-472, 2015
    • 208 이기운, "『동의보감』과 天台醫學의 상관성 연구 ─『동의보감』 內景編과 『마하지관』의 病患境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27 : 521-556, 2010
    • 209 이기운, "『東醫寶鑑』의 四大說 수용과 三敎會通 思想" 불교문화연구원 (53) : 277-302, 2009
    • 210 이기운, "‘치유’, ‘치병’ 개념에 있어서 불교와 사상의학의 비교-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67 : 363-395, 2013
    • 211 박찬욱, "‘癌 患友를 위한 山寺에서의 瞑想과 集團相談’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한국불교학회 (56) : 469-509, 2010
    • 212 윤미숙, "Ānāpānā-sati의 심리치유 적 이해와 적용: 서양 및 국내 심리치유 프로그램의 고찰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4) : 513-541, 2015
    • 213 이현숙, "[화엄경전기]의 손사막" 대한의사학회 14 (14): 123-136, 2005
    • 214 Asanga Tilakaratne, "The Theravada Standpoint on Meat Eating" 불교문화연구원 (50) : 77-98, 2008
    • 215 박종식, "Navagraha(九曜) 개념의 융합적 전개- 힌두교와 불교의 의학적 적용을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원 (85) : 163-189, 2018
    • 216 임인영, "MBSR프로그램과 마하시 위빳사나의 비교 ‒ MBSR에 끼친 마하시 위빳사나 영향력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86) : 379-408, 2018
    • 217 안양규,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의 개발과 불교의 영향" 불교문화연구원 (58) : 267-297, 2011
    • 218 안희영, "MBSR 프로그램이 성인의 정신건강과 집착에 미치는 영향" 불교학연구회 29 : 341-377, 2011
    • 219 안희영, "MBSR 프로그램의 불교 명상적 기반 ─교과과정 및 치유원리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26 : 359-408, 2010
    • 220 Salguero, C. Pierce, "Buddhism and Medicine: An Anthology of Premodern Sourc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
    • 221 Salguero, C. Pierce, "Buddhism and Medicine: An Anthology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urc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9
    • 222 김송이, "8세기 전반 일본 조정의 疫病 대응과 불교의술" 호남사학회 (70) : 103-133, 2018
    • 223 황상익, "20세기 초 미국 의학교육의 개혁과 <플렉스너 보고서>" 대한의사학회 3 (3):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