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왜관 연구의 회고와 전망-1990년대 이후 한국측 연구를 중심으로- = The Restrospect and Prospects of the study on 'Waegwan' in Korea(1990~2015)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논문은 한국에서 최근 25년간(1990~2015년) 많은 성과를 낸 ‘왜관’ 연구의 특징과 향후 과제를 제시해 본 것이다.
    우선, 왜관 연구의 성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첫째, 검토 시기는 임란 이전을 조선 전기 왜관, 이후를 후기 왜관(근세 왜관), 개항기 전후의 왜관이라는 3시기로 구분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수량적으로는 17~18세기 후기 왜관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축적되었다. 이에 비해 19세기 전반의 왜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관점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성과를 거둔 것은 조선후기 왜관에 대한 연구로, 왜관 제도의 변천을 비롯하여 통제 및 관리, 왜관을 둘러싼 주변 지역민들과의 접촉・갈등 및 경제・문화적인 교류 양상, 상호인식, 의사소통, 정보 등으로 까지 주제가 확장되어 왜관 운영을 둘러싼 구체적인 실태들이 많이 밝혀지게 되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왜관 안에서의 일상적인 생활상(건축물・식생활・연중행사・의식)을 검토한 연구들이 나오면서 왜관에 대해 일본인이 집단 거주하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이미지가 부각되게 되었다. 또 왜관과 관련된 공간(開市・朝市・草梁村)을 둘러싸고 주변 지역민들과의 일상적인 접촉~교류에서 발생한 일탈 등을 ‘삶의 터전’(생활공간)이라는 생활사적인 관점에서 검토함으로써, ‘지역’(동래~부산)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연구들도 많이 나오게 되었다.
    세째, 자료면에서 1990년대 이후 일본측 자료(對馬宗家文書)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인력이 증가하면서 왜관 무역의 수량적인 추이나 밀무역 등에 관해 구체적인 내용들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런데 새롭게 제기된 다양한 관점과 일본측 자료의 활용 등으로 실증・수량 중심의 연구가 증가하면서 전반적으로는 조일관계의 실태 및 현상을 설명하거나 재구성하는 형태적 연구의 비중이 커진 감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논쟁이 예상되거나 과제로 생각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선후기 왜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지적할 수 있다.
    ① 전반적으로 왜관이 조선정부의 통제 대상이었다는 인식 공유를 바탕으로 통제의 정도(실태)에 대한 것들은 상당히 많이 밝혀졌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통제의 주체인 동래부(동래부사・역관)・접위관, 통제 대상(관수・통사) 등에 대해서도 직무와 권한 및 역할 등이 꾸준히 검토되고는 있다. 그러나 조선측 기록이 파편적인 것에 비해, 일본측 기록은 구체적이다 보니 양측 자료의 불균형으로 인해 동래부와 왜관 내 각 주체의 직무 범위와 권한, 왜관의 성격 등에 대해서는 오해(예외적 상황의 일반화, 과대 및 과소 평가)도 생기는 것 같다. 말하자면 통제의 성격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진한 부분이 있다고 하겠다.
    ② 또 2000년대 이후 왜관을 일본인들의 생활공간이나 ‘지역의 생활사‘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가 증가하면서, 왜관의 본질적인 성격(대일통교의 필요상 마련된 시설로서의 ‘객관’)이 주목받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왜관과 왜관을 품고 있는 동래~부산 지역에 대해 중앙정부로서도 어쩌지 못하는 당시 조선의 대일정책 내지는 조선사회와 동떨어진 이질적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형성되게 되었다.
    요컨대 연구의 관점・분석 방법・자료 등을 종합해서 본다면, 왜관을 거점으로 하는 조일 통교의 구체적인 실태들이 많이 밝혀졌음에도 ...

    더보기
    • 1 국립한글박물관, 2015
    • 2 金柄夏, "李朝前期對日貿易硏究" 한국연구원 1969
    • 3 윤유숙, "年中行事와 儀式으로 본 근세 왜관" 글로벌일본연구원 (15) : 463-485, 2011
    • 4 김강일, "蘭出, 조선의 고민과 그 대책" 전북사학회 (36) : 87-114, 2010
    • 5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해항도시 부산의 재발견" 도서출판선인 2014
    • 6 한일관계사학회, "한일양국의 상호인식"
    • 7 김흥수, "한일관계의 근대적 개편 과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 8 한일문화교류기금 동북아역사재단, "한일관계 속의 왜관" 경인문화사 2012
    • 9 조광, "한일 역사의 쟁점 2010 (1)-하나의 역사, 두 가지 생각-" 경인문화사 2010
    • 10 김현구, "한일 상호간 집단거주지의 역사적 연구" 경인문화사 2011
    • 11 손승철,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 12 변광석, "한말~일제강점기 동래지역에서의 공간 포섭과 지역세력의 대응" 부경역사연구소 (29) : 295-326, 2011
    • 13 정승혜, "한글 簡札을 통해 본 近世 譯官의 對日外交에 대하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7 (37): 89-124, 2012
    • 14 長鄕嘉壽, "한국사학논총 하" 수촌박영석교수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2
    • 15 한일관계사학회, "한국과 일본, 왜곡과 콤플렉스의 역사 1.2" 자작 나무 1998
    • 16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통신사 왜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 17 윤유숙, "통신사 왜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 18 장순순, "초량왜관의 폐쇄와 일본 조계화 과정" 7 : 2004
    • 19 최차호, "초량왜관 : 세계도시 부산은 초량왜관에서 탄생했다" 어드북스 2014
    • 20 야마구치 카요, "종가문고 한글서간으로 본 조선어통사의 활동과 그 역할" 2015
    • 21 이갑수, "조일무역제도에 대한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 22 홍선표, "조선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 23 윤유숙, "조선후기의 왜관과 밀무역 한일관계속의 왜관" 경인문화사 2012
    • 24 이원균, "조선후기의 부산왜관에 대하여" 부산수산대학교 48 : 1992
    • 25 윤유숙, "조선후기 한일통교관계와 ‘己巳約條’(1809년)" 일본사학회 (24) : 157-194, 2006
    • 26 홍선표, "조선후기 한일간 畫籍의 교류" 11 : 1997
    • 27 김동철, "조선후기 통제와 교류의 장소, 부산 왜관" 한일관계사학회 (37) : 3-36, 2010
    • 28 이승민, "조선후기 일본과의 매[鷹] 교역과 그 의미" 한일관계사학회 (45) : 171-206, 2013
    • 29 허지은, "조선후기 왜관에서의 倭學譯官의 정보수집" 일본사학회 (36) : 63-96, 2012
    • 30 양흥숙, "조선후기 왜관 통제책과 동래 지역민의 대응" 효원사학회 37 : 105-148, 2010
    • 31 김동철, "조선후기 왜관 개시무역 상인의 구성과 활동" 효원사학회 46 : 221-258, 2014
    • 32 이현주, "조선후기 동래지역 화원 활동과 회화적 특성" 부산경남사학회 (83) : 37-70, 2012
    • 33 김경란, "조선후기 동래부의 공작미(公作米) 운영실태와 그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2) : 103-129, 2009
    • 34 윤용출, "조선후기 동래부 읍성의 축성역" 부경역사연구소 (21) : 183-228, 2007
    • 35 양흥숙, "조선후기 동래 지역과 지역민 동향 : 왜관 교류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 36 이훈, "조선후기 대일외교창구 관련 「실무문서」의 수량과 수록실태 -『分類紀事大綱』의 수록문서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34) : 219-266, 2009
    • 37 박광순, "조선후기 대일사무역의 시장과 상품구조-17세기 초~18세기 중엽을 중심으로-" 11 : 1986
    • 38 정성일, "조선후기 대일무역에서 사용된 明文의 형식과 특징" 9ㆍ10 : 1996
    • 39 정성일, "조선후기 대일무역에 참가한 상고도중의 규모와 활동(1844~1849)" 8 : 1998
    • 40 이승민, "조선후기 대일무역상의 폐해와 己巳約條(1809)의 체결" 한일관계사학회 (22) : 81-121, 2005
    • 41 김양수, "조선후기 譯官의 중개무역과 倭館維持費" 역사실학회 32 : 2007
    • 42 金東哲, "조선후기 水牛角무역과 弓角契貢人" 부산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4 : 1991
    • 43 이훈, "조선후기 東萊府와 倭館의 의사소통 ―兩譯 관련 '實務文書'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7) : 175-234, 2007
    • 44 변광석, "조선후기 東萊 邑治의 공간" 부경역사연구소 (34) : 135-165, 2014
    • 45 이승민, "조선후기 對馬島와의 말[馬] 교역과 그 의미" 한국사학회 (107) : 229-269, 2012
    • 46 이승민, "조선후기 對馬島 求貿의 개념과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36) : 67-109, 2010
    • 47 김강일, "조선후기 倭館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 48 장순순, "조선후기 倭館에서 발생한 朝日 양국인의 물리적 마찰 실태와 처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69-102, 2008
    • 49 金東哲, "조선후기 倭館開市貿易과 東萊商人" 민족문화추진회 21 : 1998
    • 50 한문종,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전북사학회 (38) : 23-46, 2011
    • 51 한문종, "조선전기 왜관의 설치와 기능 한일관계속의 왜관" 경인문화사 2012
    • 52 손승철, "조선전기 서울의 東平館과 倭人" 56 : 1996
    • 53 정성일, "조선의 기근과 일본쌀 수입 시도(1814~15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129-172, 2008
    • 54 양흥숙, "조선의 對日關係와 동래 사람들" 한일관계사학회 (49) : 83-125, 2014
    • 55 장순순, "조선시대 왜관변천사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 56 허남린, "조선시대 속의 일본" 경인문화사 2013
    • 57 김강일, "조선 후기 倭館의 정보수집에 관한 연구—『分類紀事大綱 25』 「風說之事」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9) : 171-210, 2008
    • 58 하우봉, "조선 전기 부산과 대마도의 관계" 부산경남사학회 (74) : 153-187, 2010
    • 59 사카이 히로미, "조 일관계의 변용과 왜학역관-‘한글 서간적 공간’의 존속과 소멸-" 국립한글박물관 2015
    • 60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권-제2분과 일본편-"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10
    • 61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2권-제2분과 한국편-"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10
    • 62 박화진, "전근대 부산포 사건을 통해 살펴본 한일양국 자타인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69-192, 2013
    • 63 부산시립미술관, "자료와 그림으로 보는 부산의 근 현대 풍경"
    • 64 가타야마 마비, "임진왜란 이후 일본 주문 茶碗에 대한 고찰: 吳器茶碗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4) : 87-108, 2010
    • 65 변광석, "임진왜란 이후 동래부사의 동래지역 인식과 기억사업" 부경역사연구소 (26) : 179-210, 2010
    • 66 김의진, "일본침략자들에 의한 초량왜관의 일본‘공관’으로의 전환과그 불법성" 1996
    • 67 이훈, "외교문서로 본 조선과 일본의 의사소통" 경인문화사 2011
    • 68 다시로 가즈이, "왜관-조선은 왜 일본사람들을 가두었을까?" 논형 2005
    • 69 허지은, "왜관의 조선어통사와 정보유통" 경인문화사 2012
    • 70 박화진, "왜관관수일기를 통해 본 초량왜관의 생활상 - 1860년대 일기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1-63, 2012
    • 71 김강일, "왜관과 범죄- 접촉과 상호 인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41) : 139-176, 2012
    • 72 정성일, "왜곡과 콤플렉스의 역사 2" 자작나무 1998
    • 73 정승혜, "와세대대학 핫토리문고 소장 朝鮮語譯" 문헌과해석사 46 : 2009
    • 74 한명기, "영조대(英祖代) 왜관(倭館) 문제와 이이장(李彛章)" 역사문화연구소 3 : 2007
    • 75 정성일, "역지빙례 실시 전후 대일무역의 동향" 15 : 1991
    • 76 동북아역사재단, "역사 속의 한일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09
    • 77 허지은, "쓰시마(對馬島) 조선어통사의 성립과정과 역할" 한일관계사학회 (29) : 123-170, 2008
    • 78 허지은, "쓰시마 朝鮮語通詞 오다 이쿠고로[小田幾五郞]의 생애와 대외인식 - 『通譯酬酢』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30) : 315-356, 2010
    • 79 李鉉淙, "서울 中心의 朝鮮初期對倭貿易考(上) (中) (下)"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3ㆍ14ㆍ15) : 1962
    • 80 장순순, "새로 발견된 왜관지도-浦山港見取圖-" 16 : 2002
    • 81 부산박물관, "사진엽서, 부산의 근대를 이야기하다"
    • 82 김동철, "부산의 유력자본가 香椎源太郞의 자본축적과정과 사회활동" 역사학회 (186) : 59-86, 2005
    • 83 김용욱, "부산의 역사와 정신" 신생 2014
    • 84 김정동, "부산왜관의 근대성에 대하여" 6 : 1998
    • 85 김성진, "부산 동래읍성" 한국성곽연구회 7 : 2005
    • 86 박화진, "명치초기 초량왜관의 변화에 대한 분석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93-510, 2014
    • 87 심기재, "메이지 5년 하나후사(花房) 일행의 조선 파견" 34 : 2003
    • 88 김강일, "동래부사와 대일외교" 동북아역사재단 (38) : 295-328, 2012
    • 89 김동철, "동래부사 權以鎭의 對日인식과 활동"
    • 90 이현주, "동래부 화원 李時訥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76) : 147-183, 2010
    • 91 김덕진, "대마도 종가문고 한글서간을 통해 본 1805년 ‘서계 위조’사건" 국립한글박물관 2015
    • 92 김동철, "기억과 표상으로서의 倭館, 津江兵庫 追慕碑의건립과 古館公園의 조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103-127, 2008
    • 93 김강일, "근세 후기 倭館의 交奸事件과 데지마(出島)의 遊女들" 전북사학회 (46) : 287-314, 2015
    • 94 허지은, "근세 왜관 館守의 역할과 도다 도노모(戶田賴毛)" 한일관계사학회 (48) : 171-222, 2014
    • 95 허지은, "근세 쓰시마의 바쿠후로의 정보보고와 유통" 한일관계사학회 (37) : 85-115, 2010
    • 96 김우빈, "근세 쓰시마번의 조선어통사의 직계와 보장에 대하여 조선시대 속의 일본" 경인문화사 2013
    • 97 허지은, "근세 쓰시마 조선어통사의 정보수집 경로와 내용" 한일관계사학회 (32) : 63-102, 2009
    • 98 김보한, "고려와 조선 전기 왜인 집단거주지의 형성과 운영" 호서사학회 (56) : 143-172, 2010
    • 99 李康旭, "개항후 부산의 日本 租界 연구"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 100 玄明喆, "개항전 한 일 관계의 변화에 대한 고찰-개항부터 왜관접수까지 일본사 이해를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72 : 1996
    • 101 김동철, "개항장 釜山에서 閔建鎬가 경험한 음력과 양력" 한일관계사학회 (46) : 119-156, 2013
    • 102 양흥숙, "개항 후 초량 사람들과 근대 공간의 형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4) : 211-249, 2012
    • 103 김의환, "韓日文化交流史" 민문고 1991
    • 104 崔圭鎭, "雲揚號事件의 起因에 關한 一考察 : 征韓論과의 聯關性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6
    • 105 裵成東, "開港直前의 韓日關係-1868~1874-" 한국정치학회 6 : 1972
    • 106 金義煥, "開港後釜山日本專管居留地設定에 關한 論文-釜山市形成에 미친 影響을 中心으로-" 한국일본문제연구회 2 : 1973
    • 107 李鉉淙, "開港場開市場開放地雜居地" 編史會 2 : 1968
    • 108 具範謨, "開港前李朝政治秩序의 環境的與件에 關한 考察-丙子修護條規(近代國際秩序에의 參與) 以前의 對明對日關係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0 : 1971
    • 109 金聲振, "釜山隣近地域의 生活에 미친 釜山倭館의 영향" 동양한문학회 12 : 1998
    • 110 金義煥, "釜山開港의 硏究(上) (中) (下)" 부산시사편찬위원회 (3.4.5) : 1963
    • 111 金義煥, "釜山近代都市形成史硏究;日人居留地가 미친 影響을 中心으로" 연문出版社 1973
    • 112 金容旭, "釜山租界考-特히 日本租界의 性格및 土地所有關係를 中心으로-韓日文化" 부산대학교 한일문화연구소 1 (1): 1962
    • 113 崔永植, "釜山倭館의 職官考"
    • 114 루이스 제임스, "釜山倭館을 中心으로 한 朝日交流-交奸事件에 나타난 權力-文化의 葛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6 : 1997
    • 115 金聲振, "釜山倭館과 韓日間文化交流" 한국문학회 22 : 1998
    • 116 金義煥, "釜山倭館貿易の硏究-一五世紀から一七世紀にかけての貿易形態を中心に-" 帝塚山短期大學人文社會科學 25 : 1988
    • 117 金義煥, "釜山倭館貿易の硏究-15世紀から17世紀にかけての貿易形態を中心に-" 朝鮮學會 127 : 1988
    • 118 金容旭, "釜山倭館考" 부산대학교 한일문화연구소 1 (1): 1962
    • 119 金義煥, "釜山倭館の職官構成とその機能について-李朝の對日政策の理解のために-" 朝鮮學會 108 : 1983
    • 120 小田省吾, "釜山倭館の変遷と其遺址3" 朝鮮史學同攷會 3 : 1926
    • 121 小田省吾, "釜山倭館の変遷と其遺址 2" 朝鮮史學同攷會 2 : 1926
    • 122 小田省吾, "釜山倭館の変遷と其遺址 1" 朝鮮史學同攷會 1 : 1926
    • 123 李薰, "釜山倭館における日韓接觸と意思疏通-通譯の文書を中心に-" 佐賀縣立名護屋城博物館 10 : 2004
    • 124 小田省吾, "釜山の和館と設門とに就て" 125 : 1925
    • 125 崔永禧, "鄭敾의 東萊府接倭使圖" 한국미술사학회 129.130 : 1976
    • 126 金義煥, "近代開港期의 東萊府의 行政軍備에 대한 考察" 부산여자대학 4 : 1976
    • 127 孫承喆, "近世韓日關係史" 강원대학교출판부 1987
    • 128 孫承喆, "近世韓日關係史" 강원대학교출판부 1987
    • 129 尹祐淑, "近世癸亥約條の運用実態についてー潛商闌出事件を中心にー" 164 : 1997
    • 130 장순순, "近世東아시아 外國人居住地의 특징 - 부산의 草梁倭館과 長崎의 出島를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27 : 2004
    • 131 孫承喆, "近世朝鮮의 韓日關係硏究" 국학자료원 1999
    • 132 ルイスジェイムス, "近世朝鮮人の日本觀-倭館における公貿易接待の費用を例示として-" 九州大學朝鮮學硏究所 2 : 1992
    • 133 田代和生, "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研究" 創文社 1981
    • 134 尹裕淑, "近世日朝通交と倭館" 岩田書院 2011
    • 135 尹裕淑, "近世倭館の造營修補について" 歷史科學協議會 595 : 1999
    • 136 崔相振, "近世倭館における‘接待’にみる日朝関係" 8 : 2005
    • 137 孫承喆, "近世の朝鮮と日本-交隣關係の虛と實" 明石書店 1998
    • 138 정예정, "草梁客舍 造營에 관한 硏究" 한일관계사학회 (37) : 117-170, 2010
    • 139 鄭銀志, "草梁倭館にみる日本人の服飾" 33 : 2007
    • 140 金在勝, "絶影島倭館의 存續期間과 그 位置" 한국동서사학회 (6.7) : 2000
    • 141 尹祐淑, "約條にみる近世の倭館統制について" 早稻田大學史學會 138 : 1998
    • 142 金鍾旭, "移館考-釜山豆毛浦倭館에서 草梁倭館까지- (상) (하)" 97.98 : 1974
    • 143 許芝銀, "癸亥約條(1683)체결과 朝鮮의 倭館統制策" 祥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 144 金容旭, "港都釜山11"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94
    • 145 김동철, "港都釜山, 16"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0
    • 146 김용욱, "港都釜山 15"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8
    • 147 田代和生, "渡海譯官使の密貿易-對馬藩潛商議論の背景-" 朝鮮學會 150 : 1994
    • 148 法制處, "法制資料 85.86집" 법제처 1976
    • 149 田代和生, "江戶時代朝鮮藥材調査の硏究" 慶應義塾大學出版會株式會社 1999
    • 150 정성일, "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하" 1992
    • 151 金東哲, "民衆世界17-19世紀の釜山倭館周邊地域民の生活相" 都市史硏究會 9 : 2001
    • 152 김동철, "東萊銀行의 설립과 경영" 부산경남역사연구소 9 : 2001
    • 153 李完永, "東萊府및 倭館의 行政小考" 부산시사편찬위원회 2 : 1963
    • 154 崔相振, "東萊府使接倭使図’の再考-景観描写の分析と年代推定の限界性についてー" 12 : 2006
    • 155 金義煥, "李朝時代に於ける釜山の倭館の起源と変遷" 帝塚山短期大學日本文化史學會 2 : 1977
    • 156 정성일, "朝鮮의 銅錢과 日本의 銀貨 : 貨幣의 流通을 통해 본 15-17世紀 韓日關係"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 157 金東哲, "朝鮮近世の御用商人-貢人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2001
    • 158 李源鈞, "朝鮮時代의 守令職交遞實態-東萊府使의 경우-" 부산대학교 사학회 3 : 1979
    • 159 루이스 제임스, "朝鮮後期釜山倭館의 記錄으로 본 韓日關係-‘폐 성가심’(迷惑)에서 相互理解로-" 6 : 1996
    • 160 金東哲, "朝鮮後期貢人硏究" 한국연구원 (63) : 1993
    • 161 金鍾圓, "朝鮮後期對淸貿易에 대한 一考察-潛商의 貿易活動을 中心으로 -" 진단학회 43 : 1977
    • 162 鄭成一, "朝鮮後期對日貿易" 신서원 2000
    • 163 양흥숙, "朝鮮後期對日接慰官의 파견과 역할" 부산대학교사학회 24 : 2000
    • 164 張舜順, "朝鮮後期倭館의 設置와 移館交涉" 5 : 1996
    • 165 김동철, "朝鮮後期倭館開市貿易과 被執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3 : 1999
    • 166 金東哲, "朝鮮後期倭館開市貿易と東萊商人" 日本文理大學商經學會 19 (19): 2000
    • 167 崔永禧, "朝鮮後期の通信使と倭館の役割" 韓國國際文化協會 91 : 1991
    • 168 양흥숙, "朝鮮後期 倭館 운영을 위한 東萊府民의 ‘役’ 부담과 왜관 접촉" 민족문화연구소 (45) : 135-174, 2010
    • 169 장순순, "朝鮮前期倭館의 成立과 朝日外交의 특질" 15 : 2001
    • 170 李鉉淙, "朝鮮初期倭人接待에 對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58
    • 171 李鉉淙, "朝鮮初期倭人接待考(上) (中) (下)" 한국사학회 (3.4.5) : 1959
    • 172 정성일, "春溪朴光淳博士華甲紀念經濟學論叢" 1993
    • 173 심기재, "明治政府의 對朝 外交·貿易 一元化 過程의 一考察 代官 처리를 중심으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48 (48): 299-320, 2004
    • 174 제홍일, "明治初期朝日交涉의 放棄와 朝鮮政策" 건국대학교사학회 9 : 1997
    • 175 諸洪一, "明治初期における日朝交涉の放棄と倭館" 九州大學朝鮮學硏究所 6 : 1997
    • 176 武田勝蔵, "日朝貿易史上の三浦と和館" 113 : 1922
    • 177 ルイスジェイムス, "日朝比較交流史入門" 新幹社 1996
    • 178 田代和生, "新倭館ー鎖国時代の日本人町" 日本ゆまに書房 2011
    • 179 李進熙, "崔永禧先生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탐구당 1987
    • 180 小田省吾, "就中絶影島倭館に就て朝鮮支那文化の硏究" 京城帝國大學 1929
    • 181 田代和生, "對馬藩の朝鮮米輸入と倭館枡-宗家記錄斛一件覺書からみた朝鮮米の計量法" 124 : 1987
    • 182 현명철, "對馬藩 소멸 과정과 한일관계사" 동북아역사재단 (41) : 181-213, 2013
    • 183 李薫, "対馬宗家文書朝鮮通信使記録別冊下" ゆまに書房 2000
    • 184 高橋章之助, "宗家と朝鮮" 1920
    • 185 李進熙, "季刊三千里 31" 三千里社 1982
    • 186 李進熙, "季刊三千里 30" 三千里社 1982
    • 187 河宇鳳, "壬辰倭亂以後의 釜山과 日本關係"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9 : 1992
    • 188 村井章介, "前近代の日本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1995
    • 189 田中健夫, "前近代の日本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1995
    • 190 李鉉宗, "兩班官僚國家의 成立" 국사편찬위원회 1973
    • 191 潘允洪, "備邊司의 外交政策議定硏究" 조선시대사학회 8 : 1999
    • 192 김강일, "倭館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 對日 求請物品 - 「朝鮮より所望物集書」를 중심으로 -" 일본사학회 (34) : 111-136, 2011
    • 193 蔡中黙, "倭館을 接觸點으로 한 韓日外交交涉史硏究-1868年日本明治維新부터 1875年雲揚艦의 江華侵攻直前까지-" 人文社會科學 16 : 1974
    • 194 김동철, "倭館圖를 그린 卞璞의 대일 교류 활동과 작품들" 19 : 2003
    • 195 田代和生, "倭館ー鎖国時代の日本人町" 日本文芸春秋 2002
    • 196 田代和生, "倭館における日朝關係と對馬藩-外交貿易文化交流をめぐって-" 中央史學會 20 : 1997
    • 197 池內敏, "倭館と漂着民の明治維新" 日本史硏究會 411 : 1996
    • 198 한일관계사학회, "交隣提醒" 국학자료원 2001
    • 199 村井章介, "三浦から釜山倭館へ-李朝時代の對日貿易と港町-" 韓國文化硏究振興財團 3 : 1993
    • 200 李京錫, "アジア主義の成立基盤の崩壞-明治五年の草梁倭館占據事件を中心に-" 早稻田政治公法硏究會 64 : 2000
    • 201 김승, "【기획논문】개항 이후 1910년대 용두산신사와 용미산신사의 조성과 변화과정" 부경역사연구소 (20) : 5-46, 2007
    • 202 심민정, "『동래부사접왜사도』를 통해서 본 倭使 접대 - 宴享을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59-179, 2006
    • 203 이훈, "「트러블을 통해서 본 近世 倭館」- 1836년, 南膺中(남응중)의 倭館 闌入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1) : 111-149, 2004
    • 204 양흥숙, "‘범죄’를 통해 본 조선후기 왜관 주변 지역민의 일상과 일탈"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233-264, 2011
    • 205 김동철, "‘동전 8냥’과 바꾼 초량왜관 주변 지역민의 운명-1859년 6월 5일 밤의 매매춘[交奸] 사례-" 부경역사연구소 (35) : 363-393, 2014
    • 206 김동철, "‘東萊府使接倭使圖’의 기초적 연구" 효원사학회 37 : 69-103, 2010
    • 207 金東哲, "<東萊府商賈案>을 통해서 본 19세기 후반의 東萊商人- 東萊武任先生案과의 비교-" (창간) : 1993
    • 208 손승철, "<倭人作拏謄錄>을 통하여 본 倭館"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10 : 1993
    • 209 현명철, "19세기 후반의 대마주와 한일관계" 국학자료원 2003
    • 210 정성일, "19세기 초 조선산 栽培蔘의 대일수출교섭-禮單蔘을 중심으로-" 43 : 1993
    • 211 金東哲, "19세기 牛皮貿易과 東萊商人"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6 : 1993
    • 212 차철욱, "1910년대 부산진 매축과 그 성격" 부경역사연구소 (20) : 47-80, 2007
    • 213 장경준, "18~20세기 초 동래지역의 인구와 주거양태" 효원사학회 37 : 37-68, 2010
    • 214 최상진, "18세기초 東萊府使권이진의 왜관통제와 조일관계" 일본 九州대학 한국학센터 2 : 2008
    • 215 이훈, "18세기 중엽 일본 표선에 대한 雜物(五日糧)지급과 조 일 교섭 왜곡-대마번의 왜관 도해선을 중심으로-" 9 : 1998
    • 216 심민정, "18세기 倭館에서의 倭使 접대음식 준비와 양상" 부산경남사학회 (66) : 93-116, 2008
    • 217 윤유숙, "18·19세기 왜관의 개건·수리실태"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197-230, 2003
    • 218 박성희, "18·19세기 동래 왜관 수출화의 제작과 유통: 虎圖와 鷹圖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31) : 79-102, 2010
    • 219 이훈상, "1895년 전후 동래의 행정 문서들과 그 특성 [자료소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6 : 2010
    • 220 이선윤, "1880년 전후 일본 소신문에 나타난 왜관 및 재조일본인에 대한 표상-『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4) : 229-248, 2015
    • 221 孫承喆, "1872年日本의 倭館占領과 朝鮮侵略" 국방군사연구소 28 : 1994
    • 222 정성일, "1861~62년 대마번의 밀무역 처리과정" 2 : 1994
    • 223 張慶俊, "18 ~19세기 동래지역의 군역운영과 폐단, 그리고 이를 둘러싼水使-府使의 대립" 石軒鄭澄元敎授停年紀念論叢부산대학교사학회 30 : 2006
    • 224 김동철, "17~19세기 부산 왜관의 開市와 朝市" 한일관계사학회 (41) : 223-262, 2012
    • 225 김경미, "17~18세기 對日 외교․교역과 매[鷹]" 효원사학회 34 : 95-136, 2008
    • 226 윤용출, "17세기 중엽 두모포 왜관의 이전 교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3 : 1999
    • 227 허지은, "17세기 조선의 왜관통제책과 조일관계 -계해약조(1683)의 체결과정을 중심으로-" 15 : 2001
    • 228 이상규, "17세기 전반의 朝日關係 전개와 倭學譯官 제도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62) : 251-296, 2012
    • 229 이상규, "17세기 왜학역관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 230 양흥숙, "17세기 두모포왜관의 경관과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0 (0): 165-196, 2004
    • 231 양흥숙, "17세기 두모포왜관 운영을 위한 행정체계와 지방관의 역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1-33, 2008
    • 232 윤유숙, "17세기 朝日間 日本製 武器類의 교역과 밀매" 역사학연구회 (67) : 289-318, 2008
    • 233 金東哲, "17세기 日本과의 交易交易品에 관한 연구; 密貿易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61 : 1995
    • 234 尹裕淑, "17世紀における日朝間の倭館移転交渉" 149 : 2003
    • 235 丁善榮, "17世紀 前半의 潛商貿易"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2
    • 236 김동철, "17~19세기 동래부 소통사의 편제와 대일활동" 부경역사연구소 (17) : 205-228, 2005
    • 237 김동철, "17~18세기 조일무역에서 ‘私貿易 斷絶論’과 ‘나가사키[長崎] 直交易論’에 대한 硏究史 검토" 부경역사연구소 (31) : 307-339, 2012
    • 238 김영록, "17~18세기 대일무역 收稅와 동래부 재정" 민족문화연구원 (66) : 507-537, 2015
    • 239 양흥숙, "17~18세기 譯官의 對日貿易" 부산경남역사연구소 5 : 1999
    • 240 정예정, "1774년 草梁倭館 修理의 日本 職人과 道具 및 建築材料에 관한 연구 —對馬島宗家文書 『東館修理記錄』과 『西館修補記錄』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35-67, 2008
    • 241 정예정, "1727년 草梁倭館 修理의 日本 匠人과 道具에 관한 연구-對馬島宗家文書「館守屋 · 市大廳 · 裁判家 修理記錄」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21-40, 2007
    • 242 박소은, "17.18세기 戶曹의 倭館收稅策변화" 조선시대사학회 14 : 2000
    • 243 鄭貳根, "17.18世紀釜山地方(東萊府)의 財政"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10 : 1993
    • 244 權鍾림, "17-18세기에 있어서의 倭館貿易" 嶺南大學校 大學院 1988
    • 245 양흥숙, "17-18세기 왜학역관의 대일무역"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 246 李尙奎, "17-18世紀 東萊府에 파견된 倭學譯官의 機能"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8
    • 247 김동철, "15세기 부산포왜관에서 한일 양국민의 교류와 생활" 부경역사연구소 (22) : 27-5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