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심청전』의 부녀관계와 서사구조 = Father-Daughter Relation and Narrative Structureof 『Sim Cheong’s Tal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9-225(27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presented one of viewpoint for reading the tale 『Sim Cheong’s Tale』 by analyzing the systematic correlation between father-daughter relati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The characteristic of Sim Cheong which is known the most widely and impressively in the world is the devoted daughter’. ‘Devoted Daughter Sim Cheong’ is a kind of idiomatic words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viewpoint considering the filial duty as the main theme of 『Sim Cheong’s Tale』 has been the main stream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Such awareness was fixed as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and so interrupted experimental and innovative reading.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 of 『Sim Cheong’s Tale』 tracing back to the long times ago and its extensive manifestation,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filial conduct moral is the trace and expression of a specific period thickly overlaid on the literal 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itself of Sim Cheong’s Tale putting aside the viewpoint that emphasizes the historic fact and the ethical attitude of the story, and tried to analyze the text of the story from the viewpoint that form speaks all about itself and all descriptions have their implications. As a result two factors were revealed. First, 『Sim Cheong’s Tale』 depicts concretely the psychological pattern between father and daughter and its stream that is the process of ‘substitution of mother by daughter→attachment of father and daughter→separation of father from daughter→exploration of spouse by daughter, marriage→father’s blindness, departure→daughter’s return and father’s gaining eyesight. Second, the development method of relation between father and daughter is tightly organized in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creating a specific effect of esthetics. Putting the focus of reading comprehension on Sim Cheong, 『Sim Cheong’s Tale』 is a story about a daughter who tries to be independent by departing from the attachment to her father. On the other hand, looking into the conclusive structure of the story that reflects the separation from father with a condition for marriage (or ending in marriage) and Sim Cheong’s return to her father, the possibility that 『Sim Cheong’s Tale』 is a product of an era that maintained the man-centered marriage culture was left in question. Putting the focus of reading comprehension on Sim Hak-gyu, 『Sim Cheong’s Tale』 is a story about a father whose attachment moves from his wife to his daughter from her birth, sticking to his daughter,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chaos with the shock from daughter’s separation and marriage and ultimately awakening from the blind fantasy about his daughter. A hypothesis that this story has keen relationship with the proverb 「People live according to their fortune」 was presented in this paper.
더보기이 글은 부녀관계와 서사구조의 유기적 상관성을 분석하여 『심청전』 읽기의 한 관점을 제시한 것이다. 세상에 가장 널리 그리고 인상 깊게 알려진 심청의 면모는 ‘효녀’이다. 한국 문화에서 ‘효녀 심청’은 일종의 관용어이다. 『심청전』의 주제를 ‘효’로 간주하는 입장은 20세기 초 이후 주류를 이루어왔다. 이러한 인식은 관습적 해석으로 고착되어, 실험적이면서 혁신적인 읽기를 방해해왔다. ‘심청 이야기’의 오랜 연원과 방대한 외연을 고려하면, 효행 윤리는 작품에 진하게 덧칠해진 특정 시대의 흔적이자 표징일 가능성이 높다. 본고는 이야기가 발 딛고 있는 역사 사실이나, 강변하고 있는 윤리에서 시선을 거두어, 서사구조 자체를 주목하였다. 형식은 그 스스로 모든 것을 말하고 있으며, 표현들은 다 의미를 감추고 있다는 관점에서,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심청전』은 ‘모녀 교체→부녀 애착→부녀 분리→딸의 배우자 탐색, 혼인→부친의 안맹(眼盲), 유리(遊離)→딸의 귀환과 부친의 각성’의 과정, 즉 부녀 관계의 심리적 양태 및 그 흐름을 구현하고 있다. 둘째, 부녀 관계를 구현하는 방식은 서사 구조와 긴밀하게 조직되어 독특한 미적 효과를 창출한다. 독해의 초점을 심청하게 맞추면, 『심청전』은 딸이 아버지와의 애착 관계에서 벗어나 독립을 시도하는 이야기이다. 다만 혼인을 전제로 한(또는 혼인으로 귀결되는) 아버지로부터의 분리, 아버지에게로 귀환하는 결구(結構)는 남성 중심의 혼인문화가 유지되어 온 시기의 산물일 가능성은 의문으로 남겨두었다. 독해의 초점을 심학규에게 맞춘다면, 『심청전』은 딸의 탄생과 함께 애착의 방향이 아내에서 딸로 옮겨가고, 딸에 집착하고, 딸의 분리와 혼인에 충격을 받아 심리의 혼란을 겪다가, 궁극에는 딸에 대한 맹목적 환상에서 깨어나는 이야기가 된다. 「내 복에 산다」와의 친연성에 대해서는 가설 차원에서 제기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11-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 KCI후보 |
2009-11-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784 | 0.3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