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근대Ⅰ] ‘근대’를 포섭한 ‘전통’의 시각과 ‘사실’을 전유한 ‘역사’들에 대한 재고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According to the “Review and Outlook” article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the latest research tren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riticism on the West-centered perspective, emphasis on the emphasis (oncontinuity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times, emergence of the East Asian viewpoint, increased interest in people who have crossed the borders, and the progress of empirical research. The papers reviewed in this study published between 2018 and 2019 also fall into this category. However, this paper deals with somewhat relatively observable features. First, it stresses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 and “its modern reinterpretation” and even introduces studies on the notion of “modern” which is involved in “tradition.” Second, it asserts that there is rising interest on how historical events are represented beyond faithful reproduction. Third, there are also attempts to target the researcher him/herself based on questions about the existing historical descriptions. Based on the reviews discuss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new research themes that reflect the present should be discovered rather than just blindly following the forms of modern historical studies that are deeply entrenched in current history and the modern nation building process.

    더보기
    • Ⅰ. 머리말
    • Ⅱ. 대외관계사: 주체성 회복을 위해
    • Ⅲ. 의병운동사: ‘사실’ 복원에서 ‘재현’ 방식으로
    • Ⅳ. 정치 · 사상사: 역사 서술의 상대화
    • Ⅴ. 사회 · 경제사: 일상, 공간, 경계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橋本妹里, "李王家陵園墓の土地を巡る問題について: 孝昌園の公園化を中心に" 九州大学韓国研究センター 18 : 2018
    • 2 이정희, "화교가 없는 나라: 경계 밖에 선 한반도화교 137년의 기록" 동아시아 2018
    • 3 최인영, "한성에 건설된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 - 경성정차장과 남대문정차장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71) : 93-122, 2018
    • 4 조윤오, "한성부 중서 견평방에서 가택 칸수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본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1903년과 1906년의 견평방 1통에서 23통까지를 대상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28 (28): 19-30, 2019
    • 5 이정희, "한반도화교사전" 인터북스 2019
    • 6 이정희, "한반도 화교사: 근대의 초석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경제사" 동아시아 2018
    • 7 홍동현, "한말·일제시기 문명론과 ‘동학란’ 인식" 연세대학교 2018
    • 8 김일수, "한말·일제강점기 윤필오·윤홍열·윤우열 삼부자의 사회활동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원 (71) : 289-327, 2018
    • 9 이계형, "한말(1894∼1907) 고종의 專制 권력과 流刑" 숭실사학회 (41) : 129-153, 2018
    • 10 최제학, "한말 전북지역 의병의 인적 관계망: 습재 최제학을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52 : 2018
    • 11 김건우, "한말 전북지역 의병의 인적 관계망 – 습재 최제학을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52) : 253-274, 2018
    • 12 "한말 일제초기 국유지 조사와 토지조사사업" 혜안 2019
    • 13 김상기, "한말 세종지역 의병의 항일투쟁" 호서사학회 (90) : 203-228, 2019
    • 14 윤대원, "한말 ‘立憲政體’ 논의와 ‘민주공화’의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8) : 187-208, 2019
    • 15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근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 16 백광열, "한국 근대전환기 ‘신분’(身分)·‘신분제’(身分制) 용어의 성립과 변천" 한림과학원 (22) : 163-209, 2018
    • 17 왕현종, "한국 근대사의 전통-근대의 연계와 동아시아 관계사 모색" 역사학회 (207) : 17-37, 2010
    • 18 이영아, "한국 근대 초기 ‘주부’ 개념의 도입 양상— 1900∼1910년대를 중심으로 —" 한림과학원 (22) : 75-117, 2018
    • 19 허수, "한국 개념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역사연구회 (86) : 361-380, 2012
    • 20 박상섭, "한국 개념사 연구의 과제와 문제점" 한림과학원 (4) : 239-264, 2009
    • 21 이영학, "통감부의 어업 이민 장려와 어업법 제정" 한국학연구소 (52) : 453-482, 2019
    • 22 박성준, "통감부시기 궁방전의 소유권 판별과 조선토지조사사업 국유지분쟁의 원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3) : 431-473, 2018
    • 23 카를로 진즈부르그, "치즈와 구더기-16세기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문학과 지성사 2001
    • 24 이영호, "충청남도 서남부 지역의 동학여당(東學餘黨)과 서양종교" 호서사학회 (88) : 307-345, 2018
    • 25 한철호, "초대 주미전권공사 朴定陽의 활동과 그 의의" 고려사학회 (77) : 29-67, 2019
    • 26 박진홍, "청일전쟁기 일본 육군의 조선 내 군용 전신선 가설" 한국근현대사학회 (84) : 41-78, 2018
    • 27 장경호, "청일전쟁 직전 고종의 대미의존 심화와 美館播遷 시도" 한국근현대사학회 (86) : 41-67, 2018
    • 28 이동욱, "청말 종주권 관념의 변화와 조선 정책의 전환" 역사연구소 (96) : 79-114, 2019
    • 29 손성준, "지식의 기획과 번역 주체로서의 동아시아 미디어― 『朝陽報』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04) : 323-358, 2018
    • 30 모테기 도시오, "중화세계 붕괴사 -19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 (變用する近代東アジアの國際秩序)" 와이즈플랜 2018
    • 31 김희연, "주미조선공사관 참찬관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 이화사학연구소 (59) : 1-43, 2019
    • 32 박한민, "조선의 對日사절 파견과 대응양상의 변화(1876~1885) -흠차대신 파견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77) : 69-101, 2019
    • 33 노관범, "조선 말기 유신 개념의 역사적 이해 — 고종⋅순종 시기 『승정원일기』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5 (75): 219-268, 2018
    • 34 배항섭, "전근대-근대의 연속적 이해와 동아시아라는 시각" 역사학회 (223) : 27-54, 2014
    • 35 이정민, "장지연의 『여자독본』, 그 성격과 지향: 새로운 여성상의 제시" 한국사상사학회 (63) : 101-130, 2019
    • 36 김헌주, "자위단에 대응한 의병의 활동과 지역사회(1907~19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2) : 5-35, 2018
    • 37 김태웅, "일제강점기 朴殷植의 『韓國痛史』 출간과 筆寫本의 특징" 진단학회 (130) : 137-168, 2018
    • 38 지미령, "일본의 동학 연구에 관한 일고찰" 동학학회 (47) : 267-289, 2018
    • 39 박맹수, "일본군의 동학농민군 학살기록 -‘明治二十七年日清交戦從軍日誌’ 해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3) : 203-228, 2018
    • 40 김윤미, "일본 해군의 남해안 조사와 러일전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9) : 57-90, 2019
    • 41 강진아, "이주와 유통으로 본 근대 동아시아 경제사 : 동순태호 담걸생 이야기" 아연출판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 42 최덕수, "유길준의 지-인, 상상과 경험의 근대"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 43 이형준, "유길준의 자연과 국가: 주자학적 관점의 굴절"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7 (17): 137-165, 2018
    • 44 강순애, "유길준의 『西遊見聞』에 나타난 문명,개화와 도서관 인식 및 영향" 한국서지학회 (74) : 133-161, 2018
    • 45 이예안, "유길준 『세계대세론』의 근대적 개념 이해와 개항기 조선: 우치다 마사오 『여지지략』과의 비교를 단서로" 한국학연구소 (64) : 139-168, 2018
    • 46 조규태, "원주지역의 동학 포교와 원주 출신 동학인의 동학농민운동" 동학학회 (49) : 7-46, 2018
    • 47 이병규, "원주지역 동학농민군과 의병" 동학학회 (49) : 103-126, 2018
    • 48 박준형, "용산 지역 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변천(1882∼1945)" 서울역사편찬원 (98) : 263-297, 2018
    • 49 최혜주, "오키다 긴조[沖田錦城]의 내한활동과 『裏面の韓國』 간행"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6) : 159-194, 2019
    • 50 이영호, "영학의 조직과 기독교와의 관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8) : 155-182, 2018
    • 51 황묘희, "여주 동학인 홍병기의 동학사상 실현과 민족운동의 전개" 동학학회 (53) : 83-116, 2019
    • 52 허영란, "에미 스이인의 『實地探險捕鯨船』(1907)과 혼종적 장소로서의 장생포 포경기지" 한국사학회 (135) : 125-162, 2019
    • 53 장두영, "신채호의 영웅전기에 나타난 역사의 허구화" 인문과학연구소 40 (40): 93-122, 2019
    • 54 이우진, "신채호의 민족에 대한 상상과 영웅 양성 -『독사신론』과 영웅론을 중심으로-" 영남퇴계학연구원 (25) : 467-511, 2019
    • 55 김영수, "신채호와 대한제국의 전근대사 인식: 신채호의 저서와 고종시대 관찬기록의 전근대사 비교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소 23 : 2019
    • 56 강석화, "신미양요와 강화도 방위체제의 변화" 기전문화연구소 39 (39): 85-97, 2018
    • 57 전성현, "식민지 ‘지역언론’에서 ‘제국언론’으로 -신문체제와 지면을 통해 본 『조선시보』의 특징과 의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7) : 365-396, 2019
    • 58 이효정,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자료의 DB 구축 과정에 대한 일고찰" 열상고전연구회 (62) : 103-133, 2018
    • 59 장영숙, "성찰, 화해, 포용의 동아시아사를 위해" 역사학회 (231) : 21-46, 2016
    • 60 박한민, "사이토 슈이치로(齋藤修一郎)의 조선 파견과 활동" 한국사연구회 (185) : 39-82, 2019
    • 61 신영우, "북접농민군의 전투방식과 영동 용산전투" 동학학회 (48) : 45-108, 2018
    • 62 한철호, "미행일기 : 조선 사절, 미국에 가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 푸른역사 2015
    • 63 "미속습유" 국외소재문화재재단 : 푸른역사 2018
    • 64 장영숙, "명성황후와 진령군-문화콘텐츠 속 황후의 부정적 이미지 형성과의 상관관계" 한국근현대사학회 (86) : 69-94, 2018
    • 65 이승희, "메이지유신(明治維新)과 대한제국의 군제개혁 -일본 메이지 신정부와 대한제국의 헌병 설치 과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63) : 127-152, 2019
    • 66 한성민, "망명자 김옥균(金玉均)에 대한 일본의 처우와 조선정책(1884~1890)" 한국역사연구회 (109) : 373-407, 2018
    • 67 유창호, "러일전쟁기(1904~1905) 주한일본영사관의 염업조사사업-若松兎三郞 木浦領事의 천일제염 시도와 염업조사보고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51) : 41-81, 2018
    • 68 신효승, "러일전쟁 이후 일본육군의 팽창과 徵兵 管區 변화" 연세사학연구회 43 : 33-62, 2019
    • 69 문준호, "러일전쟁 이전 대한제국 원수부의 군무정책 강화와 군사운영의 성격"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9) : 33-80, 2018
    • 70 유바다, "동학농민혁명의 3·1운동으로의 계승" 전북사학회 (56) : 173-200, 2019
    • 71 박상란, "동학농민혁명담의 전승과 젠더" 동학학회 (42) : 187-226, 2017
    • 72 박상란, "동학농민혁명담과 양반 - 참여의 계기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47) : 175-206, 2018
    • 73 박현숙,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계급에 따른 전승자의 말하기 방식" 동학학회 (47) : 207-241, 2018
    • 74 정우봉, "동학농민혁명 지도자의 자기 증언에 나타난 주체의 형상" 근역한문학회 52 : 63-98, 2019
    • 75 성강현,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의 피신과 교단 수습" 동학학회 (49) : 73-102, 2018
    • 76 조재곤, "동학농민전쟁과 전운영(轉運營)-송문수의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34) : 121-152, 2018
    • 77 정을경, "동학농민군 이병춘의 생애와 독립운동" 동학학회 (53) : 243-267, 2019
    • 78 조규태, "동학농민군 문양목의 미주지역에서의 민족운동과 사회·경제적 생활" 동학학회 (48) : 565-601, 2018
    • 79 박범, "동양합동광업회사의 운산금광 운영과 광산도시 북진의 지역사회" 이화사학연구소 (59) : 44-92, 2019
    • 80 강진아, "동순태호: 동아시아 화교 자본과 근대 조선"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1
    • 81 김동철, "동래부 小通事 金采吉 관련 준호구와 그의 개항 전후 활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9) : 183-225, 2018
    • 82 권기하, "독립협회의 정치운동 모색 과정에서 의리 관념의 역할" 역사문제연구소 23 (23): 269-313, 2019
    • 83 김현, "독립협회 국가개혁사상의 민주적 전회에 관한 연구: 군권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9
    • 84 허유진, "덕수궁 정관헌(靜觀軒)의 원형, 용도, 양식 재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27 (27): 27-42, 2018
    • 85 이민원, "대한제국의 탄생 과정과 위암 장지연: 칭제건원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문명학회 20 (20): 2019
    • 86 김건태, "대한제국의 양전" 경인문화사 2018
    • 87 이욱, "대한제국의 성립과 명성황후(明成皇后) 국장(國葬)의 변화" 종교문제연구소 (34) : 33-66, 2018
    • 88 이유진, "대한제국기 호구 변동의 의미 - 평안북도 정주군 해산면 호적대장과 목장양안 비교 분석 -" 한국학연구소 (53) : 39-65, 2019
    • 89 김희연, "대한제국기 한성수도부설권 문제-주한미국공사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88) : 7-43, 2019
    • 90 김명수, "대한제국기 일본인 기술자 이노우에 요시후미(井上宜文) 연구" 대구사학회 131 : 247-285, 2018
    • 91 김헌주, "대한제국기 의병운동의 쇠퇴와 사회적 고립과정" 한국역사연구회 (111) : 287-316, 2019
    • 92 김헌주, "대한제국기 의병운동을 둘러싼 담론지형과 良民論의 역할 -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33) : 419-456, 2019
    • 93 정욱재, "대한제국기 유림의 ‘국가’ 인식" 호서사학회 (86) : 179-202, 2018
    • 94 노관범, "대한제국기 박은식 유교개혁론의 새로운 이해" 한국사상사학회 (63) : 131-170, 2019
    • 95 장영숙, "대한제국기 『대한예전』 편찬의 정치적 배경과 의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7) : 5-38, 2018
    • 96 이강근, "대한제국 이전 고종 재위기 궁궐내 외교장소와 접견의례의 변화" 서울학연구소 (72) : 1-36, 2018
    • 97 장경호, "대한제국 선포 직후 고종의 미관파천(美館播遷) 시도"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171-202, 2019
    • 98 한경희, "김지하 생명시에 나타난 동학사상 『- 유목과 은둔』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53) : 299-331, 2019
    • 99 김인옥, "김지하 담시 <오적>에 나타난 동학사상 -민중문학으로서의 사상과 형식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47) : 99-126, 2018
    • 100 박상란, "금기된 과거사에 대한 여성의 기억과 의미- 여계(女系)전승 동학농민혁명담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44) : 43-68, 2017
    • 101 이영호, "근대전환기 토지정책과 토지조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102 이효정, "근대전환기 조선인의 메이지(明治) 일본 견문-민건호의 『동행일록(東行日錄)』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84) : 339-371, 2018
    • 103 조정규,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기전문화연구소 40 (40): 51-70, 2019
    • 104 최진성,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도로망 특성과 변천" 기전문화연구소 40 (40): 3-31, 2019
    • 105 노관범, "근대 초기 실학의 존재론―실학 인식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역사문제연구소 (122) : 447-473, 2018
    • 106 김현진, "근대 초기 漢城府 商人의 계층적 존재양상과 가족 특성 - 1903․1906년 漢城府 戶籍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3) : 9-37, 2019
    • 107 최지혜, "근대 전환기 궁궐에 유입된 프랑스식 실내장식과 가구: 덕수궁 돈덕전, 창덕궁 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국립고궁박물관 (12) : 43-71, 2019
    • 108 한승훈, "근대 시기 명성황후에 관한 상반된 인식과 담론 형성" 한국역사연구회 (111) : 81-121, 2019
    • 109 김중규, "군산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과정과 특징" 동학학회 (51) : 341-375, 2019
    • 110 이현진, "고종비 명성왕후/황후 장례절차의 정체성"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5) : 239-276, 2019
    • 111 한보람, "고종대 전반기 시무개혁 세력 연구" 서울대학교 2019
    • 112 김태웅, "고종 즉위~갑오개혁 초기 개성부(開城府) 위상의 변동과 세출입(歲出入)의 추이" 역사학연구소 (37) : 9-38, 2019
    • 113 김인호, "고종 순종 시기 은사(恩賜) 제도의 운영 실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6) : 5-57, 2018
    • 114 박범, "검안으로 본 20세기 초 논산포의 모습과 풍경"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4 : 2018
    • 115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개화기 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보고사 2018
    • 116 박태옥, "개화기 유학의 실천적 변용과 근대 지향 - 『서유견문』에 나타난 유길준의 개화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9) : 107-134, 2019
    • 117 최보영, "개항기(1902~1906) 일본영사관경찰의 울릉도주재소 설치와 한국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86) : 97-122, 2018
    • 118 정종원, "개항기 한글신문의 평등개념 연구 - 『독립신문』과 『제국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29) : 331-382, 2018
    • 119 김동희, "개항기 집조․빙표제도와 조선인의 해외도항"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7) : 81-106, 2019
    • 120 박은숙, "개항기 사금융 일수의 무대와 이자(1890~1894)-『順捧長冊』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89) : 7-39, 2019
    • 121 배병욱, "개항기 구마모토국권당[熊本國權黨]의 ‘조선어학생 파견사업’" 부경역사연구소 (44) : 77-125, 2019
    • 122 민회수, "개항기 海關 감독기관으로서의 조선 監理署의 기원과 특성- 동아시아 3국의 稅關 제도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 한국사연구회 (180) : 155-198, 2018
    • 123 김인호, "개항․일제강점기 ‘광복동’ 소재 일본인 사업체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9) : 5-56, 2019
    • 124 박한민, "개항 이후 일본의 조선국내지여행취체규칙운영과 조선의 대응"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1) : 5-44, 2019
    • 125 박진한, "개항 이후 인천의 장소인식 변화와 일제강점기새로운 명소의 등장" 도시사학회 (20) : 53-88, 2018
    • 126 홍동현,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지역적 특성과 『경세유표』 전래설" 역사실학회 (67) : 289-318, 2018
    • 127 정숭교, "강제병합 100주년, 20세기의 한국근대사 연구를 넘어서" 역사학회 (215) : 15-42, 2012
    • 128 차인배, "갑오개혁기 경무청 경무관의 임용과 승진의 근대적 경험-『大韓帝國官員履歷書』에 등재된 경무관 이력을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55) : 159-189, 2018
    • 129 장경호, "갑오개혁 이후 한성부 警務廳 巡檢의 역할과 실무 활동(1895~1897)-警務廳 日報기록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91) : 7-38, 2019
    • 130 민회수, "갑오개혁 이전 조선의 황제국 용어 사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5) : 123-150, 2019
    • 131 김황재, "韓末 濟州義兵抗爭의 재조명" 숭실사학회 (40) : 69-121, 2018
    • 132 酒井裕美, "開港期朝鮮の戰略的外交, 1882-1884" 大阪大學出版會 2016
    • 133 石川亮太, "近代アジア市場と朝鮮: 開港·華商·帝國" 名古屋大學出版會 2016
    • 134 于晨, "近代 轉換期 淸 對外關係의 硏究: 華夷秩序의 재조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9
    • 135 原田敬一, "東學農民運動と日本メディア" 京都大學人文科學研究所 111 : 2018
    • 136 李正熙, "朝鮮華僑と近代東アジア"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12
    • 137 岩井茂樹, "岩波講座 東アジア近現代通史 第1卷 東アジア世界の近代" 岩波書店 2010
    • 138 岡本隆司, "宗主權の世界史" 名古屋大學出版會 2014
    • 139 이동훈, "在朝日本人社会の形成―植民地空間の変容と意識構造―" 明石書店 2019
    • 140 久保伸子, "伊藤博文と明治日本の朝鮮政策" 北九州市立大學大學院 2018
    • 141 유바다, "交隣에서 外交로 :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外交의 국제법적 권능과 한계" 고려사학회 (77) : 7-27, 2019
    • 142 서명일, "『서유견문』 1~2편의 전거와 유길준의 세계지리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114) : 143-172, 2019
    • 143 조재곤, "『갑오군정실기』를 통해 본 새로운 동학농민군의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7) : 281-311, 2019
    • 144 서영희, "『韓國痛史』의 근대사 인식" 진단학회 (130) : 169-197, 2018
    • 145 최덕규, "『朝鮮策略』과 고종정부의 북방정책 : 러시아 레솝스키 함대의 극동원정(1880-1881)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8) : 271-308, 2018
    • 146 中川未來, "『朝鮮新報』主筆靑山好惠の東學農民戰爭報道: 1890年代の朝鮮情報流通と居留地メディア" 111 : 2018
    • 147 박한민, "『公私問答錄』을 통해 본 2차 수신사의 활동" 진단학회 (131) : 213-239, 2018
    • 148 박한민, "『丙子擾錄』을 통해 본 조일수호조규 체결" 한일관계사학회 (63) : 45-86, 2019
    • 149 조재곤, "「대한국국제」의 분석과 각국 헌법" 한국근현대사학회 (84) : 111-149, 2018
    • 150 김주현, "≪황성신문≫에 실린 신채호 작품의 발굴 연구 -<대동고사>란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87) : 139-177, 2018
    • 151 민회수, "‘익숙함’에 대한 색다른, 그리고 미시적인 접근 - 2016~2017 개항기(1876~1910) 한국사 연구의 동향 -" 역사학회 (239) : 25-50, 2018
    • 152 노관범, "‘개화와 수구’는 언제 일어났는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7) : 345-394, 2019
    • 153 배우성, "‘典洞 큰 길’ 주변의 근대와 조선 벌열가문의 후예들- 장기사적 시야로 읽는 장소성 -" 서울역사편찬원 (101) : 107-158, 2019
    • 154 Euy Suk Kwon, "An Unfulfilled Expectation: Britain’s Response to the Wuestion of Korean Independence, 1903-1905" 23 (23): 2018
    • 155 송재용,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례 연구" 동양고전학회 (70) : 435-466, 2018
    • 156 김태웅, "<批評論文> 高宗政府의 獨逸帝國 인식과 近代政治體制 모색" 역사교육연구회 (150) : 221-240, 2019
    • 157 응웬토득, "20세기 초 한국과 베트남의 유교 진흥 경향의 동이점 - 朴殷植과 陳仲金을 중심으로 -" 퇴계학연구원 (145) : 177-266, 2019
    • 158 김대중, "20세기 초 철도부설과 읍성해체에 따른 도시공간구조와 주변 필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8 (28): 31-40, 2019
    • 159 김창수, "19세기 후반, 지방 지식인의 대외인식 지형-華西 학파의 華夷觀과 청 인식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72) : 85-117, 2018
    • 160 이효정, "19세기 후반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통한 지식·문화 교류의 한 양상 - 『스에마츠 지로 필담록(末松二郞筆談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78) : 133-164, 2018
    • 161 한승훈, "19세기 후반 朝鮮의 對英정책 연구(1874-1895): 조선의 균세정책과 영국의 간섭정책의 관계 정립과 균열" 고려대학교 2015
    • 162 이선아, "19세기 부안 儒生 奇幸鉉의 『鴻齋日記』와 동학농민혁명의 실상" 동학학회 (50) : 85-121, 2019
    • 163 박성준, "19세기 말~20세기 초 궁방전 지주경영의 또 다른 양상: 삼남지역 導掌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7) : 199-237, 2019
    • 164 손계영, "19세기 말 지방관의 업무와 기록물에 관한 연구 - 吳宖黙(1834~1906)의 『咸安郡叢瑣錄』을 중심으로 -" 한국서지학회 (74) : 31-52, 2018
    • 165 이효정, "19세기 말 메이지 일본 신문에 드러난 조선 사절단의 모습"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5-97, 2018
    • 166 윤지양, "19세기 말 江南機器製造總局 출간 서적의 국내 유입 양상"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 (20): 33-62, 2019
    • 167 진상원, "19세기 말 民村 지역 주민들의 혼인 연망과 종족화 양상 - 東萊府『沙上面 戶籍中草』의 사례 분석 -" 한국고문서학회 52 : 235-266, 2018
    • 168 우수영, "1960년대 동학소설과 박정희 군사 정권의 혁명 담론 : 최인욱 『전봉준』, 이용선 『동학』, 서기원 「혁명」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50) : 43-83, 2019
    • 169 서신혜, "1910년대 이전의 아동 위상 제고提高 활동" 온지학회 (55) : 239-266, 2018
    • 170 김현진, "1908년 東萊府 東下面 거주민의 일상적 삶과 집단적 정체성- 隆熙 2년 東萊府 東下面 戶籍을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7) : 339-364, 2019
    • 171 한성민, "1907년 체제 성립과정에서 일본의 한국정책과 한국사회의 대응" 일본사학회 (49) : 75-102, 2019
    • 172 김헌주, "1907년 이후 한국 언론의 ‘暴徒’ 담론 형성 과정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 역사학회 (240) : 417-444, 2018
    • 173 심철기, "1907년 이후 『제국신문』의 성격과 의병 인식" 부산경남사학회 (107) : 125-165, 2018
    • 174 김항기, "1906~1910년간 일제의 의병 판결실태와 그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1) : 5-42, 2018
    • 175 이정주, "1904년 『연천군 북면 호적』의 자료적 특성" 한국학연구소 (54) : 441-456, 2019
    • 176 김종준, "1900년대 한국 언론의 ‘자유’ 이해와 용법" 인간학연구소 (38) : 7-44, 2019
    • 177 곽금선, "1898년 독립협회의 정치기획과 ‘충군애국(忠君愛國)’" 한국역사연구회 (107) : 375-408, 2018
    • 178 이영미, "1897~1905년 주한미국공사 알렌(Horace N. Allen)의 별장 기획과 조성, 처분" 인천학연구원 1 (1): 7-40, 2018
    • 179 조윤정, "1896~1909년 신문과 잡지를 통해 본 ‘자선’ 개념의 형성과 변천" 한국현대문학회 (57) : 137-172, 2019
    • 180 홍문기, "1894년 「감옥규칙(監獄規則)」 성립과 근대 감옥제도의 도입 양상" 한국사연구회 (185) : 83-124, 2019
    • 181 박한민, "1888년 ‘유아납치’ 소동의 전말과 각국의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109) : 409-452, 2018
    • 182 박한민, "1883년 조일통상장정 체결과 각국의 대응" 부산경남사학회 (111) : 245-290, 2019
    • 183 김미지, "1883~84년 『한성순보』에 새겨진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정보 전쟁" 인문과학연구소 (83) : 143-178, 2018
    • 184 이효정,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수행원 강진형의 『일동록(日東錄)』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3) : 161-191, 2019
    • 185 김형종,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 국경회담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186 배성준, "1880년대 국경회담에서 발견한간도문제의 ‘불편한’ 진실[서평] 김형종(2018),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국경회담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88쪽." 인문학연구원 75 (75): 247-265, 2018
    • 187 홍문기, "1864∼1894년 言官 및 言官言論의 변화" 서울대학교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