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삿갓 한시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Approach to Kim Sat-gat’s poetry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오늘날 김삿갓으로 총칭되는 인물은 복수이다. 19세기를 방랑하던 김삿갓은 한 사람이 아니었다. 심지어, 1930년대 말까지 어떤 김삿갓은 생존해 있었다고도 할 수 있다. 1920년대 후반부터 많은 사람들이 사회 제도에 복종하지 않고 여로에서 ‘비참과 불평과 울분’으로 마쳐 버린 김삿갓의 시에서 민족예술의 역사적 기원을 증명하고 민족사상의 발전을 예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김삿갓은 김병연이라는 한 인물을 중핵으로 하면서 과객(科客)과 방랑시인들을 망라하는 특수한 지칭이다. 그 지칭은 출판과 우편의 발달과 더불어 ‘조선의 대시호’요 ‘무산자의 일인’으로서 생명력을 부여받았다.
    『몽유야담(夢遊野談)』(1852년경)에 나오는 김병연(金炳淵), 『대동시선(大東詩選)』 (1917) 수록 영립(詠笠) 의 작가, 『대동기문(大東奇聞)』(1926)에 일화를 남긴 김립, 황오(黃五) 『녹차집(綠此集)』(1932)에 수록된 김사립전(金莎笠傳) 의 김사립은 같은 사람인듯하다. 하지만 19세기에 ‘김삿갓’이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진 또 다른 인물로 김난(金鸞)이 있다. 신석우(申錫愚)의 기김대립사(記金籉笠事) 에 따르면 ‘김대립=김난’은 ‘광주(廣州)의 향품’으로, 소론계 문장가 안응수(安膺壽)의 식객으로 지냈다. 향품이란 사실이 알려져 안응수의 배척을 받은 뒤로는 “장옥(과장)에 드나들며 혹은 시를 수십 편을 짓기도 하고 혹은 한 편도 짓지 않고 나오기도 하였다.” 『몽유야담』에 따르면 김병연은 자신의 성명을 반드시 밝혔다고 했으므로 김난을 김병연과 동일 인물로 볼 수는 없다. 한편 조선 고종, 일제강점기 초 여규형(呂圭亨)의 시에서 과시(科詩) 작가 김초모(金草帽)를 언급하였는데, 그는 어느 인물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1926년에 천도교 잡지 『개벽(開闢)』의 문예부는 김삿갓의 시문과 전기 자료를 대대적으로 수집하기 시작했다. 1926년 7월 1일 발행 『개벽』 제71호에는 사고를 실어, 문예부에서 모집하여 오던 김립 시문과 기타 전기의 원고가 산같이 쌓인 데다가 아직도 투고가 끊이지 않아 편집 종료 기일을 1개월 간 연기한다고 공고했다. 하지만 이후 『개벽』은 일제에 의해 일단 폐간되었다. 『개벽』이 폐간되자 김삿갓의 시들은 편집자 차상찬(車相瓚, 1887 1946)이 보관하다가, 이응수(李應洙)에게 승계되었던 듯하다. 이응수는 1939년 『김립시집』을 초간하고 1941년 대증보판을 출판했으며, 1956년 평양 국립출판사에서 정선본이라고 할 『풍자시인 김삿갓』을 간행했다.
    김삿갓 시의 자료로는 수록 작품이 많은 대증보판을 활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 책에는 오식도 있고 교정 잘못도 있다. 게다가 이응수 자신이 고백하듯이, 편집자이자 주해자인 그가 한시의 여러 형식들을 잘 분별하지 못했다. 김삿갓의 실제 인물로 주로 간주되는 김병연(金炳淵)은 향시에서 과시(科詩)로 장원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응수는 그것을 김병연의 작이 아니라 하면서도 대증보판에 ‘과시’로 실어두었다. 하지만 이 18연시는 과시가 아니다. 정약용이 『아언각비』에서 말한 대고풍(大古風)이다. 김삿갓 작이라고 필사되어 전하는 ‘동시(東詩)’ 가운데는 과시가 아니라 대고풍도 섞여 있다. ‘동시’란 조선의 과거에서 사용되는 과시(과체시, 공령시, 행시)와 조선의 민간에서 유행한 대고풍을 합한 개념이다. 그 양식을 우리 문학사에서 일정한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만든 장본인이 바로 김삿갓이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김삿갓 시는 여섯 가지 부류이다. 첫째 평측과 압운 등 외재율을 엄격하게 지킨 한시, 둘째 한시의 온전한 한 편을 이루지 못한 단구(斷句)나 연구(聯句), 셋째 한시의 형식에서 파생되어 나온 희작이나 파격의 시, 넷째 조선 민간에서 유행한 고풍(소고풍과 대고풍), 다섯째 우리말과 한자를 직조한 육담풍월(언문풍월), 여섯째 과거시험에서 부과되는 형식의 과시(科詩) 등. 이응수는 초판본과 대증보판 『김립시집』에서는 과시에 중점을 두었다가 평양본에서는 둘째, 셋째, 다섯째 유형의 시에 중점을 두었다. 사실상 김병연 등 복수의 김삿갓은 방랑 과객(科客)으로서 민간의 독서층에게 과시를 가르쳐 주던 인물이었을 것이므로, 김삿갓의 한시는 과시가 본령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김삿갓의 이름 뒤에는 많은 ‘무보상(無報償)의 시인’들이 있어서 그들이 남긴 단율과 연구, 파격의 시, 육담풍월, 고풍의 시들이 지금도 광채를 발하 있다.

    더보기

    Today, the person who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Kim Sat-gat is plural. Kim Sat-gat, who wandered the nineteenth century, was not a single person. Even by the end of the 1930s, it could be said that some Kim Sat-gat was still alive. Since the late 1920s, many people expected to demonstrate the historical origins of national art and to exemplify the development of ethnic ideology in poetry of Kim Sat-gat, who had not obeyed with social systems and had ended his life in ‘misery and grievance’ on a road. Kim Sat-gat is a special term that encompasses passers-by and wandering poets while making a person named Kim Byeong-yeon as the cor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and postal services, Kim Sat-gat was given the vitality as ‘the great poet of Joseon Dynasty’ and ‘one of the proletarian.’
    Kim Byeong-yeon in < Mongyuyadam >(near 1852), the author of < yeongnip > in < Daedongsiseon >(1917), Kim Rip, who left a story in < Daedonggimun >(1926), Kim Sa-rip in < Kimsaripjeon >, which is included in Hwang O’s < Nokchajip > are likely to be an identical person. However, there was another person name Kim Nan, who was widely known as his nickname ‘Kim Sat-gat’ in 19th century. According to Sin Seok-u’s < Gikimdaeripsa >, ‘Kim Dae-rip=Kim Nan’ was ‘a regional petty official of Gwangju’, who lived as a parasitic houseguest of Soron writer An Eung-su. After being found out that he is a petty official and being excluded by An Eung-su, he “came in and out Gwajang(examination site), writing dozens of poetry or coming out with no poetry at all.” According to < Mongyuyadam >, Kim Byeong-yeon was sure to reveal his name thus it is hard to say that Kim Nan and Kim Byeong-yeon are same person. Meanwhie, from the reign of Joseon Gojong to Japanese colonial era, in Yeo Gyu-hyeong’s poem, an author of examination poetry Kim Mo-cho was mentioned, but his identity is unknown.
    In 1926, the literary department of the Chondogyo magazine < Gaebyeok > began to collect large volumes of poems and biographies of Kim Sat-gat. In the 71th volume of < Gaebyeok >, published on July 1, 1926, informed poems, proses and biographic manuscripts of Kim Sat-gat that literary department had been collecting are stockpiled like mountain, and keep being submitted, so extends editing deadline for one month. However, < Gaebyeok > was once clos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en it was closed, Kim Sat-gat’s poems seemed to have been taken over by Lee Eung-su from the editor Cha Sang-chan (1886-1946) who kept it. In 1939, Lee Eung-su published his first edition of < Kimripsijip(The Selected poetry of Kim Rip) >, and in 1941 published a supplementary edition of the book. In 1956, he published refined edition < Pungjasiinkimsatgat(The Satirical poet Kim Sat-gat) > in Pyongyang national publishing company.
    It is common to use the supplementary edition as a reference to poetry of Kim Sat-gat. But this edition contains errors and proofreading mistakes. Furthermore, as Lee Eung-su confessed, he could not distinguish various form of Sinic poetry well, although he was an editor and an annotator. It is told that Kim Byeong-yeon, who is believed to be the real Kim Sat-gat got first place in a local preliminary exam with examinational poem. Lee Eung-su included such poem in the supplementary edition, while assuming it was not his composition. However, this 18 sequence poem is not an examinational poem, but it is a genre of Daegopung, which Jeong Yak-yong explained in < Aeongakbi >. Some of ‘Dongsi(The Eastern poem)’, those are transcribed as works of Kim Sat-gat are not only an examinational poem but also Daegopung. Dongsi is an concept that combined popular Daegopung with official examinational poem in Joseon. Kim Sat-gat is the one who made the concept has true meaning in Korean literary tradition.
    Kim Sat-gat’s poetry that we can see now is divided in six categories. First, Sinic poems that are following strict rules of prosody such as tonal patterns and rhyme. Second, phrases or pair of phrases cannot form a complete structure. Third, light literary works and irregular poems derived from form of Sinic poems. Fourth, archaistic poems those are popular among common folks. Fifth, licentious and humorful poems combines vernacular words with classical Sinic words. Sixth, examinational poems charged in official exam. Lee Eung-su focused on examinational poems in first edition and supplement edition at first, later he focus on poems from second, third fifth categories in Pyongyang edition. As a matter of fact, plural Kim Sat-gat, including Kim Byeong-yeon, are people who taught examinational poems for ordinary folks as a wandering poet,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examinational poem was the true province in his poetry. However, there are many ‘non-reward poets’ behind Kim Sat-gat’s name, thus phrases, pair of phrases, irregular poems, humorful poems and archaistic poems which are left by them still casting a glow.

    더보기
    • 1 崔碩義, 平凡社 2003
    • 2 陳在敎, "李朝後期 流浪知識人의 文學史的 意味"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3 남재철, "蘭皐 金炳淵의 삶과 관련된 몇 가지 眞實" 우리한문학회 19 : 1025-1054, 2008
    • 4 朴惠淑, "金삿갓詩 硏究 金笠 詩集(1941)을 중심으로" 67 : 1984
    • 5 梁東植, "金笠詩集 원전연구" 순천대학교 2005
    • 6 이응수, "金笠詩集" 有吉書店 1939
    • 7 이건호, "金炳淵詩 硏究" 조선대학교 2004
    • 8 정 민, "한시미학산책" 솔출판사 1996
    • 9 정대구, "한국문학작가론" 현대문학사 1991
    • 10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8
    • 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자료집 82책, 부록 3책" 1992
    • 12 구사회, "한국 고전문학의 자료 발굴과 탐색" 보고사 2013
    • 13 이응수, "풍자시인 김삿갓" 평양 국립출판사 1956
    • 14 梁東植, "추가로 발굴된 김병연의 과체시"
    • 15 박길수, "차상찬 평전" 모시는사람들 2012
    • 16 김태준,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 2" 이회문화사 1998
    • 17 "조선대백과사전" 백과사전출판사 1999
    • 18 이상욱, "조선 과체시의 글쓰기 방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 19 이상욱, "조선 科文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 20 임형택,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창작과 비평사 1985
    • 21 "임꺽정 김병연 태생지 고증 학술 보고서, 임꺽정 김삿갓 양주에서 태어났는가?" 양주군 양주문화원 2000
    • 22 박상도, "일본내(日本内)의 김삿갓 문학에 대한 평가양상" 동양학연구원 (47) : 111-128, 2010
    • 23 李家源,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0
    • 24 김영철, "언문풍월의 장르적 특성과 창작양상" 한중인문학회 (13) : 54-78, 2004
    • 25 진갑곤, "언문풍월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13 : 251-270, 1992
    • 26 李應洙, "세계시단 3대 혁명아 윗트맨, 石川啄木, 金笠"
    • 27 이상욱, "선명(善鳴)" 국립중앙도서관
    • 28 구사회, "새로 발굴한 김삿갓의 한시 작품에 대한 문예적 검토" 국제어문학회 (35) : 133-161, 2005
    • 29 류연석, "새로 발굴한 김병연의 과체시 검토" 한국시가문화학회 (18) : 69-100, 2006
    • 30 김대현, "새로 발견한 김삿갓 漢詩에 대하여" 2007
    • 31 박대헌, "난고문학관 김병연 친필 관련 자료의 진위에 대하여" 고서연구회 (21) : 2003
    • 32 시선 김삿갓 유적 보존회, "난고 김삿갓의 문학과 생애" 영월군 2002
    • 33 김준형, "김삿갓의 자아 찾기, 웃음과 울음" 동방비교연구회 6 : 27-54, 2016
    • 34 하정승, "김삿갓의 挽詩類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특질" 한국한문고전학회 29 (29): 219-245, 2014
    • 35 정대구, "김삿갓과 생애의 재구성" 1989
    • 36 고정옥, "김삿갓과 그의 시문학의 사상예술적 특성"
    • 37 김영준, "김삿갓 희작시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 38 심경호, "김삿갓 한시" 서정시학 2018
    • 39 문제선, "김삿갓 초분지에 대한 고찰" 전라남도 문화원 1984
    • 40 정대구, "김삿갓 연구" 문학아카데미 2003
    • 41 허경진, "김삿갓 시집" 평민사 1997
    • 42 하정승, "김삿갓 시에 나타난 悲慨와 飄逸의 정신" 동방한문학회 (32) : 337-365, 2007
    • 43 이창식, "김삿갓 문학의 풍류와 야유" 태학사 2011
    • 44 鄭大九, "김삿갓 詩 硏究" 崇實大學校 大學院 1989
    • 45 류연석, "김립시집 편찬의 문학사적 위상" 한국시가문화학회 (19) : 93-110, 2007
    • 46 梁東植, "김립시집 원전 연구" 한국문학도서관 2008
    • 47 이숙희, "국역 황녹차집 녹차 황오의 문학 연구" 충남대학교출판부 2007
    • 48 "국역 대동야승" 민족문화추진회 1971
    • 49 "靑邱野談"
    • 50 이규호, "開化期變體漢詩硏究" 형설출판사 1986
    • 51 相馬 淸, "金笠詩風" 48 : 1968
    • 52 이응수, "金笠詩集" 鍾三書籍 1949
    • 53 崔碩義, "金笠詩選" 東洋文庫, 平凡社 2003
    • 54 崔碩義, "金笠詩紹介一訳注, 鐘声通信"
    • 55 六反田豊, "選科学生の受け入れからみる京城帝国大学法文学部の傍系的入学" 60 : 2017
    • 56 刘靑海, "论金笠诗嘲戏风格和女性题材的汉诗渊源" 曲阜师范大学 6 : 131-135, 2011
    • 57 呂圭亨, "荷亭集" 京城鄭寅書家 1923
    • 58 申錫愚, "海藏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 59 이규용, "海東詩選" 雁東書館 1920
    • 60 洪起文, "洪起文 朝鮮文化論選集" 현대실학사 1997
    • 61 今村与志雄, "歴史と文学の諸相" 勤草書房 1976
    • 62 이응수, "正本 김삿갓 풍자시 전집" 실천문학사 2000
    • 63 白川豊, "植民地期朝鮮の作家と日本" 大学教育出版 72-, 1995
    • 64 崔碩義, "李朝の放浪詩人金サッカものがたり"
    • 65 김동석, "朝鮮時代 試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 66 장유승, "朝鮮時代 科體詩 硏究" 한국한시학회 (11) : 12-449, 2003
    • 67 閔在南, "晦亭集 권2"
    • 68 永島広紀, "旧制高等学校における朝鮮人生徒の文芸活動, in 朝鮮近代文学における日本語創作に関する総合的研究" 新潟県立大学 2014
    • 69 崔碩義, "放浪詩人金笠の詩と生涯" (春季) : 1995
    • 70 崔碩義, "放浪詩人金笠について" 1997
    • 71 崔碩義, "放浪の天才詩人金笠" 集英社 2001
    • 72 황재문, "大東詩選의 편찬경위와 문학사적 위상" 진단학회 (103) : 219-249, 2007
    • 73 曺龍承, "大東詩選" 1978
    • 74 姜斅錫, "大東奇聞" 보경문화사 1992
    • 75 양동식, "全南地域과 金炳淵文學의 關係" 한국시가문화학회 (16) : 197-231, 2005
    • 76 朴相度, "三好達治文学における政治性と詩觀朝鮮の放浪詩人・金笠批評を通して" 오사카대학
    • 77 高延君, "『金笠詩集』所載 東詩에 대한 考察"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 78 양동식, "『김립시집』 판본과 번역 양상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8
    • 79 黃五, "『綠此集』, 忍黙窩 국립중앙도서관본"
    • 80 최수일, "<개벽> 연구" 소명출판 2008
    • 81 강원도 영월군, "(천재시인)김삿갓의 (문학적)유산" 1992
    • 82 李荇, "(국역)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1969
    • 83 이응수, "(詳解)金笠詩集" 학예사 1939
    • 84 이응수, "(大增補版)金笠詩集" 漢城圖書株式會社 194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