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부여 분국(分國) 과정 고찰 = Consideration on the Process of Buyeo division of state
저자
지양미 (리정역사문화콘텐츠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1-312(3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In the long history of the Korean, the national names - Han, Joseon, and Goryeo - were repeatedly used every few hundred to thousands of year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strengthen internal solidarity by emphasizing that the later state inherited the glory and tradition of the previous state, and to confirm the systematicity and historicality externally. But Buyeo basically maintained the national name of Buyeo during the period from Bukbuyeo to Nambuyeo. Buyeo chose change whenever a nation’s crisis came with the emergence of forces with strong leadership or the emergence of an emerging hegemonic state in ancient international relations. The researcher defined this as a ‘division of state’. The decentralization is not a method in which an existing powerful person is ousted and killed by a rising force, but is a method of maintaining the royal family by moving to a different region from his followers after abdicating. This is a different concept from the imperial state known in ancient society, and is similar to the relationship of the clan(門中), a clan formed by the separation of the head of the clan(宗中). In this regard, the division condi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founding process must be done in a peaceful way. Second, the existing royal family and the new royal family must be connected by blood or system. Third, a divided of state must move to a new place and establish itself. Fourth, there must be continuity of the name of the country. Fifth, there is no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and the country. Among them, peaceful agreements and procedures ar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s. This division was not first started in Buyeo, bu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insi-Baedal(神市-倍達) Dynasty from the Han(桓) Dynasty can be seen as the origin of the division, and it can be said that Buyeo inherited and developed this tradition.
Through this study, two things could be presented. One is that the founding process of Dongbuyeo and Seobuyeo, excluding Bukbuyeo, can be seen as division of state. And the other was the younger cousin of Daeso, who surrendered to Goguryeo after the death of King Daeso, and about 10,000 followers of Donbuyeo founded a new Buyeo (Nak’s Kingdom) in the jurisdiction of Yeonnabu. So I suggested that the name of the Buyeo country be referred to as "Seobuyeo"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of being called "Direction + Buyeo." In addition, the genealogy of the entire Buyeo history was summarized through the [Division of Buyeo].
During the dynasty period, it was common for dynasty changes to usurp power through force, but Buyeo was divided by peaceful means. Buyeo’s strong viability could be found in that the division of state was made in a crisis situation of the state or the royal family.
한민족의 오랜 역사에서 ‘한국⋅조선⋅고려’의 국명(國名)은 수백 년에서 수천 년의 간격으로 반복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후대 국가가 선대 국가의 영광과 전통을 이어받았 음을 강조함으로써 내부 결속을 다질 수 있었고, 대외적으로도 계통성과 역사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여는 북부여로부터 남부여에 이르는 동안 기본적으로 ‘부여’라 는 국명을 계속 유지했다. 부여는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세력이 등장하거나 고대 국제관 계에서 신흥 패권국가의 등장으로 국가의 위기가 왔을 때마다 변화를 선택했다. 이것을 연구자는 ‘분국(分國)’이라 정의하였다. 분국이란 기존의 권력자가 신진세력에 의해 축출되어 죽임을 당하는 것이 아닌, 양위(讓位)를 한 뒤 자신의 추종 세력과 다른 지역으 로 옮겨 왕실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고대사회에 알려진 제후국과는 다른 개념이 며, 종중(宗中)에서 지파(支派)가 분가하며 이룬 일족(一族)인 문중(門中)의 관계와 유사 하다. 이와 관련하여 분국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 건국 과정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존 왕실과 새 왕실은 혈연적 또는 계통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셋째, 분국을 하는 국가는 반드시 새로운 곳으로 이주하여 건국해야 한다. 넷째, 국명(國名)의 연속성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본국과 분국은 불평등한 관계가 아니다. 이 가운데 평화적 합의와 절차가 제일 중요한 조건이다. 이러한 분국은 부여에서 처음 시작된 것이 아니라, 환국으로부터 분국한 신시배달국의 건국 과정이 분국의 기원으로 볼 수 있으며, 부여가 이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두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북부여를 제외한 동부여와 서부 여의 건국 과정을 분국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소왕 사후 고구려에 투항한 대소의 사촌 동생과 1만여 명의 옛 동부여 유민들은 연나부 관할지에서 새로운 부여(낙씨왕계)를 건국하였는데, 연구자는 그동안 부여국명이 ‘방향 + 부여’로 불렸던 관례를 따라 ‘서부여’로 칭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부여분국도]를 통하여 부여사 전체 의 계보를 정리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5-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4-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 |
2006-11-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2 | 0.996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