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녹화 동영상 강의와 메타버스 강의에 따른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 비교 =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recorded video lectures and metaverse lectur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3-182(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Universities continue to be confused due to unstable academic management, with non-face-to-face situations becoming frequent du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policy and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quarantine authorities. Most universities are actively using distance education along with some face-to-face classes to minimize educational gaps. Generally operated remote education is non-real-time education for taking recorded video lectures and real-time educa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such as ZOOM. However, in the case of recorded video classe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earner's sincerity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d side effects such as "zoom fatigue syndrome" are also raised in the ZOOM class, showing many problems in existing remot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method of remote education that can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existing remote education b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remote education method, recording video class, by condu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using 'metabus', a rapidly growing field of offline activities in the non-face-to-face era.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the meta-bus class improved entrepreneurship compared to the recorded video class. Second, it was found that recorded video classes only affect entrepreneurship competency. Third, it was found that metabus classes had an effect on entrepreneurship propensity, entrepreneurship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wil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generation Z, which handles ICT technology well, prefers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and tends to demand game experiences, needs to be meaningfully considered that classes on metabuses using avatars provided play and fun elements. In addition, as it has been empirically identifi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Metaverse is high, it i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to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by using Metaverse'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in real time and link external collaboration tools suitable for each subjec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a new alternative to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in a rapidly changing era along with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ulture, classes using ‘Metaverse’ that can overcome space limitations can be expected.
더보기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으로 비대면 상황이 빈번해지고 방역당국의 확산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수시로 변경되는 등 대학들은 불안정한 학사운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교육 공백의 최소화를 위해 일부 대면 수업과 함께 원격교육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영되는 원격교육은 녹화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비실시간 교육과 줌(ZOOM)과 같은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교육이다. 그러나 녹화 동영상 수업의 경우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성실도와 참여도 등에 대한 파악이 어렵고, 줌(ZOOM) 수업에서도 ‘줌 피로 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이 제기되는 등 기존 원격교육에서의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시대의 오프라인 활동의 대안으로 급격히 성장하는 분야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업가 정신교육을 실시하여 기존 원격교육 방식인 ‘녹화 동영상’ 수업과의 효과성을 비교하여 기존 원격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원격교육의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첫째, 메타버스 수강 집단이 녹화 동영상 수강 집단에 비해 기업가정신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녹화 동영상 수업은 기업가정신 역량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버스 수업은 기업가정신 성향, 기업가정신 역량, 창업의지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ICT 기술을 능숙하게 다루며 기존과는 다른 학습의 경험을 선호하고, 게임적 경험을 요구하는 경향을 가진 Z세대에게 아바타를 활용한 메타버스에서의 수업이 놀이와 재미 요소를 제공하였다는 부분을 의미 있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메타버스에서의 교육 효과성이 높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규명된 만큼 메타버스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각 과목의 특성에 맞는 외부 협업 툴을 연동하여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비대면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원격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존 원격교육의 문제점과 부작용을 보완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55 | 0.734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