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반쪽이> 說話 속 ‘新郞 承認’의 樣相 再考-각 편에 내재한 ‘공포-불안-폭력’의 裏面을 중심으로- = Reflection on Aspects of ‘Bridegroom Approval’ in Folk Tale of 〈Banjjogi〉 -with focus on sides of ‘horror-anxiety-terror’ in respective stories
저자
김용선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7-312(2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is study started from some questions related with Banjjogi (half-man)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as an old folk tale. First, what is the reality of a man who has only a half of his whole body including his face? Second, what is the purpose of supernatural power that Banjjogi has and shows an amazing capabilities in terms of intelligence and physical power in comparison with other normal brothers? Third, there is a curiosity about the conclusion of most Banjjogi folk tales that contains somewhat criminal factors but ends in humorous marriage. Furthermore, what is the psychiatric mechanism running through the Banjjogi folk tales? This paper studied these questions through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motifs. Half body seems to symbolize the 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of the incomplete person a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also seems to reflect the phenomena of the physical disorders such as birth of congenitally malformed newborn infants, facial malformation and physically disabled persons. One typical form of folk tales is the structure that the heroes with disorders win in the fights of the mundane world. As the elder brothers harass the disabled younger brother Banjjogi, Banjjogi’s capabilities are reinforced and reach the peak when Banjjogi defeats the tigers. In the consequent marriage talks ‘bridegroom approval’ process is developed and the narrative concludes in marriage by capture. All the Banjjogi folk tales carry the psychiatric mechanism of ‘horror-anxiety-terror’ respectively. This is related to marriage process that implies the successful entry into the society. The story of Banjjogi as an ‘abject’ depicts the persona that casts the both sides of grotesque terror and grotesque humor to his neighbors as the story evolves, making the Banjjogi as a bridegroom accomplishing ‘approved marriage by capture’ in the end.
더보기본 연구는 口傳說話로 전승된 〈반쪽이〉 서사에 관한 몇 가지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첫번째, 얼굴을 포함한 신체가 반쪽 밖에 형성되지 않은 남성의 존재가 무엇인가? 두번째, 지력과 완력에 있어 다른 비장애 형제에 비해 놀라운 능력을 드러내는 반쪽이의 초능력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세번째는 대부분의 〈반쪽이〉 설화가 다소 폭력적이면서도 우스꽝스러운 혼인담으로 종결되는 것에 관한 궁금증이다. 나아가 〈반쪽이〉 설화를 관통하는 심리구조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서사 구조 분석과 화소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반쪽 신체는 선행 연구의 성과대로 의식과 무의식의 상징인 동시에 어느 시대에나 발생할 수 있는 畸形兒 출산, 안면장애인, 지체장애인의 현실을 일정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장애요소를 지닌 주인공이 세계와의 대결에서 승리하는 구조는 설화문학이 갖는 전형의 하나이다. 형들의 억압강도가 세질 수록 반쪽이가 보여주는 능력 역시 강화되며 범 소탕 화소에서 정점을 이룬다. 바로 이어지는 혼인담에서 ‘신랑 승인’ 절차가 전개되며 掠奪婚으로 서사가 종결된다. 〈반쪽이〉 설화 각 편은 ‘공포-불안-폭력’의 심리적 메커니즘이 작동된다. 이는 入社式으로의 혼인절차와 연결되어 있다. 일종의 ‘아브젝트(abject)’인 반쪽이는 이야기 전개에 따라 주변에 공포의 그로테스크와 유희의 그로테스크 양면을 모두 선사하는 인물로 설정되어 끝내 ‘승인된 약탈혼’을 행하는 신랑이 되어간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686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