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함경도 서사무가 <도랑선배‧청정각시>에 나타난 희생의 성격과 제의적 의미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64(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고에서는 함경도 망묵굿의 무속신화인 <도랑선배‧청정각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청정각시가 감내하는 고난의 의미를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마지막 에 죽음을 맞이하는 청정각시의 모습을 통해 <도랑선배‧청정각시>의 제의적 의미 를 구명하고자 했다. 청정각시의 고난은 불교적 외피를 입고 있다. 그런데 청정각시의 불교적 행위는 희생제의를 내면화 한 것으로, 결국 청정각시의 고난은 인간과 신 그리고 聖과 俗 이라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연결하는 공희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청정각시가 죽은 도랑선비를 만날 수 있는 방법은 이승과 저승 또는 지상계와 천상계의 매개 공간으로 자리 잡은 안헤산 금상절과 같은 곳에서 제시되며, 청정각시에게 부여되는 고난 은 저승으로 나아가는 제의적 행위로 읽어낼 수 있다. 문제는 청정각시가 모진 정성을 들여도 찰나의 만남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죽음 을 통해서만 도랑선비와의 온전한 만남이 가능하다는 설정은 저승 자체가 이승의 생자가 접근 불가능한 공간임을 명시한다. 길을 닦음으로써 ‘이승/저승’의 체제가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 안에서 자유로운 왕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저승은 이 승에서 분리됨으로써 편입되는 특수한 예외공간이며, <도랑선배‧청정각시>는 망 자의 저승길을 닦아주는 첫 번째 무가로서 이승과 저승의 관계를 定礎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랑선배‧청정각시>가 생자에게 던져주는 의미는 적어도 망묵굿이라는 제의 적 공간 안에서 저승이라는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저승에 머물고 있 는 망자를 일시적으로나마 만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선간길 외에도 아직 닦아야 할 저승길이 많이 남아있기에 남은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생자는 망자와 관계를 맺으며 서서히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도랑선배‧청정각시>는 그렇게 굿판에 참여한 생자에게 최초로 위로와 위안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unction of Cheongjeong-gaksi’s self-sacrifice with the perspective of Buddhism and to figure out the ritual meaning of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one of the shaman songs in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consists of several ritual sequences. From the sequence that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sung the ritual for dead man is started in earnest so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the first song for the dead. In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 is suddenly dead and Cheongjeong-gaksi sacrificed herself to meet Dorang-seonbi again. The sacrifice looks like a Buddhism behavior and this is originated from the Veda’s ritual form of sacrifice. Therefore, sacrifice of Chenongjeong-gaksi means the ritual behavior to across the line between life and death. Cheongjeong-gaksi finally kills herself to meet Dorang-seonbi. The only way to meet the dead man Dorang-seonbi is going to the part of death after all. It shows Cheongjeong-gaksi sacrifices herself instead of living people who are participants of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Cheongjeong-gaksi is the sacrificial offering to make people communicate with the dead man.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It shows it is impossible to approach the space of death but also retains some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life and death by the sacrifice of Chen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offers some explanations how the spaces of living and death consisted and how the living people can communicate with the dead man under the ritual context. After all, living people derive comfort from this ritual because they believe they can meet the dead ma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1.24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