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大天五事로 본 교단분열에 대한 再考 -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를 중심으로 -
저자
박상갑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5-382(2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불교사에서는 불교교단이 上座部와 大衆部로 분열된 것을 근본분열로 보고이를 ‘2부 분열 사건’으로 여기고 있다. 本 分列의 원인을 밝혀볼 수 있는 자료로는남전의 『디파밤사(Dīpavaṃsa)』와 『마하밤 사(Mahāvaṃsa)』, 북전의 『十誦律』, 『異部宗輪論』과 『大毘婆沙論』 등이다. 야사 비구의 十事 非法事件이 성문 비구의 계율해석에 대한 논쟁이라면 大天의 五事事件은 아라한의 자질과 깨침에 대 한 적법의이론에 있다. 이 중에 대천 5사는 대천이 주장한 ①餘所誘, ②無知, ③猶豫, ④他令入, ⑤道因聲故起의 다섯 가지 항 목으로서 성문 4향4과 최고의 무학도를 이룬 無學聖者라고인식되어 있는 阿羅漢에 대해 해탈과 깨달 음 그리고 수행의 온전성 등에 대해불합리한 아라한의 자질과 깨달음의 한계성을 지적하고 이에 대해 자각과 성찰을촉구하며 現法樂住에서 벗어나 불타가 구족한 아라한의 경지인 깨달음의 無邊聖諦를 성 취하는 방향으로 向上一路할 것을 제기한다. 이러한 주장으로 말미암아 교단 내에서는 반론과 추종의 의견 대립이 나타나고이로 기인하여 마침내 교단은 반론의 상좌부와 추종의 대중부로 兩極化분열되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異部宗輪論』과 『大毘婆沙論』에 의거하여 대천5사의 항목적 고찰을 통해 밝혀본 바에 의하면 餘所誘는 아라한의 자 질에 관한문제로 제기된 반면에 無知는 아라한의 깨달음에 대한 불완전함과 미숙함 등에대해 그 이유 를 제기하며 자성을 통한 수행의 진정성을 확보하는데 밀접한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는 부분이라 하겠 다. 뿐만 아니라 분열된 二部는 상호간에 敎相學的 견해와 사상의 입장 차이도 크게다른 차원의 양상을 보 여주고 있다. 상좌부의 佛身觀에 있어서는 一佛思想과인간적이고 정의로운 色身의 측면에서 설명하며 , 解脫觀은 아라한의 해탈과불타의 해탈을 同一視하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해탈의 성격과 형 식에치우쳐 해탈의 내용에 있어서까지도 불타의 해탈과 同位的인 관점으로 보고 있다. 그런 반면에 대중부의 불신관은 多佛思想과 超人化된 법의 당체로서 法身으로보고 있으며 해탈관의 입장은 무애자재한 無爲解脫로 주장한다. 특히 阿羅漢의 修證功果와 관련해서 상좌부에서는 阿羅漢有退義를 주장하는데,이는 『阿毘達磨俱舍 論』에서 밝히고 있는 六種 阿羅漢 가운데 時解脫에 해당하는五種 아라한과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으 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 반면에 대중부는阿羅漢無退義를 견지하는 입장으로서 역시 6종 아라한 가운 데 不時解脫阿羅漢이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진다. 이처럼 불교 교단사에서 아라한에 대한 위상과 청신한 수행의 표상이 일반적통례로 각인된 사고의 범 주를 넘어 廻小向大的 가치 접근 차원에서 불타의 본질과깨달음의 진성에 대한 宗要를 파악하고 이점 을 추구하며 부응하려는 입장과관점은 대천의 주장으로부터 시작되어 부파 간에도 다른 차원의 교학 체계를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大乘佛敎 발생 전개 과정과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아져 이에 대한 폭 넓은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The first schism in the history of Buddhism was set up by the split between Theravada(上座部), Sect and Mahasamghika (大衆部) that was also called the event of fundamental split. There are two episodes shown the cause of the first schism. One is Ten unlawful things (十事非法) said to have been advocated by the Vaiśālī monks, which led to the calling of the second Council. The evidence is appeared in the Dipavamsa and the Mah vamsa in the Theravada Tradition and in the Dasadhyayavinaya (Shih Sung Lü. ). Another is The five things fallaciously explained (五事妄語) by Mahādeva( 大天), as stated in the Kath vatthu which is appeared in the Abhidharma- Mahāvibhāsāsāstra (大毘婆沙論 ) and the Samayabhedoparacanacakrasastra (異 部宗輪論) etc. Ten unlawful things is a kind of debate on the interpretation of Vinaya among monks at that time. While inevitably disagreeing on points of details, they nevertheless agree on roughly the following. In contrast to this, Mahādeva’s five points were essentially regarding doctrines of the fallibility and imperfection of arhats, which were opposed by some. These “five points” were about the five weaknesses of Arahants accepted by Mahādeva. The five points as formulated by later commentators were as follows: (1) Arhats can still be led astray by others (餘所誘); (2) Arhats are still subject to ignorance―not ‘defiled ignorance’ (avidyā) but of the lesser kind known as ‘undefiled ignorance’ (akliṣṭa ajñāna) (無知); (3) Arhats are still subject to doubt (kāṇkṣā) (猶豫) and (4) can be instructed and informed by others(他令入); (5) entry into the Noble Path (ārya-mārga) by an Arhat can be accompanied by a vocal utterance (vvacībheda), an artifice meant to generate the appearance of the Path(道因聲故 起). The Arahant, however, is a person who has eliminated all the unwholesome roots which underlie the fetters who upon decease will not be reborn in any world, since the bonds (fetters) that bind a person to the samsara have been finally dissolved. The Arahant knows monastics to achieve Nirvana in one of four ways: one develops insight preceded by serenity, one develops serenity preceded by insight, one develops serenity and insight in a stepwise fashion, one's mind becomes seized by excitation about the dharma and, as a consequence, develops serenity and abandons the fetters. The four stages in Buddhist practice are Sot panna, Sakadagami, Anāgāmi and Arahant. Eventually,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are the four progressive stages culminating in full enlightenment as an Arahant. These five points were essentially regarding doctrines of the fallibility and imperfection of arhats, which were opposed by some. In this account, the majority (the Mahāsāṃghikas) sided with Mahādeva, and the minority (the Sthaviras) were opposed to it, thus causing a split in the Sa gha. As a result, Mahādeva preached the ‘five points” causing the schism between the Sthavira and Mahasanghika schools. This schism between two schools in due course leads the different interpretation on the Buddhahood. The Buddhahood in the Theravada tradition is regarded as the Buddha who was a human being possessed physical body and the enlightenment between the Buddha and Arahants are no more different with whom, only silent knowledge remains. It is a coming to rest, a consciously experienced bliss.. In my opinion, it would be said that the interpretation is extremely inclined to technical style. On the other hands, the Mahāsāṃghikas interprets that the Buddhahood can be embraced various buddhahoods which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Buddha as the Dharmakāya. The Dharmakāya. (truth body or reality body) constitutes the unmanifested, “inconceivable” (Sanskrit: acintya) aspect of a Buddha, out of which Buddhas arise and to which they return after their dissolution. Given this interpretation, the nirvana of the Buddha is seen as a conscious exercise of compassion where the Buddha knowingly seeks ways to help others attain nirvana. In this form of nirvana, which exhibits a positive character and represents conscious unity with all beings, the individual continues in force. Whereas Arahants are limited in their communicative skills, the Buddha can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beings in many other realms of existence, as well as with people from many different walks of life. This skill singles him out as “the teacher of devas and humans.” Thus, we can see the respects, in which the Buddha and Arahants share certain qualities in common, above all their liberation from all defilements and from all bonds connecting them to the round of rebirths. And we also see how the Buddha is distinguished from his disciples, namely: by the priority of his attainment, by his function as teacher and guide, and by his acquisition of certain qualities and modes of knowledge that enable him to function as teacher and guide. This different interpretation is a foundational cause to develop Mahayana Buddhi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a need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4-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 KCI등재 |
2016-0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14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