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꿈하늘」의 새로운 읽기-역사담론을 중심으로- = New Interpretation of “Dream Heaven”-Focusing on Discourse of Hist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 근현대사 연구(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7-324(2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Most of researchers still focus on researching revised edition of Complete Collection of Danjae Shin Chae-ho. However revised edition which is based on A Fierce Battle between Dragon and Dragon. in North Korea, had some of its original text removed, eliminated or reconstituted. It is clearly emerged by comparing with the book Literary Miscellany of Shin Chae-ho which transcribed Shin Chae-ho’s posthumous work. Some parts of “Dream Heaven” had been eliminated at first because the editors in North Korea such as Ahn Ham-gwang, Ju Ryoung-gul and etc considered historic discourse of it unnecessary in “Dream Heaven”.
However even the researchers didn’t know the importance of the part which had been eliminated. Is the part which had been removed unnecessary and unneeded? Is there no need to restore or research what had been removed? In this study, I went through what had been removed in Dan Jae’s posthumous work “Dream Heaven” and newly interpreted it.
After “Dream Heaven” was written in 1916, it had been underground until it came to light in 1964. Dan Jae made clear the geological boundary in Korea and pursued to systematize the independent national spirits. He clarified the boundary of Baek Jae and Old Korea with Shinjibisa(神誌祕詞) and Namjaesoe(南齊書). It has its own meaning in recalling and clarifying our forgotten or disappeared territory. In addition, he emphasized our independent Nangga(郞家) idea in our history and make clear historical system of Hwarang.
Thus, the part which had been eliminated is another important axis in considering history of discourse and composition of literary work. It not only materialize the narration of the work left now, but also emphasize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work, so it must not be ignored or removed.
Rather, we should present posthumous work “Dream Heaven” as it is. Besides, Danjae is a kind of person who hated and strongly opposed to modifying his work more than anyone. Meanwhile, this work has to do with a secret called Jindan-guboen-gukdo(震檀九變局圖). Danjae appended his interpretation about Jindan-gubeon-gukdo in “Dream Heaven”. That is; Today is the forth state and sycophant has gained power for centuries, however nationalism will get its power sooner or later. Also, that nationalism will achieve its goal with religious warrior spirits. Still, a stain of disobedience is remaining just like what Danjae described. That’s why we can get peace only from nationalism. What Danjae said still stands today, after 100 years.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여전히 개정판 『단재신채호전집』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런데 그것은 북한의 『룡과 룡의 대격전』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텍스트가 삭제 및 탈락, 그리고 재구성되기도 했다. 그것은 신채호의 유고를 필사한 『신채호문학유고선집』과 비교해보면 자세히 드러난다. 「꿈하늘」은 처음 안함광, 주룡걸 등 북한의 편집자들이 역사담론을 서사에 불필요한 부분으로 간주하고 탈락시켰다. 그러나 연구자들도 탈락된 부분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과연 탈락된 것은 군더더기이거나 없어도 무방한 부분인가? 탈락 부분에 대한 연구, 또는 복원의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단재의 유고 「꿈하늘」에서 탈락된 부분을 검토하여 「꿈하늘」을 새롭게 읽어보았다.
「꿈하늘」은 1916년 씌어진 이후 묻혀 있다가 1964년에 세상에 빛을 보았다. 단재는 「꿈하늘」에서 우리나라의 지리적 강역을 분명히 하고, 주체적 민족정신의 계통화를 추구했다. 그는 『신지비사』와 『남제서』를 통해 고조선과 백제의 강역을 분명히 했다. 그것은 사라지거나 잊혀진 우리의 강역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그는 우리 역사에서 자주적 낭가사상을 강조했고, 화랑의 역사적 계통을 밝혔다.
그러므로 현재 탈락된 역사 담론 부분은 작품 구성에 또 다른 하나의 축이며, 남아있는 작품의 서사를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의식을 강화하고 더욱 분명히 해준다는 점에서 결코 무시하거나 배제해선 안 된다. 오히려 「꿈하늘」 유고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물며 단재는 자신의 원고에 함부로 손대는 것에 대해 누구보다 강하게 반발하고 싫어했던 인물이 아닌가.
한편 이 작품은 ‘진단구변국도’라는 비결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단재는 「꿈하늘」에서 진단구변국도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덧붙였다. 바로 오늘날이 제4변국이며 사대주의자들의 득세로 수백 년 이어져온 역국의 여얼이 남아있지만, 곧 국수주의의 순국이 전개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국수주의는 종교적 무사혼을 통해 달성되리라 했다. 한놈이 도령군 놀음곳을 직접 찾아가는 것도 그러한 정신의 반영이다. 지금도 단재의 표현처럼 여전히 역국의 여얼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오롯이 민족주의(국수주의)를 통해 순국을 맞이할 수 있다. 단재의 말은 100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2 | 1.67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