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부수립기 이상적 ‘여성공민’ 상의 성격과 인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5-187(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일제강점기 조선은 군국주의 독재 하에 있었다. 미군정은 이러한 조선의 정치체제를 변화시켜 자 본주의와 ‘미국식 민주주의’를 이식하고, 친미정권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미군정은 보 통선거를 실시하여, 조선에 새 정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여성에게도 참정권이 부여되어, 남성과 같이 ‘공민’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여성이 참정권을 가지게 되면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 가 정과 국가에서의 지위 또한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1945년 해방 후 들어선 미군정은 여성에 게 참정권을 부여하고, 공민교육을 실시하였다. 이시기 공민교육은 공민교과서는 일제의 그것과는 달리 남녀용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남녀 모두 일반적 공민교육을 받아야한다는 의식의 반영이었다. 따라서 여성에게도 ‘공민’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이 강조되었다. 공민은 참정권을 통해 정치적인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여성에게도 정치교육이나 민주주의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여 성의 ‘근본적’인 역할은 여전히 가정을 지키며, 남편내조와 아이 육아에 힘쓰는 현모양처상을 크 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정부수립기 정부 인사들은 표면적으로 어떤 분야든지 여성의 사회진출에 장 애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들 역시 여성의 ‘사명’은 가정을 돌보고, 아이를 키우 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정부가 여성을 남성의 보조자가 아닌 한사람의 공민으로 인식하고, 어떤 분야라도 여성이 활동하는데 차별을 두지 말아야한다고 표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 다. 한편, 정부수립기 남성과 여성 모두는 이상적 ‘여성공민’은 개인보다는 국가와 민족에 대해 생 각하고 희생적인 현모양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여성’의 역할에 대한 남녀의 인식에 는 차이가 있었다. 남성들은 여성의 정치·사회적 진출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또 한 여성의 참정권 획득과 여성의 정치참여에도 부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이에 비해 여성은 참정권을 바탕으로 정치적 입지를 넓히고, 보다 폭넓은 사회참여를 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정치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와 노동 분야에도 참여할 수 있 기를 희망했다. 여성들은 이에 필요한 실력을 기르기 위해 여성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 러한 활동을 통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실력을 가지고, 정치와 사회, 경제 등의 분야에서 남녀평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정부수립기 여성 역할은 일제강점기와 같이 가부장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으로서 인정받고, 남성과 동일한 정치교육을 받게 되었다. 또한 명분상으로나마 사회진출의 폭도 넓게 인정되었다. 이것은 여성들의 인식에도 일정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참 여가 가능하게 되자 여성들은 미약하나마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경제 및 노동시장 진입의 폭을 넓히기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이후 여성의 정치, 경제적 지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Joseon was under militaristic autocracy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the U.S. military government’) wanted to transform the political system of Joseon to transplant capitalism and 'American democracy' and establish a pro-American government. Therefore,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establish a new government in Joseon by holding a general election. And women were given suffrage and were recognized as civil citizens like men. As women became eligible for suffrage,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and the status of families and countries also chang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entered the country after liberation in 1945, granted women suffrage and provided civil education. Public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was not separate from Japanese textbooks for men and women. This was a reflection of the sense that both men and women should receive general civil education. Therefore, women were also emphasized thei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as 'civil citizens'. Political education and democratic education were also essential for women because the public should play a political role through suffrage. However, the 'fundamental' role of women was not far removed from the present condition of husband support and child care.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said that there should be no obstacles to women's advance into society in any field on the surface. But they, too, perceived women's mission as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and raising childre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government at that time recognized women as citizens of one person, not assistants of men, and expressed that no discrimination should be made in w omen's activities in any field. On the other hand, both men and women in the government's establishment recognized ideal 'female citizens' as being more thoughtful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than individuals and as a sacrificial presen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s perception of the role of 'civilian women'. Men were very negative about women's political and social advancement. She also showed negative attitudes toward women's suffrage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By comparison, women expected to expand their political presence based on suffrage and participate in a wider range of social activities. They also hoped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and labor sectors as well as in politics. Women believed that women's education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skills needed for this. It was also believed that these activities would enable women to have equal skills as men and achiev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politics, socie ty, and economy. The role of women in government-establishment was based on patriarchal awareness, such as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as citizens and received the same political education as men. In addition, the scope of social advancement was widely recognized for justification. This seems to have brought about a certain change in women's perceptions. When political participation became possible, women began political activities even if they were weak. It also recognized the need for education to expand the scope of entry into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s. This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aise women's political and economic statu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 | 1.34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