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n Eco-friendly Theme Integration Program in Agricultural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9(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는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읍면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D초등학교 3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1년 3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2개월에 걸쳐 텃밭 일구기를 시작으로 모종 심기, 물주기, 식물 관찰하기 등의 텃밭 가꾸기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건강한 흙, 소중한 물, 깨끗한 공기, 함께 라서 아름다운 우리’라는 4개의 주제로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16차시 실시하였다. 이상덕(2011)이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경 감수성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Statistics 프로그램으로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결과 검증을 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생각과 행동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텃밭 환경 일기, 행동 관찰, 활동 소감 나누기, 그림 등의 질적 자료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대한 사후 검사 전체의 평균은 4.83으로 사전 검사 점수 전체의 평균 3.89에 비하여 0.94점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 수준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환경 감수성의 하위 영역으로는 자연에 대한 관심, 자연과의 접촉, 감정이입, 자연이나 사람과의 상호 작용, 환경 보전하려는 실천 의지가 있는데 모두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인 텃밭 환경 일기, 활동 학습지, 그림, 활동 소감에 환경 감수성의 하위 영역인 자연에 대한 관심, 자연과의 접촉, 감정 이입, 자연이나 사람과의 상호 작용, 환경 보전하려는 실천 의지가 잘 나타나 있었다.
더보기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vegetable garden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hirteen 3rd-grad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a suburban village of Jeju Self-governing Province. For nearly over two months from March 10 to April 30, 2021,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such as planting saplings, watering and observing plants were carried out starting with raising a mound for the vegetable garden. Then it was followed by 16 sess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nder the four themes – healthy earth, precious water, clean air and ‘we belong together’. Pre-and post-environmental sensibility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created by Lee Sang-deok (2011), and the result of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paired t-test through i-Statistics program with a significant level of p<.05. Besides,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hange in thoughts and behavior, qualitative data including vegetable gardening diary, behavior observation, shared activity impressions, site drawings, etc.,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is develop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 entire averag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 was 4.83 for posttests, 0.94 higher than 3.89, which was the entire average for pretest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 p<.05. Subareas for environmental sensibility include interest in nature, contact with nature, empathy, interaction with nature or people and practical will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l of which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 Second, students’ activity results, such as vegetable garden’s environment diary, activity workbooks, site drawings and activity impressions, well reflected the subareas of environmental sensibility – interest in nature, contact with nature, empathy, interaction with nature or people, and practical will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7 | 1.367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