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제사 너머의 경제사 쓰기: 2000년대 이후 일제시기 경제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 Writing Economic History Beyond Economic History: Trends and Prospects of the Study of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the 2000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진행된 일제시기 경제사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관련 연구가 ‘경제사 너머의 경제사’를 향해 점차 변모하고 있음을 주장했다. 이 글이 규명한 주된 변화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식성 보다는 다양성에 대한 추구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론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 또는 신고전주의경제학 등 몇몇 이론에 국한되어 있던 과거의 틀을 넘어, 기후위기・경기침체・불평등이라는 현재 상황을 반영한 다양한 대안경제학 논의가 수용되었다. 이를 통해 경제사 연구가 ‘경제사’라는 기존의 범주를 뛰어넘어, 정치사・사회사・일상사 등으로 그 영역을 크게 확장하는 양상이 강해졌다.
      둘째, 토지・자본・노동이나 자본주의화의 기원, 성장률 등의 기존 주류경제학 이론의 틀에 한정된 논점들에 대한 관심이 감소했다. 이를 대신해, 구체적 지역・상황・사건의 맥락에 초점을 둔 ‘일상의 경제사’에 대한 연구가 크게 늘어났다.
      셋째, 연구자료 역시 기존에는 정책문서, 언론보도, 통계를 중심으로 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업품의서・은행대출심사자료・가계장부・일기・구술 등으로 그 폭이 뚜렷하게 확대되었다.
      종합해 보면, ‘경제성장’이라는 하나의 과녁을 향했던 도식적인 낡은 역사쓰기에서 벗어나 ‘삶으로서의 경제’라는 본질을 묻는 유연한 역사 쓰기, 즉 경제사 너머의 경제사 쓰기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안했다. 분과 간 협업・교류・논쟁의 강화, 시대적・공간적 분석 폭의 확대, 연구의 현재성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의 필요성이다. 압축성장을 뚫고 압축소멸로 향해가는 시대 속에서 일제시기 경제사 연구에 대해 다른 질문과 다른 시야가 절실하다.

      더보기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udy of the economic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since the 2000s. In doing so, it argued that related research is gradually changing towards ‘economic history beyond economic history’. The main streams of change identifi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the pursuit of diversity rather than schematism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eyond the previous framework, which was theoretically limited to a few theories such as Marxism or neoclassical economics, various alternative economic debates have been accepted,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climate crisis, economic recession and inequality. As a result, economic history research has strengthened the trend of greatly expanding its scope to include political, social and everyday history beyond the existing category of ‘economic history’.
      Second, there has been a decline in interest in issues limited to the framework of existing mainstream economic theory, such as land, capital, labour, or the origins of capitalism and the rate of growth. Instead, there has been a marked increase in research on ‘everyday economic history’, focusing on specific regions, situations and events.
      Third, research sources also used to focus on policy documents, media reports and statistics.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has been a marked widening of the scope to include corporate documents, bank loan audit data, household accounts, diaries and oral testimonies.
      Taken together, it has been possible to move away from the schematic old historiography aimed at the goal of “economic growth” and to write flexible history that asks about the nature of “economy as life”, that is, economic history beyond economic history.
      Finally, this article proposed the following task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on, exchanges and debates among departments, expand the scope of historical and spatial analysis, and think deeply about the actuality of research. In the era of compression de-growth, a different perspective is urgently needed from other issues of economic history resea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더보기
      • 1 김낙년, "論評과 答辨: 식민지기의 유업자 통계-“고용 없는 성장”인가?" 50 : 2011
      • 2 선재원, "論評과 答辨 : 식민지 공업화와 고용 없는 성장" 50 : 2011
      • 3 이영훈, "혼란과 환상의 역사적 시공(時空): 허수열의 『일제초기 조선의 농업』에 답한다" 53 : 2012
      • 4 박선경,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을 통해 본 발전국가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제에 대한 검토:1960년 중앙공무원에 대한 개괄 및 로짓분석과 성향점수매칭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1 (21): 107-132, 2015
      • 5 오타 오사무, "해방직후 어느 노동자의 일상생활 - 인천의 전기공 I씨의 일기로부터" 민족문화연구원 (57) : 305-348, 2012
      • 6 이송순, "해방 전후 전쟁기(1937~1953년) 사무직(White-Collar) 여성의 형성과 사회진출, 젠더 인식 - 조선식산은행 여자행원 사례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82) : 223-272, 2021
      • 7 김인호, "합방의 콩고물, 임시은사금" 17 : 2010
      • 8 송규진,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7) : 325-357, 2014
      • 9 정태헌, "한반도철도의 정치경제학-일제의 침략통로에서 동북아공동체의 평화철도로" 선인 2017
      • 10 이정희, "한반도 화교사" 동아시아 2018
      • 11 홍성찬, "한말・일제하의 서울 종로 상인 연구" 116 : 2002
      • 12 노상균, "한말 일제초 상공업 자본가의 분화와 식산흥업론" 연세대 2022
      • 13 홍성찬, "한말 일제 초 서울 상인과 한국 부르주아지의 기원" 55 : 2014
      • 14 강주성, "한말 식민지기 東萊郡 機張 薇洞 南平 文氏 家門의 대부 행위와 그 내용" 대동문화연구원 (113) : 637-669, 2021
      • 15 김이경, "한국・일본의 협동조합 유입・적용 경로 비교를 통한 일제하 한국 협동조합 전개의 특징" 한국협동조합학회 39 (39): 103-130, 2021
      • 16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 Ⅰ・Ⅱ" 해남 2018
      • 17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 서울대출판문화원 2012
      • 18 김낙년, "한국의 경제성장" 서울대출판부 2006
      • 19 이경란, "한국근현대사에서 공생적 관점의 도입과 협동조합운동사" 한국사학회 (116) : 339-382, 2014
      • 20 오미일, "한국근대자본가연구" 한울아카데미 2002
      • 21 안병직, "한국경제성장사" 서울대출판부 2001
      • 22 김두얼, "한국경제사의 재해석" 해남 2017
      • 23 류상윤, "한국 근현대경제사 연구에서 제시된 歷史像" 경제사학회 55 : 67-102, 2013
      • 24 이경란, "한국 근현대 협동운동의 역사와 생활협동조합" 역사문제연구소 (102) : 40-71, 2013
      • 25 오진석, "한국 근현대 전력산업사, 1898~1961" 푸른역사 2021
      • 26 강이수,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문화과학사 2011
      • 27 김근배,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문학과지성사 2005
      • 28 송규진, "통계로 보는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사" 고려대출판문화원 2019
      • 29 김인호, "태평양전쟁시기 조선에서의 생산증강 정책과 그 실상" 부산경남사학회 (52) : 149-182, 2004
      • 30 배석만, "태평양전쟁기 조선총독부의 국책조선소 건설추진과 그 귀결 —朝鮮造船工業株式會社의 사례—" 한국사연구회 (143) : 377-413, 2008
      • 31 김인호, "태평양전쟁기 조선공업과 북방엔블럭간의 경제연관에 관하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0 : 421-457, 2002
      • 32 김인호, "태평양전쟁과 조선사회" 신서원 2014
      • 33 김인호, "태평양전쟁 시기 조선에서 금속회수운동의 전개와 실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2) : 305-374, 2010
      • 34 강성현, "탈진실의 시대, 역사부정을 묻는다" 푸른역사 2020
      • 35 양지혜, "탁상 위의 유토피아— 일제하 조선 북부의 개척촌 조성과 실패 —" 수선사학회 (81) : 251-281, 2022
      • 36 양지혜, "총력전과 바다 : 전시체제기 인천항 연안의 변용" 한국역사연구회 (121) : 137-176, 2021
      • 37 김인호, "중일전쟁기 조선에서의 폐품회수정책"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7) : 169-236, 2008
      • 38 이기훈, "좌담 : 식민지근대성론의 역사와 현재" 136 : 2021
      • 39 박섭, "종합서평 : 한국근대자본가연구, 일제하 금융조합 연구" 326 : 2002
      • 40 정재정, "조선총독부철도국장 大村卓一과 朝滿鐵道連絡政策" 104 : 2007
      • 41 정예지, "조선총독부의 전력통제와 일본질소비료회사의 전력사업" 연세대 2016
      • 42 허영란, "조선총독부의 상업・무역정책" 동북아역사재단 2022
      • 43 송규진, "조선총독부의 사회경제조사 내용분석: <조선총독부통계연보>를 중심으로" 호서사학회 (80) : 1-41, 2016
      • 44 조병로, "조선총독부의 교통정책과 도로건설" 국학자료원 2011
      • 45 김인호, "조선총독부의 공업정책" 동북아역사재단 2021
      • 46 하지영, "조선총독부 해운정책과 조선우선주식회사의 항로경영" 동아대 2019
      • 47 이금도, "조선총독부 건축기구의 건축사업과 일본인 청부업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 48 정태헌, "조선철도에 대한 滿鐵 위탁경영과 총독부 直營으로의 환원 과정 및 배경" 고려사학회 (60) : 383-424, 2015
      • 49 배성준, "조선공업화에서 식민지공업으로 : 식민지시기 공업 연구의 흐름과 과제" 역사학연구소 (35) : 359-387, 2018
      • 50 배석만, "조선 제철업 육성을 둘러싼 정책조율과정과 청진제철소 건설(1935~45)" 국학연구원 (151) : 331-385, 2010
      • 51 김은실, "제주해녀의 주체성과 제주해녀항일운동" 16 : 2010
      • 52 우치다 준, "제국의 브로커들 : 일제강점기의 일본 정착민 식민주의1876~1945" 길 2020
      • 53 이태희, "제국 일본의 공업시험연구체제와 1910년대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의공업화 전략" 25 : 2013
      • 54 홍양희, "제국 일본의 ‘여공’이 된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 그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29) : 247-286, 2018
      • 55 이송희, "제3부 한국근,현대사의 재조명 : 일제하 부산지역 방직공장,고무공장 여성노동자들의 쟁의" 이화사학연구소 (30) : 365-388, 2003
      • 56 이형식, "정우회 국회의원 모리야 에이후(守屋榮夫)와 조선사회" 인문학연구원 79 (79): 283-322, 2022
      • 57 양지혜, "전시체제기 일본질소 흥남비료공장의임금규정과 ‘민족 문제’" 한국사학회 (127) : 441-486, 2017
      • 58 양지혜, "전시체제기 식민지 여성의 공적 공간 진출과 민족, 계층, 젠더― 일본인 A의 일기와 조선인 H의 일기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20) : 89-127, 2018
      • 59 정안기, "전시기 弘中商工(주)의 성장전략과 경영역량 - 성장·위기·재건을 중심으로 -" 경제사학회 53 : 39-71, 2012
      • 60 배석만, "재조일본인자본가 다테이시 요시오(立石良雄) 일가의 기업 활동" 한일민족문제학회 (32) : 5-34, 2017
      • 61 김명수, "재조일본인 토목청부업자 아라이 하쓰타로(荒井初太郎)의 한국진출과기업활동" 26 (26): 2011
      • 62 이아리, "일제하"가사사용인(家事使用人)"등장과 그 존재 양상" 60 : 2014
      • 63 주익종, "일제하 한국의 식민정부, 민간기업, 그리고 공업화" 경제사학회 35 : 63-87, 2003
      • 64 고태우, "일제하 토건업계와 식민지 개발" 연세대 2019
      • 65 최병택, "일제하 조선(경성)토목건축협회의 활동과 그 성격의 변화" 한국학연구소 (39) : 417-448, 2015
      • 66 이병례, "일제하 전시 기술인력 양성정책과 한국인의 대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 67 이기훈, "일제하 전라남도의 육상교통망 형성과 일상의 변화" 역사문화학회 13 (13): 87-122, 2010
      • 68 양지혜,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 한양대 2020
      • 69 조형열, "일제하 사회운동 연구의 방향 모색- 2000년대 이후 연구성과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 부경역사연구소 (51) : 393-431, 2022
      • 70 임수희, "일제하 부산지역 해산물 상인의 상업활동 : 石谷若松의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 2015
      • 71 고바야시 타쿠야, "일제하 도로 사업과 노동력 동원" 56 : 2010
      • 72 양지혜, "일제하 대형 댐의 건설과 ‘개발재난’: 일본질소의 부전강수력발전소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237-273, 2020
      • 73 양지혜, "일제하 기업의 항만 개발과 ‘번영’의 동상이몽 - 일본질소의 지역진출과 함흥의 항만 건설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117) : 333-362, 2020
      • 74 진관훈, "일제하 濟州島경제와 海女勞動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7 (27): 149-178, 2004
      • 75 정재정, "일제하 ‘北鮮鐵道’의 경영과 日朝滿 新幹線의 형성" 역사교육학회 (54) : 221-258, 2015
      • 76 김희중, "일제지배하의 호남선 철도에 관한 고찰" 23 : 2002
      • 77 조명근, "일제의 통계 조사와 조선인의 비판적 해석" 수선사학회 (54) : 93-117, 2015
      • 78 정재정, "일제의 조선 교통망 지배" 동북아역사재단 2022
      • 79 김경남, "일제의 식민도시건설과 자본가" 선인 2015
      • 80 송규진, "일제의 대륙침략기 ‘북선루트’・‘북선3항’" 한국사연구회 (163) : 379-413, 2013
      • 81 박우현, "일제시기 조선사업공채 발행정책과 식민지 인프라 개발" 고려대 2023
      • 82 배석만, "일제시기 조선기계제작소(朝鮮機械製作所)의 설립과 경영(1937~1945)" 인천학연구원 1 (1): 167-194, 2009
      • 83 전성현, "일제시기 조선 상업회의소 연구" 선인 2011
      • 84 고태우, "일제시기 재해문제와 ‘자선·기부문화’ - 전통·근대화·‘공공성’ -" 국학연구원 (168) : 147-184, 2014
      • 85 이명학, "일제시기 재정통계의 활용과 해석의 지형" 민족문화연구원 (75) : 387-420, 2017
      • 86 배석만, "일제시기 장항항(長項港) 개발과 그 귀결" 한국역사연구회 (117) : 363-398, 2020
      • 87 배석만, "일제시기 입전(立廛)상인 백씨 집안의 경제활동— 대창무역주식회사의 설립과 경영과정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3 (73): 113-146, 2016
      • 88 양지혜, "일제시기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의 산업공해문제와 ‘식민성’"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01-343, 2016
      • 89 손경희, "일제시기 이주일본인의 농업경영과 지역사회 변동" 선인 2018
      • 90 배석만, "일제시기 부산의 대자본가 香椎源太郎의 자본축적 활동-日本硬質陶器의 인수와 경영을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25) : 99-128, 2009
      • 91 김승, "일제시기 다사도항(多獅島港) 개발과 신의주・다사도간의 철도부설"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8) : 331-362, 2018
      • 92 이송순, "일제말 전시 총동원과 물자 통제" 동북아역사재단 2021
      • 93 배석만, "일제말 적기만(赤崎灣)추가매축 연구" 29 : 2013
      • 94 배석만, "일제말 광산업자 崔南周의 端川鑛山 개발과정과 귀결" 한국사연구회 (172) : 265-296, 2016
      • 95 허우긍, "일제강점기의 철도수송" 서울대출판문화원 2010
      • 96 조명근, "일제강점기 화폐제도와 금융" 동북아역사재단 2022
      • 97 김명수, "일제강점기 한국사회와 기업가의 탐욕: 국익과 사익의 경계에서" 한국사회이론학회 (47) : 61-95, 2015
      • 98 차철욱, "일제강점기 조선소[朝鮮牛]의 일본수출과 관리시스템" 부산경남사학회 (88) : 227-261, 2013
      • 99 김승, "일제강점기 부산항 연구성과와 과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9) : 1-33, 2013
      • 100 김예슬,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사업체와 조선인경제인 연구" 동의대 2019
      • 101 선우성혜, "일제강점기 동래 지역 조선인 경제인의 경제활동과 연고 결속" 동의대 2019
      • 102 배석만, "일제강점기 공업사연구의 쟁점과 과제" 효원사학회 48 : 1-32, 2015
      • 103 김인호, "일제강점기 경기도 배당 임시은사금의 지방비 전환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2) : 253-294, 2020
      • 104 송규진, "일제강점기 ‘식민도시’ 청진 발전의 실상" 한국사학회 (110) : 327-390, 2013
      • 105 송규진, "일제강점 초기 ‘식민도시’ 대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일본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45 (45): 201-225, 2002
      • 106 정재정, "일제 말기 京慶線(서울-경주)의 부설과 운영" 서울학연구소 (64) : 215-257, 2016
      • 107 김양섭, "일제 강점기 인천 성냥공장 여성노동자의 동맹파업" 역사문화학회 17 (17): 289-328, 2014
      • 108 임혜영, "일제 강점기 완주지역의 환경변화와 농민 대응" 전북사학회 (50) : 245-270, 2017
      • 109 도리우미 유타카, "일본학자가 본 식민지 근대화론 : 일제강점기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의 부당 이익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2019
      • 110 선재원, "일본질소의 임금제도-민족 간 임금격차의 원인, 1936~1945-" 역사연구소 (93) : 259-284, 2018
      • 111 기유정, "일본인 식민사회의 정치활동과 '조선주의'에 관한 연구 : 1936년 이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 112 권숙인, "일본에 돈 벌러 간 이야기: 1910~20년대 일본 방직산업의 조선여공" 한국문화인류학회 52 (52): 3-45, 2019
      • 113 일본식민지연구회, "일본식민지 연구의 논점" 소화 2020
      • 114 선재원, "인재형성과 기술혁신" 해남 2022
      • 115 강진아, "이주와 유통으로 본 근대 동아시아 경제사" 아연출판부 2018
      • 116 김제정, "이미 익숙해진 새로움에서 나아가기 위한 모색: 2018~2019년 식민지기(1910~1945)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회 (247) : 51-86, 2020
      • 117 정재정, "역사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철도연결의 국제적 성격" 국학연구원 (129) : 233-279, 2005
      • 118 현재열, "역사 속의 환경과 경제 : 그 당연하지만, 불편한 관계"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8) : 1-40, 2023
      • 119 정승진, "실패한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 益山 黃登堤의 廢堤化 사례" 고려사학회 (59) : 352-384, 2015
      • 120 호사카 유지, "신친일파" 봄이아트북스 2020
      • 121 윤정란, "식민지시대 제사공장 여공들의 근대적인자아의식 성장과 노동쟁의의 변화과정- 1920년대 ~ 193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37-76, 2006
      • 122 김경림, "식민지시기 조선의 독점적 전기 수급구조와 공업구조의 기형화" 28 : 2001
      • 123 홍제환, "식민지기 회사의 생존력, 1917-1944 -『朝鮮經濟雜誌』의 회사등기 자료 분석" 경제사학회 54 : 97-130, 2013
      • 124 김제정, "식민지기 조선총독부의 조선특수성론" 부경역사연구소 (43) : 319-345, 2018
      • 125 김낙년, "식민지기 조선의 유업자: 호구조사와 국세조사" 경제사학회 48 : 125-166, 2010
      • 126 이용기, "식민지기 민중의 셈법과 ‘자율적’ 생활세계 ― 생활문서의 화폐기록을 통하여" 역사문제연구소 14 (14): 97-131, 2010
      • 127 이용기, "식민지기 농촌 지역사회의 중첩된 시간 - ‘전통적인 것’의 향방과 함의" 대동문화연구원 (96) : 111-144, 2016
      • 128 문영주, "식민지 지역사회와 조선인 자본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5) : 105-125, 2009
      • 129 안홍선, "식민지 중등교육체제 형성과 실업교육" 교육과학사 2017
      • 130 박이택, "식민지 조선의 기업지배구조: 한국인 회사와 일본인 회사의 비교" 경제사학회 49 : 39-71, 2010
      • 131 박이택, "식민지 조선에 있어 회사 자본금의 성장률에 대한 통계적 고찰" 한국학연구소 (35) : 303-327, 2010
      • 132 김명수, "식민지 조선경제와 자본가 한말 일제하 賀田家의 자본축적과 기업경영" 부경역사연구소 (25) : 5-49, 2009
      • 133 이상철,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책세상 2012
      • 134 정근식,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책세상 2012
      • 135 전성현, "식민지 도시와 철도" 선인 2021
      • 136 이준식, "식민지 근대화론이 왜 문제인가?" 66 : 2017
      • 137 전상숙,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비판적 성찰" 나남 2009
      • 138 선재원, "식민지 공업화와 유업률 감소 ―1930・1940년 국세조사의 검증과 해방 후와의 비교―" 경제사학회 49 : 115-146, 2010
      • 139 전성현, "식민자와 조선 - 일제시기 大池忠助의 지역성과 ‘식민자’로서의 위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271-316, 2013
      • 140 허영란, "시가지 개조를 둘러싼 지역주민의 식민지 경험 : 안성의 철도・시장・공원 그리고 지역주민" 17 : 2007
      • 141 조정우, "사회학적 시각을 통한 기업사 연구의 재정향: ‘기업집단’ 프레임과 ‘국책회사’ 분석" 국제지역연구원 23 (23): 5-39, 2016
      • 142 배석만, "부산항 매축업자 이케다 스케타다(池田佐忠)의 기업 활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2) : 127-170, 2012
      • 143 김동철, "부산의 유력자본가 香椎源太郞의 자본축적과정과 사회활동" 역사학회 (186) : 59-86, 2005
      • 144 주윤정, "보이지 않은 역사" 들녘 2020
      • 145 조수룡, "발전이라는 매트릭스 –한국현대사 연구의 발전 패러다임에 대한 성찰 -" 한국역사연구회 (100) : 359-396, 2016
      • 146 전강수, "반일종족주의의 오만과 거짓" 한겨레출판 2020
      • 147 정혜경, "반대를 론하다" 선인 2019
      • 148 칼레 라슨, "문화 유전자 전쟁 : 신고전파 경제학의 창조적 파괴" 열린책들 2014
      • 149 김인호, "마지 못한 개발, 일제강점기 경성은사수산장의 운영과 좌절"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11) : 5-56, 2022
      • 150 전봉관, "럭키경성" 살림 2007
      • 151 강진아, "동순태호" 경북대출판부 2011
      • 152 최병택, "대한제국 시기~1920년대 일제의 수산조합 운영과 수산업침탈" 호서사학회 (51) : 105-142, 2008
      • 153 주익종, "대군의 척후" 푸른역사 2008
      • 154 고태우, "대가속의 어두움: 20세기 한국의 역사는 발전의 역사인가?" 역사학회 (257) : 1-38, 2023
      • 155 우석대 동아시아평화연구소,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푸른역사 2020
      • 156 정승진, "나주 초동동계(草洞洞契)의 장기지속과 변화, 1601~2001" 54 : 2006
      • 157 김병권, "기후를 위한 경제학 : 생태경제학 입문" 착한책가게 2023
      • 158 고태우, "기후, 날씨와도 싸워야 했던 일본제국주의, 그리고 식민지민 - 길었던 한 해, 1939년 조선 대가뭄의 양상과 그 여파 -" 한국역사연구회 (118) : 137-184, 2020
      • 159 차명수, "기아와 기적의 기원" 해남 2014
      • 160 양지혜, "근현대 한국의 광업 개발과 ‘공해(公害)’라는 느린 폭력" 역사문제연구소 (134) : 383-412, 2021
      • 161 이연경, "근대적 도시가로환경의 형성-1896년~1939년 종로 1,2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11) : 7-36, 2014
      • 162 오미일, "근대 한국의 자본가들" 푸른역사 2014
      • 163 김웅기, "근대 열강의 식민지 통치와 국민통합" 동북아역사재단 2010
      • 164 이승렬, "근대 시민의 형성과 대한민국" 그물 2021
      • 165 이대근, "귀속재산연구" 이숲 2015
      • 166 양지혜, "국내 사회운동과 여성독립운동가" 역사공간 2021
      • 167 이상의, "구술로 보는 일제의 강제동원과동양방적 사람들" 인천학연구원 1 (1): 123-186, 2022
      • 168 이가연, "개항장 일본인 자본가 연구" 동아대 2017
      • 169 허수열, "개발없는개발" 은행나무 2005
      • 170 김미정, "강제동원을 말한다 : 잊혀진 여성들, 기억에서 역사로 일제말기 여성노무동원" 선인 2021
      • 171 양지혜, "가면을 따라 걷기 전시체제기 어느 전화교환수의 일기(1941~1942)와 피식민지민의 ‘내면’" 역사문제연구소 21 (21): 175-227, 2017
      • 172 李光宰, "韓國電力業の起源" 柘植書房新社 2013
      • 173 谷川竜一, "電気技術者・森田一雄と水力発電-植民地朝鮮の開発前史として-" 37 : 2017
      • 174 林采成, "金剛山電鉄における電力・鉄道兼業体制の成立とその経営成果" 297 : 2018
      • 175 나가사와 카즈에, "近代鉱業と植民地朝鮮社会 :李鐘萬の大同鉱業と雑誌『鉱業朝鮮』を中心に" 일본학연구소 (29) : 185-208, 2016
      • 176 谷川竜一, "近代日本の空間編成史" 思文閣出版 2017
      • 177 정승진, "益山 金馬 두레와 近代 共同體論" 대동문화연구원 (80) : 531-561, 2012
      • 178 加藤圭木, "植民地期朝鮮の地域変容 : 日本の大陸進出と咸鏡北道" 吉川弘文館 2017
      • 179 梁知惠,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日本窒素の水力發電所建設と「開發難民」問題" 9 : 2019
      • 180 加藤圭木,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イワシ漁業・加工業と統制政策(1923-1931)" 9 : 2019
      • 181 사카모토 유이치, "植民地期 朝鮮鐵道에 있어서 軍事輸送 : 시베리아출병, 만주사변과 부산을 중심으로" 28 : 2006
      • 182 高成鳳, "植民地の鐵道" 日本經濟評論社 2006
      • 183 배석만, "朝鮮重工業株式會社의 戰時經營과 해방 후 재편과정" 부산경남사학회 (60) : 221-268, 2006
      • 184 加藤圭木, "朝鮮植民地支配と公害-戰時期黃海道鳳山郡を中心に-" 61 : 2014
      • 185 林采成, "戰時經濟と鐵道運營" 東京大學出版會 2005
      • 186 정안기, "戰時期 조선경제와 鐘紡콘체른" 경제사학회 35 : 89-134, 2003
      • 187 정안기, "戰時期 鍾紡그룹의 多角化 戰略과 平壤製鐵所" 한국경영사학회 26 (26): 155-179, 2011
      • 188 정안기, "戰時期 日本鋼管(주)의 조선 투자와 경영 - 원산제철소 건설과 경영활동을 중심으로 -" 경제사학회 51 : 31-58, 2011
      • 189 김인호, "‘조선총독부의 꽁돈’, 경상남도 배당 지방 임시은사금 연구" 부경역사연구소 (46) : 167-212, 2020
      • 190 이형식, "‘조선의 전기왕’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와 조선사회" 동양사학회 (145) : 171-211, 2018
      • 191 전성현, "‘조선관계대의사’ 사토 준조(佐藤潤象)와 식민지 조선의 개발사업" 한국근현대사학회 (101) : 73-105, 2022
      • 192 松本武祝, "‘전후’ 일본에 있어서의 조선근대경제사연구의 계보" 역사문화연구소 (53) : 77-100, 2015
      • 193 정진성, "‘경제학’으로서의 경제사 연구: 『일본경제의 역사』근대 1.2권의 서평" 경제사학회 43 (43): 249-283, 2019
      • 194 広瀬貞三, "‘満州国’における水豊ダム建設" 6 : 2003
      • 195 Josheph Seeley, "Forces of Nature: New Perspectives on Korean Environments"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
      • 196 선재원, "Emerging of New Korean Manpower Generation Post WWII, 1945-1963" 부경역사연구소 (42) : 485-502, 2018
      • 197 Seohyun Park, "Damming the Nation: How Engineers Transformed Rivers into Water Tanks for Modern South Korea" Virginia Tech 2022
      • 198 Aaron Stephen Moore, "Constructing East Asia: Technology, Ideology, and Empire in Japan’s Wartime Era, 1931-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 199 정승진 ; 마츠모토다케노리, "Case Report on Flood Disasters in 20th-Century Korea: Focusing on the Dongjin-River and Imjin-River Basins" 한국과학사학회 43 (43): 341-372, 2021
      • 200 이성호, "1960년대 기업전략과 작업장 환경 변화 : 『인천일기』에 나타난 주물 작업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41-66, 2017
      • 201 방기중, "1940년 전후 조선총독부의 ‘신체제’인식과 병참기지 강화 정책-총독부 경제지배시스템의 특질과 관련하여-" 국학연구원 (138) : 97-152, 2007
      • 202 정안기, "1930년대 조선형 특수회사, 「조선압록강수력발전(주)」의 연구" 중앙사학연구소 (47) : 5-57, 2018
      • 203 박우현,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사설철도 매수 추진과 특징" 역사문제연구소 21 (21): 67-114, 2017
      • 204 이상의, "1930년대 조선총독부 식산국의 구성과 공업화정책-상공과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40) : 88-117, 2007
      • 205 배석만, "1930년대 부산 적기만(赤崎灣) 매축 연구" 28 : 2012
      • 206 정안기, "1930년대 電力國策, 「朝鮮送電(주)」의 연구" 국학연구원 (166) : 183-226, 2014
      • 207 방기중, "1930년대 朝鮮 農工倂進政策과 經濟統制" 국학연구원 (120) : 75-123, 2003
      • 208 谷川竜一, "1930年代の朝鮮半島における水力発電所建設技術と建設体制: 帝国の建設協働体」試論" 51 : 2018
      • 209 김명수, "1920년대 한성은행의 정리와 조선인 CEO 한상룡의 몰락" 역사문제연구소 16 (16): 175-218, 2012
      • 210 최병택, "1920년대 초∼1930년대 전반기의 하천개수사업과 토목청부업 비리" 한국사학회 (118) : 309-354, 2015
      • 211 하지영, "1920년대 전반기 군산의 일본인 阪上貞信의 제국의회 진출과 활동" 석당학술원 (81) : 61-99, 2021
      • 212 배석만, "1920~30년대 白潤洙집안의 大昌織物株式會社 설립과 경영 -일제시기 전통상인의 산업자본 전환과정 분석-" 고려사학회 (64) : 253-283, 2016
      • 213 오선실,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전력시스템 전환: 기업용 대형 수력발전소의 등장과 전력망 체계의 구축" 한국과학사학회 30 (30): 1-40, 2008
      • 214 염복규, "1910년대 전반 京城 도심부 간선도로망의 형성 과정과 의미" 한국사학회 (96) : 267-303, 2009
      • 215 이수연, "1890-1950년대 청부업의 도입과 근대 건설업의 형성" 서울대 2021
      • 216 김재호, "'내재적 발전론'에서 '경제성장론'으로: 근현대 한국경제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경제사학회 46 (46): 35-88,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