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2021~2022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내재적 발전론을 넘어 구조사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한 과도기적 노력들 - = Status and challenges of late Joseon research in 2021~2022 - Transitional Efforts to Set a New Direction for Structural History Beyond Internal Development Theory -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지금까지 2021~2022년 사이 국내 학계에 발표된 조선후기사 연구동향을 주요 논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야별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발전론의 시각으로 보아온 주요 개념들을 재고 혹은 비판하는 연구들이 발표된 점이다. 둘째, 최근 기후위기와 재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조선후기사 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전염병, 연료 소비, 동물생태에 관한 논문이 발표된 점이다. 셋째, 문헌·유물자료의 발굴 및 인접분야 연구 활성화로 2021~2022년 사이 많은 사상사·문화사 논저들이 발표된 점을 들 수 있다.
      다소 산발적인 개별 연구들이 일관된 조선후기상을 그리고 있지 않더라도, 분야사의 공백과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개별 연구들이 탄탄히 축적된다면, 이는 구조사를 새롭게 예비하는 중요한 자양분이 되리라 생각한다. 다만, 매년 쏟아져 나오는 방대한 실증 연구의 문제의식과 논점을 공유할 수 있는 학술 공론장을 조성하고, 후속세대를 고려한 건전한 학술생태계를 만들어가려는 장기적인 노력 역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In this article, we have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in late Joseon history published in Korean academia between 2021 and 2022, focusing on major paper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by field, we summariz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studies that reconsider or criticize major concepts that have been viewed through the lens of internal development theory have been published.
      Second,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interest in climate crises and disasters has recently increased, papers on epidemics, fuel consumption, and animal ecology have also been published in late Joseon studies. Third, many papers on the history of ideas and culture were published between 2021 and 2022 due to the excavation of literature and artifacts and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adjacent fields.
      Even if the somewhat sporadic individual studies do not paint a coherent pic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f individual case studies would be solidly accumulated, it will be an important nourishment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Joseon society. However, long-term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n academic forum for sharing the problems and arguments of the vast amount of empirical research that pours out every year, and also try to create a healthy academic ecosystem that considers the next generation.

      더보기
      • 1 설현지, "황익재(黃翼再, 1682~1747)의 사창 시행과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80) : 217-247, 2022
      • 2 김종수, "화산(華山) 정규한(鄭奎漢)의 ‘화산 향약(鄕約)’과 향촌 자치 구상" 민속학연구소 (3) : 177-207, 2022
      • 3 이동규, "함경도의 소수 집단, 재가승(在家僧) 연구 -재가승에 대한 기록과 정책을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소 47 : 97-132, 2021
      • 4 조양원, "한문본 『戊午燕錄』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59 : 377-410, 2021
      • 5 김덕진, "한글가사 「임계탄」을 통해 본 ‘신임계 대기근’" 호남사학회 (84) : 223-256, 2021
      • 6 김덕진, "포구의 지역경제사" 선인 2022
      • 7 진호신, "태안 신진도 고가(古家) 발견 유물의 종류와 성격" 국립해양유산연구소 (16) : 261-298, 2022
      • 8 강경윤, "충청우도 무반가 자료의 사례연구 - 결성 담양전씨 가문의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35 : 2021
      • 9 유 기, "추사 김정희의 간찰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1
      • 10 김재호, "청송 주산지(注山池)의 역사와 수리(水利)공동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7) : 419-450, 2022
      • 11 김순석, "척암 김도화의 현실인식과 의병항쟁" 한국국학진흥원 21 : 2022
      • 12 백광열, "족보를 활용한 조선후기 인구현상의 이해— 전주이씨 『선원속보(璿源續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33) : 141-178, 2022
      • 13 김동근, "조조의(朝祖儀)의 공간 및 설행에 대한 논의와 그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44 (44): 121-148, 2021
      • 14 김정운, "조정(趙靖, 1555~1636)의 일기를 통해 본 전쟁 속 일상과 가족" 영남문화연구원 (76) : 31-67, 2021
      • 15 유현재, "조선후기‘상품 화폐경제’에 대한 이해 검토 -화폐의 기능을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46) : 69-89, 2021
      • 16 이연주, "조선후기 회화 주문제작의 확산과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177-212, 2022
      • 17 도주경, "조선후기 함경도 사노비의 존재양태와 국가 정책" 한국역사연구회 (125) : 355-395, 2022
      • 18 김미성, "조선후기 한강 송파지역의 군사적 의미와 장시(場市) 개설"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22) : 117-160, 2022
      • 19 박범, "조선후기 평안감영 재원의 성격과 물류의 추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4) : 35-68, 2021
      • 20 문광균, "조선후기 충청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금강 일대 군현의 세곡운송" 한국사연구회 (198) : 147-182, 2022
      • 21 문광균, "조선후기 충청도 안흥첨사의 위상과 재임실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20) : 173-224, 2021
      • 22 남소라, "조선후기 찬합의 제작과 사용양상" 한국미술사학회 310 (310): 5-37, 2021
      • 23 심재우, "조선후기 진주 대곡 마진마을의 역사와 동림(洞林) 갈등"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00) : 131-158, 2022
      • 24 이훈상, "조선후기 중인의 지방 파견제도와그 실상― 심약・왜학・한학・화원・사자관・검률의 통제영 파견에 관한 사례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13) : 495-539, 2021
      • 25 조정곤, "조선후기 제주 於道 晉州姜氏家 雇工의 존재 양상 -강우석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66) : 39-76, 2021
      • 26 김명자, "조선후기 전주류씨 함벽당涵碧堂의 관계망과 그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44) : 371-403, 2021
      • 27 김재호,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28 권기석, "조선후기 의관(醫官) 가문의 인원 구성과 계보적 연계 -『의역주팔세보(醫譯籌八世譜)』 수록 인원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30 (30): 221-275, 2021
      • 29 나영훈, "조선후기 율과입격자의 친족 네트워크과 결속" 한국국학진흥원 (45) : 115-152, 2021
      • 30 이현진, "조선후기 왕후 국상과 後金⋅淸의 弔問" 동양고전학회 (84) : 173-223, 2021
      • 31 구혜인,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酒器)의 종류와 운용체계-의궤의 기용도(器用圖)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40 : 133-183, 2021
      • 32 서지영, "조선후기 여악의 민간 활동과 기(妓)·창(娼)의 분화 -명명과 분류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36) : 59-100, 2022
      • 33 조영준, "조선후기 시장과 상업의 장기 변동에 대한 재검토: 18-19세기 場市 통계를 중심으로" 경제사학회 45 (45): 239-264, 2021
      • 34 명경일, "조선후기 승정원일기의 구성과 편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 35 이병훈, "조선후기 선산 금오서원의 건립과 운영" 민족문화연구소 (78) : 45-79, 2021
      • 36 정수환, "조선후기 서얼의 마을 개발과 결속 - 경주 여주이씨 옥산동 동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0) : 195-229, 2022
      • 37 전지원, "조선후기 사족여성 생애자료에 나타난 여성노동 담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 38 정수환, "조선후기 분재와 가정경영 그리고 지역사회 -밀양 3개 사족 가문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79) : 759-792, 2021
      • 39 최경화, "조선후기 백자 모란문의 연원 및 전개양상" 한국문화연구원 42 : 245-311, 2022
      • 40 우인수, "조선후기 무과급제자의 義務 赴防制와 그 운영 실태" 역사교육학회 (80) : 349-394, 2022
      • 41 홍해뜸, "조선후기 목민서 『先覺』의 편찬과 수령정치론" 국학연구원 (199) : 175-207, 2022
      • 42 김미성, "조선후기 면주전의 장례 부조 대상과 방식" 서울역사편찬원 (107) : 99-140, 2021
      • 43 조영준, "조선후기 면주전의 인센티브 체계 - 포상 및 처벌의 규정과 실제 -" 한국고문서학회 60 : 127-159, 2022
      • 44 신영문,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의 추이와 禿山城의 위상변화" 백산학회 (119) : 41-70, 2021
      • 45 배상현, "조선후기 김해지역의 민간 구빈(救貧) 활동 -金富善 夫婦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79) : 449-482, 2021
      • 46 최윤희 ; 이은주, "조선후기 궁중 무고舞鼓 여령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국학진흥원 (49) : 295-343, 2022
      • 47 김미성, "조선후기 국용 목재 유통업자들의 관계망" 한국역사연구회 (124) : 317-356, 2022
      • 48 김경란, "조선후기 국가의 妓女 파악실태와 편제방식 - 慶尙道 大丘府 監營소재지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44) : 353-386, 2021
      • 49 여영기, "조선후기 관학(館學) 기재생(寄齋生) 제도 연구" 교육사학회 31 (31): 59-94, 2021
      • 50 이재두, "조선후기 관찬읍지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 51 김호,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자선(慈善) 의국(醫局) 구상 - 홍길주의 용수원(用壽院)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88) : 1-36, 2022
      • 52 권기중, "조선후기 경주 최부자댁의 가족구성과 노비경영 — 호구단자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6) : 235-257, 2021
      • 53 박소희, "조선후기 경상우도 사족의 分化와 動向"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 54 정성학, "조선후기 경상도 향리의 향직 계승과 지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 55 백지국, "조선후기 경상도 창원부 재지사족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 56 김강식, "조선후기 경상도 주민의 일본 표착과 송환"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6) : 129-166, 2022
      • 57 김병륜, "조선후기 거북선의 종류와 특징"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34 : 2021
      • 58 전상욱, "조선후기 강원도지역의 貢納制 개혁과 大同·詳定法 시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 59 임호민, "조선후기 강릉지방 서원 건립과 운영에 따른 향전" 역사문화학회 24 (24): 187-211, 2021
      • 60 김보람, "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61 박현순, "조선후기 蔭官의 初入仕 임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345-389, 2021
      • 62 조영준, "조선후기 綿紬廛 大房의 齋錢과 禮錢 운영 - 護喪所 자료의 실증 분석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7) : 299-336, 2022
      • 63 이승민, "조선후기 求貿를 통한 동물류 교역의 실태와 의미" 역사와교육학회 (35) : 209-239, 2022
      • 64 김인경, "조선후기 慶州 金門의 정치활동과 역사문화공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 65 장정수, "조선후기 姜弘立에 대한 적대적 평가의 형성 배경" 호서사학회 (98) : 81-122, 2021
      • 66 이경동, "조선후기 四忠書院의 건립과 운영" 한국서원학회 (15) : 285-316, 2022
      • 67 신세완, "조선후기 中江開市의 운영 양상과 매매물화" 효원사학회 61 : 169-208, 2022
      • 68 차인배, "조선후기 ‘치도형(治盜刑)’의운영과 폐지 과정 -포도청(捕盜廳)의 난장(亂杖)을 중심으로-" 한국법사학회 (63) : 11-53, 2021
      • 69 홍정원, "조선의 울릉도 공도정책 (空島政策)에 대한 역사적 검증" 동북아역사재단 (24) : 139-175, 2022
      • 70 장진강, "조선시대·청대 궁중 여성 복식 문양의 조형요소 비교 연구: 관혼상제 복식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 71 구혜인, "조선시대 선잠제 제기의 구성과 의미-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12) : 87-135, 2022
      • 72 오수창, "조선시대 대비 지위와 인조반정의 재검토―계승범 교수의 『모후의 반역』 비판" 역사문제연구소 (140) : 527-557, 2022
      • 73 이연숙, "조선시대 논산지역 재지사족의 동향과 서원건립" 민족문화연구소 (81) : 241-274, 2022
      • 74 이경동, "조선시대 논산지역 서원의 운영과 특징 -遯巖書院, 魯岡書院, 竹林書院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81) : 163-196, 2022
      • 75 정대영, "조선시대 고지도 간행에 대한 試論 : 상업판매와 수요층을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4 (14): 73-92, 2022
      • 76 정수인, "조선~대한제국 시대 한성부 시전 공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 77 채홍병, "조선(朝鮮)의 대후금(對後金) 관계 추이와 정묘맹약(丁卯盟約)의 의미" 한국사연구회 (193) : 175-219, 2021
      • 78 박미선, "조선 후기 호남 양반의 西行 경로와 여행 풍경 -『서행록』에 나타난 여산송씨 가문 3代의 여정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88) : 291-330, 2022
      • 79 사오리, "조선 후기 한일 의학교류사: 통역사들의 기여와 번역서 검토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 80 송기중, "조선 후기 통제영의 군선 건조와 養松處 관리" 영남문화연구원 (78) : 205-238, 2021
      • 81 박훈평, "조선 후기 태안이씨 의관 연구 – 사맹공파를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83) : 135-160, 2021
      • 82 백지혜, "조선 후기 초상화 기법을 응용한 인물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83 방범석, "조선 후기 중앙 군영대장 인사의 특성" 수선사학회 (78) : 149-186, 2021
      • 84 강나은, "조선 후기 족보의 여성 정보 등재 추이와 그 의미 - 安東權氏族譜(1476~1907)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7 : 2021
      • 85 허형욱, "조선 후기 조각승 端應의 造像 活動과 性格에 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회 (32) : 171-202, 2022
      • 86 이홍식, "조선 후기 열부(烈婦) 염씨(廉氏) 서사의 존재 양상과 길항 관계 탐색" 한국언어문화학회 (79) : 207-231, 2022
      • 87 심민정, "조선 후기 부산에서의 표류일본인 접대- 『朝鮮漂流日記』(1819)를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2 : 73-102, 2021
      • 88 방범석, "조선 후기 문반 군영대장 임용의 양상과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8) : 225-264, 2022
      • 89 제송희 ; 김영선,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152-173, 2021
      • 90 이성훈, "조선 후기 동래 밀양변씨 화가들의 회화 활동과 동래 지역 화단 연구: 대일교역용 회화 제작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43) : 125-155, 2022
      • 91 김형수, "조선 후기 고운사의 중창과 楓潭系-조선후기 불교계의 변화와 관련하여-" 택민국학연구원 (30) : 219-248, 2022
      • 92 이종수, "조선 후기 고성 옥천사의 중창과 僧役 문서" 경남문화연구원 (76) : 259-290, 2022
      • 93 이근호, "조선 후기 功臣 錄勳의 정치적 배경" 조선시대사학회 (99) : 7-40, 2021
      • 94 최엽, "조선 중후기 왕실 도화서 화원들의 불화 제작과 그 영향" 온지학회 (68) : 9-35, 2021
      • 95 김대중, "조선 중기 벽돌 사용 담론과 조선 후기 북학론" 우리한문학회 46 : 43-93, 2022
      • 96 정해은, "조선 정조 대 훈련원 정비의 방향과 그 의미-1797년의 〈훈련원절목〉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88) : 167-195, 2022
      • 97 경석현, "조선 정조 대 관상감 겸교수 제도의 정비와 그 의미" 한국사연구회 (193) : 221-260, 2021
      • 98 권용란, "조선 왕실 의소묘(懿昭廟) 의례의 형성과 특징" 한국역사민속학회 (62) : 131-158, 2022
      • 99 한혜선, "조선 영조대 연향의궤 속 도기의 용도와 조달방식" 한국문화연구원 40 : 51-79, 2021
      • 100 나영훈, "조선 숙종대 ‘濁南’의 형성과 인적 교류- 사천목씨, 여흥민씨, 진주유씨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사학회 (46) : 345-388, 2022
      • 101 이대화, "조선 말~20세기 초 근기지역 종중재산 소유 양상에 관한 사례연구- 경기도 광주 중대동 광주안씨 종중토지 관련 고문서 자료의 재해석 -" 한국학중앙연구원 (48) : 140-165, 2022
      • 102 이다란, "조선 19세기 공예품에 나타난 단청 양식 칠보문의 의의" 국립고궁박물관 (15) : 201-222, 2022
      • 103 장안영, "제주 조선인의 안남 표류 기록과 서술적 특징" 온지학회 (72) : 9-32, 2022
      • 104 정만호, "제주 유배 관련 최익현(崔益鉉)의 기록 자료 고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15) : 53-80, 2021
      • 105 이남옥, "제주 목사 이형상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 정책" 한국국학진흥원 (47) : 263-288, 2022
      • 106 김호, "정조대의 방역(防疫): 안전과 호혜의 모색" 국립민속박물관 (49) : 5-31, 2021
      • 107 서민주, "정조대(正祖代) 승지직(承旨職) 운영과 승정원(承政院)의 정비" 한국사연구회 (194) : 269-319, 2021
      • 108 허태용, "정조대 초기 『영조실록』의 편찬과 정치적 성격" 한국사연구회 (192) : 173-203, 2021
      • 109 박경, "정조대 여성 격쟁(擊錚)의 실태와 특징" 한국여성사학회 (35) : 181-218, 2021
      • 110 정상준, "정조 대 규장각 직제 및 관원 이력 분석" 한국교육사학회 44 (44): 119-150, 2022
      • 111 김진영, "저항 장면의 형상화로서 〈십장가〉가 거둔 성취" 민족문학사연구소 (78) : 209-231, 2022
      • 112 조영준,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 저산팔읍 상무좌사 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 113 김형수, "임진왜란 직후 대구향촌세력의 재편과 갈등" 한국국학진흥원 (44) : 9-44, 2021
      • 114 장정수, "인조대 초반 御營使・摠戎使의 설치와 親明排金 정책의 기류 변화" 고려사학회 (86) : 161-206, 2022
      • 115 박기훈, "인조대 초반 ‘振武功臣’ 녹훈 과정과 군사 활동" 조선시대사학회 (98) : 175-215, 2021
      • 116 조성산, "인조대 趙翼과 崔有海의 栗谷學 변용과 경세학" 호서사학회 (99) : 129-184, 2021
      • 117 계승범, "인목대비 폐위 논쟁과 인조반정의 명분―오수창 교수의 비판에 답함" 역사문제연구소 (141) : 304-337, 2022
      • 118 김덕진, "이민서의 나주목사 부임과 부속 도서 진휼" 수선사학회 (79) : 71-96, 2022
      • 119 이기복, "의원의 서사로 본 조선 후기 의료의 사회문화적 풍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8) : 265-305, 2022
      • 120 정윤섭, "윤이후의 『지암일기』를 통해 본 죽도 별업생활과 향촌활동" 역사문화학회 24 (24): 147-185, 2021
      • 121 송양섭, "유형원 연구의 시각과 『반계수록』 읽기의 방향" 한국실학학회 (43) : 47-87, 2022
      • 122 이훈, "울릉도쟁계(元祿竹島一件)와 근세 일본의 ‘죽도’ 인식 -소위 ‘죽도 양도’ 인식을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78) : 373-440, 2022
      • 123 정성일, "외교 무대 뒤의 은밀한 물품 거래 -1811년 조선, 일본, 쓰시마-" 동아시아고대학회 (65) : 157-193, 2022
      • 124 김철배, "오수역참 양로청의 변천과 역리 가계 검토" 전북사학회 (62) : 23-48, 2021
      • 125 전경목, "옛 편지로 읽는 조선 사람의 감정"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 126 이민아, "영조대 이후 궁궐 내 세자 공간 운용과 변화의 정치적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103) : 437-471, 2022
      • 127 윤정, "영조대 이순신 사적 현창과 후손 탁용의 정치적 함의 -무신란에 따른 이념적 대책-" 한국역사민속학회 (62) : 7-36, 2022
      • 128 한바다, "영조대 義禁府都事의 직제와 구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8 : 2022
      • 129 하명준, "영조대 活人署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 역사문화연구소 (79) : 167-198, 2021
      • 130 신익철, "역주 양도팔도민은시 - 시로 읊은 18세기 조선 백성의 생활상"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 131 이정은, "에도(江戶) 초기 朝鮮通信使 이미지의형성과 위력" 대동문화연구원 (114) : 167-199, 2021
      • 132 김소라, "양안의 재해석을 통해 본 조선후기 전세 정책의 특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133 김민, "쓰시마번(對馬藩) 무역서(貿易署)의 해체 과정에 대한 연구: 조일무역관련 부채 정리 문제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27) : 182-221, 2022
      • 134 노유니아, "심수관가(沈壽官家)가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재고찰: 메이지기 일본 수출도자 산업계에 나타난 ‘사쓰마현상'을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56) : 107-138, 2021
      • 135 정재철, "신자료 『열하일기』 선행본 『연행음청기(3)·『연행음청록(4) 연구" 동양학연구원 (89) : 1-25, 2022
      • 136 소진형, "신유사옥(辛酉邪獄) 이전 천주교에 대한 국가적 대응과 그 정치적 의미 : 천주교에 대한 여론형성과 사회의 보수화적 관점에서" 한국정치사상학회 28 (28): 93-120, 2022
      • 137 황유나, "순조대 경연의 운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召對·別講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0) : 283-329, 2022
      • 138 김우진,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방어정책" 민속원 2022
      • 139 김우진, "숙종대의 문묘(文廟) 정비와 그 의의" 한국역사연구회 (119) : 165-198, 2021
      • 140 김태훈, "숙종대의 內修外攘과 대일관계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48) : 205-239, 2021
      • 141 김현지, "숙종대 諡號 수여 방식의 변화" 한국서원학회 (15) : 225-254, 2022
      • 142 김성희, "숙종 연간 조・청 관계의 맥락과 대보단의 시대적 기반" 한국학중앙연구원 44 (44): 45-78, 2021
      • 143 이근호, "숙종 대 정국 운영과 대외관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 144 원재연, "소남 윤동규(1695~1773)의 도남촌 공동체 활동" 역사실학회 (77) : 127-163, 2022
      • 145 채광수,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상주 道南書院의 詩會를 중심으로" 한국서원학회 (12) : 7-48, 2021
      • 146 강지은,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푸른역사 2021
      • 147 정해은, "새 발굴 자료 『선고일기(先考日記)』의 특징과 가치 -노상추・노철 부자의 일기 쓰기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80) : 5-44, 2022
      • 148 문준영, "사형 판결 없는 살옥죄인의 처리와 징벌: 19세기 살옥사건 심리ㆍ처결의 경향과 특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8) : 307-368, 2022
      • 149 김소라, "불과 물: 조선후기 이상저온 현상 속 한성부의 온돌 확산과 청계천 준설" 조선시대사학회 (102) : 105-147, 2022
      • 150 이은주, "부여 무량사의 역사와 조선 17세기 중창 불사" 남도문화연구소 (42) : 211-240, 2021
      • 151 송양섭, "반계 유형원의 화폐유통론과 상업인식" 한국사상사학회 (69) : 175-220, 2021
      • 152 김승대, "반계 유형원 유적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상문화학회 103 : 2021
      • 153 정희정, "물질문화 연구론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의 왕실 연향용 음식기명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52) : 31-54, 2021
      • 154 김하라, "물질로서의 책과 兪晩柱의 도서 구매–책주릅 曺氏와의 거래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60 : 43-76, 2021
      • 155 권이선 ; 박정민, "무성서원지의 체제와 특징 - 1884년본을 중심으로 -" 강원사학회 (37) : 161-186, 2021
      • 156 계승범, "모후의 반역: 광해군 대 대비폐위논쟁과 효치국가의 탄생" 역사비평사 2021
      • 157 윤여석, "명의 책봉 지연과 광해군의 정통성 재정립" 부경역사연구소 (50) : 37-76, 2022
      • 158 박성일, "등록류(謄錄類)로 살펴본 조선후기 불교사료 검토:『學校謄錄』등 일부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원 (95) : 124-154, 2021
      • 159 안준호, "동춘고택(同春古宅)의시기별 건축 변화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5 (55): 72-94, 2022
      • 160 윤민용,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조선 후기 궁중 소용 建築畵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21
      • 161 최주희, "대동법 시행기 進上制의 정비와 영조대 초반 『進上別單謄錄』의 작성" 고려사학회 (86) : 207-246, 2022
      • 162 김정숙, "김대건 신부의 성사 사목활동과 행정 사목활동" (재)한국교회사연구소 (59) : 219-264, 2021
      • 163 조규태, "김낙철 형제의 동학과 부안도소 활동" 동학학회 (64) : 5-39, 2022
      • 164 임미현,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 생애의 재구성" 역사문화연구소 (82) : 125-158, 2022
      • 165 김민규, "금강산 백화암 <서산대사비> 건립과 17세기 승려 석장의 활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231-252, 2021
      • 166 최성운, "극동러시아 당국의 1870·1871년 조선인 강제 재이주정책과 체제선전소문" 동북아역사재단 (75) : 257-317, 2022
      • 167 정상호, "광해군의 세자책봉요청을 둘러싼 조선과 명의 외교 교섭 -事大文軌속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104) : 201-248, 2021
      • 168 권은나, "광해군대 반역 사건을 통해 본 정국운영" 대구사학회 148 : 35-74, 2022
      • 169 한보람, "고종의 친정 선포와 정국의 동향" 한국학연구원 (88) : 69-104, 2022
      • 170 정지연, "고종대 문과정시 운영 연구" 교육사학회 31 (31): 99-128, 2021
      • 171 이민아, "고종대 궁궐 儀禮空間 정비의 지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172 장영숙, "고종과 대원군의 정치적 갈등과 명성황후" 숭실사학회 (49) : 99-119, 2022
      • 173 노윤주, "계암일록(溪巖日錄) (1603~1641)을 통해 본 안동지역 사족의 사찰이용 양태" 국립민속박물관 (48) : 99-126, 2021
      • 174 오수창, "계승범 교수의 「인목대비 폐위 논쟁과 인조반정의 명분」에 부치는 재비판" 역사문제연구소 143 : 2023
      • 175 최주희, "경주 교동 최씨가 소장 秋收記⋅收稅記 자료의 전존 현황과 특성" 한국고문서학회 59 : 63-92, 2021
      • 176 최성환, "경종대 신임옥사와 충․역 의리의 귀결" 한국고전번역원 58 : 95-135, 2021
      • 177 우인수, "경상도 안동 虎溪書院의 건립과 위상" 한국서원학회 (15) : 7-42, 2022
      • 178 박철민, "藏書閣 所藏 醫官 玄在德(1771~1833)의 『弇山日記』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46) : 291-321, 2021
      • 179 박나연, "純祖代 孝明世子 관련 王室儀禮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 180 김정자, "純祖 前半期 親鞫·推鞫의 政治性 -『親鞫日記』·『推案及鞫案』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법사학회 (63) : 125-166, 2021
      • 181 최은주, "申弘望의 유배일기 <長沙日錄>의 특징적 기록 경향과 자료적 가치" 영남문화연구원 (76) : 69-104, 2021
      • 182 장정수, "深河戰役 당시 광해군의 ‘密旨’와 對後金 배후교섭의 변질" 역사연구소 (104) : 85-136, 2021
      • 183 한승현, "正祖 즉위 초기 對淸 외교 정책과 조정의 對淸 인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6) : 137-176, 2021
      • 184 권기석, "樊巖 蔡濟恭과 교류한 인물로 본 18세기 고위관료의 社會關係網"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9) : 193-243, 2022
      • 185 진재교, "朝鮮朝 後期 泮人의 人間 氣質과 그 성격" 동양한문학회 63 : 263-297, 2022
      • 186 김순한, "朝鮮後期 尙州 玉洞書院의 賜額과 運營"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 187 김인경, "月城尉 金漢藎 家門의 공간이 갖는 역사적 의미"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4) : 269-313, 2022
      • 188 김일환, "曺文秀의 시로 쓴 瀋陽使行" 온지학회 (73) : 9-38, 2022
      • 189 최식, "日谷 趙得永의 燕行詩 硏究" 한국고전번역원 57 : 227-258, 2021
      • 190 허태구, "張晩의 대외정세 인식과 대중국 외교현안 대응" 대구사학회 146 : 199-238, 2022
      • 191 임성수, "大同法 시행 이후 軍器寺의 재정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103) : 47-78, 2022
      • 192 신채용, "原州元氏 元豪家의 성장과 근거지 확산" 북악사학회 (14) : 37-66, 2021
      • 193 한명기, "光海君의 즉위 환경과 明의 존재" 명청사학회 (56) : 223-266, 2021
      • 194 최식, "俞彦鎬의 燕行과 〈燕行錄〉" 근역한문학회 58 : 179-208, 2021
      • 195 김한신, "仁祖 즉위 이후 권력장악과 인목대비의 위상" 동양학연구원 (86) : 73-93, 2022
      • 196 정다함, "『모후의 반역』에 대한 오수창 교수와 계승범 교수의 논쟁을 바라보며" 역사문제연구소 143 : 2023
      • 197 하여주, "『계녀서』의 탄생과 ‘조선식’ 유교 젠더 규범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101) : 145-175, 2022
      • 198 정우봉, "『金石集帖』 수록 武人 자료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원 (97) : 69-90, 2022
      • 199 문경호, "『辛未通信日錄』을 통해 본1811년 通信使船의 構造와 積載物品 硏究" 한국고전번역원 58 : 203-244, 2021
      • 200 권기중, "『講武堂先生案』을 통해 본조선시대 무임층의 존재양상" 조선시대사학회 (103) : 361-387, 2022
      • 201 김백철, "『經世遺表』의 등장과 개혁안의 성격: 19세기 전통과 근대의 만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127-166, 2021
      • 202 윤석호, "『孟子』를 척도로 본 조선후기 公田 담론의 경세학적 층차" 연세사학연구회 48 : 291-342, 2021
      • 203 고민정, "『功臣會盟錄』과 『忠勳府謄錄』으로 보는 17-18세기 功臣家의 인적 계승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9) : 81-110, 2021
      • 204 권기중, "『上詔文先生案』을 통해 본 조선시대 향리층의 변화양상 -『慶州先生案』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85) : 107-135, 2021
      • 205 허태용, "‘성리학 대 실학’이라는 사상사 구도의 기원과 전개" 한국사상사학회 (67) : 41-72, 2021
      • 206 조성환 ; 이우진, "‘동학(東學)’ 개념 탄생의 사상사적 의미 – 창도(創道)에서 창학(創學)으로-" 유학연구소 58 : 115-144, 2022
      • 207 김정자, "‘邪說’·‘誣告’·‘邪學’ 事件과 ‘辛酉獄事’ - 『推案及鞫案』의 姜彝天 推鞫 事件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122) : 283-335, 2022
      • 208 박범, "[특집논문] 19세기 전라도 재실분등의 추세와 자연재해의 지역성" 조선시대사학회 (97) : 35-68, 2021
      • 209 송양섭, "[특집논문] 19세기 社倉ㆍ社還制 운영과 향촌민의 진휼참여 -순천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7) : 119-169, 2021
      • 210 허태구, "2019~2020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사료와 실증의 더미에서 탈출하기" 역사학회 (251) : 137-183, 2021
      • 211 백지연 ; 박경하, "19세기 후반 전라남도 장흥군 주현향약의 성격" 한국역사민속학회 (60) : 103-134, 2021
      • 212 김창수, "19세기 후반 대청(對淸) 사신의 파견과 역할-전통적 외교의 지속과 변용의 측면을 중심으로-" 중원문화연구소 30 : 189-232, 2022
      • 213 최우혁, "19세기 진찬의례와 군문의 재정 활용" 한국국학진흥원 (45) : 231-275, 2021
      • 214 김은경, "19세기 조선백자에 보이는 淸代 多角甁의 수용양상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313 (313): 91-119, 2022
      • 215 심희기, "19세기 조선 관찰사의 사법적 행위의 실증적 고찰" 한국고문서학회 58 : 179-205, 2021
      • 216 박진철, "19세기 조선 '중기'를 중심으로 본 동래부의 군비와 봉수 실태" 한국학연구원 (86) : 179-207, 2022
      • 217 조윤선, "19세기 의금부의 議律업무와 王獄의 기능" 한국고전번역원 58 : 245-285, 2021
      • 218 임영길, "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아편, 아편전쟁" 근역한문학회 60 : 77-104, 2021
      • 219 방병선, "19세기 백자 연적과 계영배(戒盈盃)를 통해 본 조선시대 기교자기 제작의 함의(含意)" 한국미술사학회 309 (309): 79-105, 2021
      • 220 류해춘, "19세기 동학사상에 나타난 보국안민의 의미와 수사학" 택민국학연구원 (30) : 249-282, 2022
      • 221 한보람, "19세기 경화학계 개혁론의가치 지향과 현실 대응" 한국사상사학회 (67) : 73-106, 2021
      • 222 고민정, "19세기 강원도의 사회상 고찰을 위한 民狀置簿冊 기초 연구 -하버드-옌칭연구소 소장 『江原道各郡狀題』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5 : 133-163, 2021
      • 223 임성수, "19세기 還穀의 고갈과 高利貸的 운영 강화" 대동문화연구원 (113) : 597-636, 2021
      • 224 송양섭, "19세기 巨濟 舊助羅里의 부세운영과 촌락사회의 동향" 대동문화연구원 (114) : 381-429, 2021
      • 225 임혜련, "19세기 ‘垂簾聽政儀’의 시행과 즉위의례" 수선사학회 (80) : 37-67, 2022
      • 226 김태홍, "18세기 후반~19세기 초 함경도의 유통망 확장과 장시 발달" 역사학회 (256) : 225-265, 2022
      • 227 김현구, "18세기 후반 통제영의 軍備 체계와 실태 - 통제영 散逸 重記의 검토와 더불어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00) : 159-212, 2022
      • 228 김미성, "18세기 후반 조선의 수해 이재민 보고 방식의 체계화와 恤典 시행" 국학연구원 (200) : 197-227, 2022
      • 229 이용윤, "18세기 후반 개심사(開心寺) 불화에 반영된 화승집단의 변화" 인문과학연구소 43 (43): 257-285, 2022
      • 230 나종현, "18세기 초반 호론계 배사론(背師論)의 전개" 한국사상사학회 (70) : 245-277, 2022
      • 231 유지웅, "18세기 중반 기호 낙론계 심론 - 심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유학연구소 55 : 119-147, 2021
      • 232 채홍병, "18세기 조선의 ‘황조인(皇朝人)’ 정책과 창원(昌原) 공씨(孔氏)에서 곡부(曲阜) 공씨로의 정체성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23) : 171-224, 2022
      • 233 장정해, "18세기 조선(朝鮮) 표류민이 살펴본 대만(臺灣) 원주민의 모습" 동양고전연구소 (44) : 1-33, 2021
      • 234 이강원, "18세기 전반 탕춘대 지역의 도성 외곽 기지화와 총융청 관할 방어체제의 성립" 한국역사연구회 (125) : 277-319, 2022
      • 235 김영나, "18세기 옥산서원 노비의 양상" 민족문화연구소 (79) : 291-326, 2021
      • 236 최 학, "18세기 경기 화승과 불화의 화풍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2
      • 237 이강원, "18세기 경기 서북부 방어체제의 재편과 장단 방어영의 파주 이설" 한국사연구회 (194) : 221-268, 2021
      • 238 임혜균, "18세기 黃海道 淸使接待 비용문제와 『海西支勅定例』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98) : 249-290, 2021
      • 239 이동화, "18세기 近畿 南人系 학자의 정치사상 연구 - 君臣關係論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22
      • 240 이정수, "18세기 『이재난고』를 통해 본 대차관계와 이자율" 부산경남사학회 (124) : 205-244, 2022
      • 241 김미영, "18~19세기 지산리 庶系 동성촌락의 형성과정 - 경상도 대구부 수동면 호적대장 분석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7 : 2021
      • 242 한미라, "18~19세기 전라도 남원 機池坊 笠巖鄕約의 구성원과 운영 변화" 한국역사민속학회 (62) : 193-222, 2022
      • 243 박범, "18~19세기 재해의 발생과 위유어사의 역할" 한국역사연구회 (122) : 279-310, 2021
      • 244 유승희, "18~19세기 목민서의 民訴처리와 民狀 자료의 실태" 한국고전번역원 60 : 115-158, 2022
      • 245 이병훈, "18~19세기 도산서원의 위상 변화"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67 (67): 79-115, 2021
      • 246 김민, "1872~1876년 과도기의 조일무역연구" 일본사학회 (55) : 43-80, 2021
      • 247 한승훈,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과 영국" 한국사연구회 (198) : 269-301, 2022
      • 248 한미라, "1864년 삼도수군통제사 백은진(白殷鎭)의 향약 시행에 관한 일고찰" 한국세계문화사학회 (64) : 5-25, 2022
      • 249 최성운, "1863~1866년간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러시아 식민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45 (45): 205-258, 2022
      • 250 송찬섭, "1862년 농민항쟁의 발발지역 검토" 역사학연구소 (42) : 133-185, 2021
      • 251 김영록, "1862년 농민항쟁기 경상도 성주의 下納 폐해와 지역민의 대응" 부산경남사학회 (123) : 129-161, 2022
      • 252 이재정, "1860∼70년대 조선의 砲架 제작과 메이지 일본 大砲 유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23) : 133-172, 2022
      • 253 송인희, "1848년 진찬의궤의 당화준(唐畫樽) 사용의 의의" 한국문화연구원 40 : 81-132, 2021
      • 254 이석원, "1830년대 중국인 사제 여항덕 신부와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제들과의 갈등 — 조선대목구의 관할 주체와 조선인 사제 양성 방안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96) : 131-161, 2022
      • 255 강석화, "1812년 평안도 정주성 전투의 경과 및 관군과 반군의 역량 비교"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24) : 33-88, 2022
      • 256 신주엽, "1810년(순조10) 慶州府 鄕飮酒禮의 시행과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8) : 293-323, 2021
      • 257 김순한, "18-19세기 상주지역 남인 세력의 갈등 -상주 옥동서원의 位次是非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81) : 5-52, 2022
      • 258 박소희, "17세기 후반~19세기 전반 거창 강동 草溪鄭氏家의 내력과 위상" 경남문화연구원 (74) : 1-32, 2022
      • 259 김영록,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개성상인의 대외무역과 개성부" 역사실학회 (78) : 219-248, 2022
      • 260 윤혜민, "17세기 후반 국왕의 정국운영과 戚臣의 역할: 효종·현종·숙종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 261 이명제, "17세기 청ㆍ조선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1
      • 262 김지영, "17세기 조선 왕실 가족의 혼례 - 가례등록·명안공주가례등록"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 263 김지영, "17세기 조선 로열패밀리의 결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 264 설현지, "17세기 전반 호패법 시행 과정 연구" 대구사학회 144 : 175-212, 2021
      • 265 이석형, "17세기 전반 조청관계에서 심양관의 역할 -조선의 파병을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65) : 101-130, 2022
      • 266 김영록, "17세기 전반 왜관 개시무역의 거래 양상과 부채 문제" 부산경남사학회 (121) : 269-299, 2021
      • 267 이현주, "17세기 전기 왕실 여인들의 불사(佛事) 연구: 장열왕후와 인목대비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6) : 155-187, 2021
      • 268 나종현, "17세기 율곡학파 내 성리설의 변화"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0) : 319-351, 2021
      • 269 김현동, "17세기 어영청(御營廳) 창설과 번상급료제(番上給料制)의 성립" 한국사연구회 (192) : 121-171, 2021
      • 270 손성필, "17세기 순천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 성립" 남도문화연구소 (42) : 241-270, 2021
      • 271 오용섭, "17세기 속초 신흥사 간행의 불서와 목판" 한국서지학회 (88) : 5-28, 2021
      • 272 이경동, "17세기 사상계의 율곡 경세론 수용과 전개" (사)율곡학회 44 : 51-89, 2021
      • 273 엄기석, "17∼18세기 황해도 상정법의 실시와 정비" 한국사학회 (141) : 175-210, 2021
      • 274 김영나, "17~19세기 병산서원 노비의 존재양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67 (67): 149-196, 2021
      • 275 송기중, "17~18세기 통어영의 설치와 운영" 수선사학회 (82) : 331-357, 2022
      • 276 정진혁, "17~18세기 추국청의 혹형(압슬형(壓膝刑), 낙형(烙刑)) 시행 추이" 역사학회 (256) : 177-223, 2022
      • 277 신경미, "17~18세기 일본산 담배의 조선 유입과 그 영향" 한일관계사학회 (73) : 113-144, 2021
      • 278 김현정, "17~18세기 銓郞制 운영과 1741년 銓郞法 개정의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101) : 177-221, 2022
      • 279 김정운, "1799년 전염병[胡疫]의 대유행과 국가의 위기대응 방식" 대구사학회 145 : 1-29, 2021
      • 280 김숙경, "1795년 천주교도 장살사건과 그 영향" 효원사학회 59 : 207-258, 2021
      • 281 김경용, "1735년 식년감시 사마방목의 복원과 의의" 교육사학회 31 (31): 1-22, 2021
      • 282 정호훈, "1728년의 정치변란에 대한 정부의 대책과 규범서 -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경민편의 간행을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76) : 75-116, 2021
      • 283 김경숙, "17-18세기초 사대부가 여성의 친소(親訴)・친송(親訟) 활동 - 영광 영월신씨가 고문서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35) : 143-179, 2021
      • 284 임성수, "17-18세기 還上의 取耗補用과 錢還의 등장" 민족문화연구원 (90) : 251-294, 2021
      • 285 강성우, "16세기~18세기 동서양의 조우와 서양의 동아시아 이해 -예수회의 조선과 일본의 이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87) : 171-196, 2021
      • 286 이광우, "16~19세기 학규를 통해 본한・중 서원의 변모 양상" 한국서원학회 (14) : 43-106, 2022
      • 287 심민정, "1682년 임술통신사행의 임술약조 강정과조일 교린관계의 재편" 한일관계사학회 (73) : 3-42, 2021
      • 288 이해진, "1643년 조선통신사 도일의 이면 - 일본의 초빙 목적과 예물 교섭, 그리고 조선이 청에 보낸 왜정자문을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58 : 17-36,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