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근대화' 담론에서 벗어나기 및 '실증'의 누적 =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the Studies in the Economic History of Joseon Dynasty: Overcoming the 'Modernization' Discourse and Accumulation of 'Empirical Studies'
저자
김미성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4(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In order to seek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the historical and economic circles with the subject of economic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earch trends of recent 10 years and argues for the ne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research directions between the two academic circles. Historians are trying to overcome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and to understand the economic structure of Joseon in the social context of Joseon itself. They also tend to focus on microscopic and empirical case studies rather than macroscopic analysis. Meanwhile, economists are attempting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economic structure of Joseon in modern terms by substituting the concepts of modern economics into it. They also make efforts to test and revise the hypotheses of the old historians through data verification. History, which explains the chang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conomics, which looks to the past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modern economy, are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and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the two academic circles can begin by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can be achieved through understanding the exact context of each text records, recognizing the gap between codified system and reality, and sharing empirical analysis methodologies and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preceded rather than hastily determining or naming an era by a single word.
더보기이 글은 조선시대 경제사를 주제로 하는 역사학계와 경제학계의 학제 간 융합 연구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해,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정리한 후 양쪽 학계의 근본적인 연구 방향성 차이를 인식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역사학계에서는 기존 '근대화' 담론에서 벗어나서 조선 '당대의 관점'으로 당시의 경제구조를이해하려는 시도들이 엿보이며, 거시적인 분석보다는 자료에 기반한 미시적· 실증적 사례 연구에 초점을 두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경제학계에서는 현대 경제학의 개념들을 조선시대에 대입하여 그 의미를 현대적인 용어로 전달하려는 시도가 주목되며, 자료 실증을 통한 옛 가설의 검증과 수정 작업도 계속되고 있다. '과거로부터 현재로의 변화'를 설명하는 역사학과 '현대 경제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과거를 바라보는' 경제학은 연구의 목적과 출발점부터 서로 차이가 분명하다. 양쪽 학계의 융합 연구는 상호간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현전 자료의 정확한 맥락 파악, 제도·자료와 현실의 괴리 인식, 실증적 분석 방법론과 분석 결과의 공유 등을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제한된 자료를 통한 섣부른 '시대 규정' 보다는 상호간 '실증' 의 누적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6 | 1.012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